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삼성 센스 크로노스 7 노트북의 운영체제를 USB 디스크로 새로 설치하는 방법

(*** 주의 사항: 이 글은 모든 데이터를 삭제하고 새롭게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만약 개인 데이터가 하드에 있다면 미리 백업해 놓은 후 진행해야 합니다.)

삼성의 최근 모델들은 운영체제 설치가 쉽게 되지 않습니다. 우선, BIOS 먼저 수정해야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Windows 8 제공된 삼성컴퓨터를 Windows 7으로 다운그레이드하는 방법
; https://www.samsungsvc.co.kr:449/online/movGuideView.do?domainId=NODE0000033866&node_Id=NODE0000125127&faqId=KNOW0000024134&pageNo=5

간단하게 정리하면 BIOS 진입 후 이렇게 4가지 옵션을 설정해 줍니다.

  • Secure Boot 항목을 [Disabled]로 설정
  • OS Mode Selection을 [CSM OS]로 설정
  • Advanced 메뉴의 Fast BIOS Mode를 [Disabled]로 설정
  • Boot 메뉴의 Boot Device Priority에서 USB 장치를 맨 위로 이동

위와 같이 조정하고, USB 디스크를 연결하고 부팅하면 정상적으로 운영체제 설치 화면으로 진입합니다.




그런데, 그다음이 문제입니다. 제가 가진 "삼성 센스 NT700Z5C-S88 크로노스" 모델에서는 운영체제 초기 설치 과정이 끝나고 다시 부팅이 되는데 이 때 USB 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면 다시 부팅 과정을 되풀이합니다. 따라서 USB 장치를 빼고 부팅을 해야 하는데, 이상하게 다음과 같은 문자열만 출력할 뿐 정상적으로 윈도우 설치가 진행되지 않습니다.

All boot options are tried. Press <F4> key to recover with factory image using Recovery or any other keys for next boot loop iteration.

다행히 검색해서 다음의 글을 읽고서야 간신히 설치를 할 수 있었습니다.

All boot options are tried loop
; http://superuser.com/questions/825304/all-boot-options-are-tried-loop

설명은 간단하게 나왔는데, 좀 더 상세하게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부팅 가능한 USB 디스크를 연결한 후 재부팅하면, "Windows Setup"을 통해 "Language to install", "Time and currency format", "keyboard or input method"와 옵션으로 "Keyboard Type" 입력을 받는 화면이 나옵니다. 적당히 선택하고 "Next" 버튼 클릭합니다. 그다음 화면에서 "Install Now" 버튼을 누르지 않고 좌측 하단의 "Repair your computer"를 선택해 줍니다.

이어서, 타일 메뉴의 "Troubleshoot" 선택, 타일 메뉴의 "Advanced options" 선택, 타일 메뉴의 "Command Prompt" 선택해서 명령행 창을 띄워줍니다. diskpart.exe를 실행하고, list disk로 상태를 확인해 보면 대략 이렇게 나옵니다.

DISKPART> list disk
  Disk ###  Status          Size      Free      Dyn   Gpt
  --------  -------------   -------   -------   ---   ---
  Disk 0    Online           238 GB     48 GB
  Disk 1    Online            14 GB      0 GB
  Disk 2    Online            15 GB      0 GB

3개의 Disk가 나오는데, 각각 다음과 같은 식일 것입니다.

  • Disk 0 == HDD
  • Disk 1 == (ExpressCache 용 저용량 SSD)
  • Disk 2 == (윈도우 Install 용 USB)

이제, 0번 하드를 선택하고 clean 명령으로 모든 파티션 상태를 삭제합니다. (물론, 모든 데이터가 삭제됩니다.)

DISKPART> sel disk 0

Disk 0 is now the selected disk.

DISKPART> clean

DiskPart succeeded in cleaning the disk.

다시 확인해 보면 이렇게 나옵니다.

DISKPART> list disk
  Disk ###  Status          Size      Free      Dyn   Gpt
  --------  -------------   -------   -------   ---   ---
* Disk 0    Online           238 GB    238 GB
  Disk 1    Online            14 GB      0 GB
  Disk 2    Online            15 GB      0 GB

0번 디스크에 "System Reserved" 용 파티션을 생성하고 포맷 후 드라이브 문자를 할당하는데, 용량은 윈도우 7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100MB, 윈도우 8이라면 350MB, 윈도우 10이라면 500MB로 지정합니다. 저는 윈도우 10을 설치하기 때문에, size=500으로 했습니다.

DISKPART> create part primary size=500

DiskPart succeeded in creating the specified partition.

DISKPART> format fs=ntfs quick

  100 percent completed

DiskPart successfully formatted the volume.

DISKPART> assign letter=f

DiskPart successfully assigned the drive letter or mount point.

이후 C 드라이브 용 파티션을 생성하면 되는데, 제 경우에는 C == 166GB, D == 70GB로 나눌 것이므로 우선 166GB에 대한 파티션을 생성하고,

DISKPART> create part primary size=170000

DiskPart succeeded in creating the specified partition.

DISKPART> format fs=ntfs quick

  100 percent completed

DiskPart successfully formatted the volume.

DISKPART> assign letter=c

DiskPart successfully assigned the drive letter or mount point.

나머지 공간을 D 드라이브 용으로 잡았습니다. (이번에는 드라이브 문자는 할당하지 않고 포맷만 했습니다.)

DISKPART> create part primary

DiskPart succeeded in creating the specified partition.

DISKPART> format fs=ntfs quick

  100 percent completed

DiskPart successfully formatted the volume.

확인하면 이렇게 나옵니다.

DISKPART> list part
  Partition ###  Type            Size      Offset
  -------------  -------------   -------   ------
  Partition 1    Primary          500 MB   1024 KB
  Partition 2    Primary          166 GB    501 MB
* Partition 3    Primary           71 GB    166 GB

이제 SSD 디스크를 선택하고 역시 초기화합니다.

DISKPART> sel disk 1

Disk 1 is now the selected disk.

DISKPART> clean

DiskPart succeeded in cleaning the disk.

여기까지 마치고 재부팅을 합니다. 그럼, USB 설치 디스크가 동작하고 다시 "Windows Setup" 화면으로 진입합니다. 이번엔 "Repair your computer" 링크가 아닌 정상적으로 "Install Now" 버튼을 눌러 설치를 C 드라이브로 잡았던 166GB 파티션에 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USB 디스크는 아직 빼지 말고) 다시 재부팅이 되는데요. 이번에는 다시 "Windows Setup" 화면에서 "Repair your computer" 메뉴를 통해 "Command Prompt" 화면으로 진행합니다.

역시 diskpart.exe를 실행하고 list vol 명령을 통해 현재 상태를 확인합니다.

DISKPART> list vol

   Volume ###   Ltr   Label         Fs      Type         Size      Status      Info
   ----------   ---   -----------   -----   ----------   -------   ---------   --------
   Volume 0      H                          DVD-ROM          0 B   No Media
   Volume 1      C                  NTFS    Partition     500 MB   Healthy
   Volume 2      F                  NTFS    Partition     166 GB   Healthy
   Volume 3      G                  NTFS    Partition      71 GB   Healthy
   Volume 4      D    System Rese   NTFS    Partition     500 MB   Healthy
   Volume 5      E                  NTFS    Removable      15 GB   Healthy

위의 상태를 보면 좀 이상합니다. 이전에 500MB로 F 드라이브로 할당했던 것이 C 드라이브가 되었고 반대로 166GB로 할당된 파티션은 F 드라이브 문자가 지정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원인은 알 수 없지만, 그냥 무시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다시 SSD 1번 디스크를 한번 더 지워줍니다.

DISKPART> sel disk 1

Disk 1 is now the selected disk.

DISKPART> clean

DiskPart succeeded in cleaning the disk.

이어서 운영체제 설치를 하려 했던 HDD 디스크를 선택하고 C 드라이브로 할당되었던 파티션을 "active" 상태로 바꿉니다.

DISKPART> sel disk 0

Disk 0 is now the selected disk.

DISKPART> sel part 1

Partition 1 is now the selected partition.

DISKPART> list part
  Partition ###  Type            Size      Offset
  -------------  -------------   -------   ------
* Partition 1    Primary          500 MB   1024 KB
  Partition 2    Primary          166 GB    501 MB
  Partition 3    Primary           71 GB    166 GB

DISKPART> active

DiskPart marked the current partition as active.

이제 diskpart 환경을 나오고 다음과 같이 c 드라이브에 windows 내용을 복사해줍니다.

DISKPART> exit

Leaving DiskPart...

X:\Sources> bcdboot f:\windows /s c:
Boot files successfully created.

마지막으로, 부팅용 USB 드라이브를 제거하고 다시 부팅하면 윈도우 설치 과정이 마무리됩니다. 끝~~~~~!!!!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6-04-13 06시09분
윈도우 XP/7/Vista를 설치하는 경우라면 이 글의 단계를 따라야 하지만, 윈도우 8/10을 설치하는 경우라면 다음의 글에 따라 USB 설치 디스크를 준비하면 좀더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UEFI 모드로 윈도우 10 설치 가능한 USB 디스크 만드는 방법
; http://www.sysnet.pe.kr/2/0/10937
정성태
2017-05-06 10시56분
[호서비] 와 정말 감사합니다. 계속 윈도우10은 설치는 되는데 진행이안되었는데
겨우 해결했습니다. 감사합니다.
[guest]
2021-12-25 02시13분
[77] 오랫만에 제대로된 개인홈피를 만나네요.xp 스타일의 화면구성도 좋네요~~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guest]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124정성태1/4/201727735개발 환경 구성: 309. 3년짜리 유효 기간을 제공하는 StartSSL [2]
11123정성태1/3/201723244.NET Framework: 629. .NET Core의 dotnet.exe CLI 명령어 확장 방법 [1]
11122정성태1/3/201722706.NET Framework: 628. TransactionScope에 사용자 정의 트랜잭션을 참여시키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121정성태1/1/201720586개발 환경 구성: 308. "ASP.NET Core Web Application (.NET Core)"와 "ASP.NET Core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차이점
11120정성태12/25/201626459개발 환경 구성: 307.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11119정성태12/23/201649159개발 환경 구성: 306. Visual Studio Code에서 Python 개발 환경 구성 [2]
11118정성태12/22/201635925오류 유형: 374. Python 64비트 설치 시 0x80070659 오류 발생 [3]
11117정성태12/21/201622192웹: 35. nopCommerce 예제 사이트 구성 방법
11116정성태12/21/201624136디버깅 기술: 84. NopCommerce의 Autofac 부하(CPU, Memory) [2]
11115정성태12/21/201627079Windows: 133. 윈도우 서버 2016에서 플래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2]
11114정성태12/19/201637131Windows: 132. 역슬래시(backslash) 문자가 왜 통화 표기 문자(한글인 경우 "\")로 보일까요? [2]
11113정성태12/6/201621023오류 유형: 373. ICOMAdminCatalog::GetCollection에서 CO_E_ISOLEVELMISMATCH(0x8004E02F) 오류 발생파일 다운로드1
11112정성태11/23/201626197오류 유형: 372. MySQL 서비스가 올라오지 않는 경우 - Error 1067
11111정성태11/23/201634690.NET Framework: 627. C++로 만든 DLL을 C#에서 사용하기 [2]
11110정성태11/17/201621311.NET Framework: 626. Commit 메모리가 낮은 상황에서도 메모리 부족(Out-of-memory) 예외 발생 [2]
11109정성태11/17/201621307.NET Framework: 625. ASP.NET에서 System.Web.HttpApplication 인스턴스는 다중으로 생성됩니다.
11108정성태11/13/201621195.NET Framework: 624. WPF - Line 요소를 Canvas에 위치시켰을 때 흐림(blur) 현상파일 다운로드1
11107정성태11/9/201625082오류 유형: 371. Post cache substitution is not compatible with modules in the IIS integrated pipeline that modify the response buffers.파일 다운로드1
11106정성태11/8/201625237.NET Framework: 623. C# - PeerFinder를 이용한 Wi-Fi Direct 데이터 통신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105정성태11/8/201619578.NET Framework: 622. PeerFinder Wi-Fi Direct 통신 시 Read/Write/Dispose 문제
11104정성태11/8/201619092개발 환경 구성: 305. PeerFinder로 Wi-Fi Direct 연결 시 방화벽 문제
11103정성태11/8/201619065오류 유형: 370. PeerFinder.ConnectAsync의 결과 값인 Task.Result를 호출할 때 System.AggregateException 예외 발생
11102정성태11/8/201619095오류 유형: 369. PeerFinder.FindAllPeersAsync 호출 시 System.UnauthorizedAccessException 예외 발생
11101정성태11/8/201621952.NET Framework: 621. 닷넷 프로파일러의 오류 코드 - 0x80131363
11100정성태11/7/201628684개발 환경 구성: 304. Wi-Fi Direct 지원 여부 확인 방법 [1]
11099정성태11/7/201630610.NET Framework: 620. C#에서 C/C++ 함수로 콜백 함수를 전달하는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