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indbg - 풀 덤프 파일로부터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찾는 방법

예전에 설명한 대로,

windbg - 덤프 파일과 handle 정보
; https://www.sysnet.pe.kr/2/0/1836

사용자 모드(user mode)의 풀 덤프 파일로는 핸들 값으로부터 별다르게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없습니다. 파일명조차 못 구하는데 파일 내용을 알아내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단지, 우회적인 방법을 사용해야 하는데요. 가장 좋은 방법은, 로드된 파일이 정적 변수에 담겨 있는 경우입니다. 그럴 때는 그냥 찾아들어가서 해당 변수의 내용을 덤프하면 파일의 내용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만약, 그런 변수가 있는지 알 수 없다면 차선책으로 문자열 검색을 해보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 해당 파일의 내용을 식별해 줄 가장 최선의 문자열을 검색어로 쓰는 것입니다.

가령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은 간단한 콘솔 프로그램을 보면,

using System;
using System.IO;

namespace ConsoleApplication1
{
    class Program
    {
        static string txt = null;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xt = File.ReadAllText("test.txt");

            Console.ReadLine();
        }
    }
}

다음의 내용을 담은 test.txt 파일을 로드하는데,

test is good

The .dump command creates a user-mode or kernel-mode crash dump file. ... .suspend_ui (Suspend WinDbg Interface) .symfix (Set Symbol Store Path) .... You can specify a full path and file name or just the file name. If the file name contains ...

이런 프로그램의 풀 덤프 파일을 windbg에서 디버깅할 때 메모리를 검색해 보는 것입니다.

0:000> s -u 0 L?ffffffff`ffffffff "test is good"   
00000207`5eab5068  0074 0065 0073 0074 0020 0069 0073 0020  t.e.s.t. .i.s. .
00000207`5eab58d8  0074 0065 0073 0074 0020 0069 0073 0020  t.e.s.t. .i.s. .
00000207`5eab6b84  0074 0065 0073 0074 0020 0069 0073 0020  t.e.s.t. .i.s. .

명령어 s
-u : 유니코드 검색 (ascii인 경우 -a)
0 : 시작 주소 지정
L?ffffffff`ffffffff : 범위를 64비트 끝으로 지정.

검색 결과가 3개가 나왔는데요. 각각 du 명령어로 전체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는 Alt+5를 눌러 메모리 창을 띄운 후 주소 값에 따라 덤프해볼 수 있습니다.)

0:000> du 00000207`5eab5068  
00000207`5eab5068  "test is good....The .dump comman"
00000207`5eab50a8  "d creates a user-mode or kernel-"
00000207`5eab50e8  "mode crash dump file. ... .suspe"
00000207`5eab5128  "nd_ui (Suspend WinDbg Interface)"
00000207`5eab5168  " .symfix (Set Symbol Store Path)"
00000207`5eab51a8  " .... You can specify a full pat"
00000207`5eab51e8  "h and file name or just the file"
00000207`5eab5228  " name. If the file name contains"
00000207`5eab5268  " ..."

0:000> du 00000207`5eab58d8  
00000207`5eab58d8  "test is good...."

0:000> du 00000207`5eab6b84  
00000207`5eab6b84  "test is good....The .dump comman"
00000207`5eab6bc4  "d creates a user-mode or kernel-"
00000207`5eab6c04  "mode crash dump file. ... .suspe"
00000207`5eab6c44  "nd_ui (Suspend WinDbg Interface)"
00000207`5eab6c84  " .symfix (Set Symbol Store Path)"
00000207`5eab6cc4  " .... You can specify a full pat"
00000207`5eab6d04  "h and file name or just the file"
00000207`5eab6d44  " name. If the file name contains"
00000207`5eab6d84  " ..."

소개한 방법이 조금은 허탈하겠지만, 어쩔 수 없습니다.... 운입니다. ^^ 따라서 대용량의 응용 프로그램이라면 저렇게 쉽게 찾기 힘들 수 있습니다.

(혹시 자신만의 팁이 있는 분은 덧글 좀.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22/2016]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8정성태12/12/201225607.NET Framework: 348. .NET x64 응용 프로그램에서 Teb 주소를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7정성태12/12/201231031VC++: 64. x64 Visual C++에서 TEB 주소 구하는 방법
1386정성태12/12/201231899디버깅 기술: 53.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네이티브 DLL을 추출하는 방법 [1]
1385정성태12/12/201227699디버깅 기술: 52. Windbg - The version of SOS does not match the version of CLR you are debugging.
1384정성태12/12/201232183개발 환경 구성: 178. System32 폴더의 64비트 DLL을 32비트 Depends.exe에서 보는 방법
1383정성태12/10/201228337개발 환경 구성: 177. 기업용 메신저를 위한 Office Communicator Server 2007 설치 [1]
1382정성태12/8/201230824개발 환경 구성: 176. WebPagetest 서버 - 설치 및 테스트
1381정성태12/5/201229677.NET Framework: 347. C# - 프로세스(EXE) 수준의 Singleton 개체 생성 [2]파일 다운로드1
1380정성태11/28/201239811.NET Framework: 346. 닷넷 개발자에게 Node.js의 의미 [17]
1379정성태11/26/201233221.NET Framework: 345. C# 부호(+, -)에 대한 비트 변환 [1]
1378정성태11/22/201234057Java: 14. 안드로이드 - Hello World 실습 [7]
1377정성태11/19/201228270.NET Framework: 344. 닷넷 프로파일러 - ICorProfilerInfo::GetILFunctionBody 함수 버그
1376정성태11/15/201232931디버깅 기술: 51.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특정 예외가 발생했을 때 풀 덤프 받는 방법 [6]
1375정성태11/15/201228559디버깅 기술: 50.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 - 두 번째 이야기
1374정성태11/13/201226384개발 환경 구성: 175. Visual Studio의 "Extension Manager"에서 설치된 구성 요소들의 제거 버튼이 비활성화되었다면!
1373정성태11/13/201226885.NET Framework: 343. VB.NET 어셈블리의 .NET Reflector 소스 코드를 분석할 때 알아두면 좋은 사항
1372정성태11/1/2012121644Windows: 67. 64비트 윈도우에서 Internet Explorer 10이 항상 64비트로만 실행된다면? [57]
1371정성태10/31/201230024.NET Framework: 342. Python의 zip과 with 문 context를 C#과 비교하면. [3]파일 다운로드1
1370정성태10/31/201224684VS.NET IDE: 75. Visual Studio - "Active Solution Platform" 변경을 툴바에서 하는 방법
1369정성태10/31/201237833개발 환경 구성: 174. 윈도우에서 Mono 개발 환경 구성 [4]
1368정성태10/31/201229660개발 환경 구성: 173. Windows Phone SDK 8.0 설치
1367정성태10/30/201237003개발 환경 구성: 172. IIS 7.5부터 지원되는 웹 사이트 자동 시작 모드 [1]
1366정성태10/24/201228639개발 환경 구성: 171. GTK+를 윈도우 환경에 수작업 설치
1365정성태10/24/201227278개발 환경 구성: 170. 우분투 데스크톱 Active Directory 가입하기 [2]
1364정성태10/19/201223973Windows: 66. Hyper-V 2012에서 별도의 네트워크 카드를 이용한 Live Migration
1363정성태10/16/201231632개발 환경 구성: 169. Objective-C의 대안 - Xamarin의 Mono를 이용한 C# iOS 개발 환경 [2]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