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2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446. Assembly.Load를 이용해 GAC에 등록된 어셈블리를 로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03

.NET Framework: 579. Assembly.LoadFrom으로 로드된 어셈블리의 JIT 컴파일 코드 공유?
; https://www.sysnet.pe.kr/2/0/10953




Assembly.LoadFrom으로 로드된 어셈블리의 JIT 컴파일 코드 공유?

다음의 문서에 보면,

Application Domains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framework/app-domains/application-domains

다음과 같은 설명이 있습니다.

JIT-compiled code cannot be shared for assemblies loaded into the load-from context, using the LoadFrom method of the Assembly class, or loaded from images using overloads of the Load method that specify byte arrays.


즉, "Assembly.LoadFrom"으로 로드된 어셈블리는 JIT 컴파일 코드가 공유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과연 그럴까요?

이를 테스트하려면 "SharedDomain과 JIT 컴파일"의 예제 코드를 조금 변형해 보면 됩니다. 그냥 ConsoleApplication1 프로젝트의 Main 메서드에 다음과 같이 LoadFrom 사용 코드를 추가해 주는 정도면 될 듯한데요.

using System;
using System.IO;
using System.Reflection;

namespace ConsoleApplication1
{
    partial class Program
    {
        [LoaderOptimization(LoaderOptimization.MultiDomainHost)]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path = @"..\..\..\StrongDLL\bin\Debug\StrongDLL.dll";

            path = Path.GetFullPath(path);

            Console.WriteLine(path);

            // LoadFrom을 했지만, GAC로부터 로딩이 되었으면 LoadContext에 로딩
            Assembly asm = Assembly.LoadFrom(path);
            object objClass = asm.CreateInstance("StrongDLL.Class1");
            objClass.GetType().InvokeMember("DoMethod", BindingFlags.Default | BindingFlags.InvokeMethod, null, objClass, null);
            Console.WriteLine(objClass.GetType().Name + ", " + asm.Location);

            // GAC 어셈블리를 로딩하므로 역시나 LoadContext에 로딩
            StrongDLL.Class1 cl = new StrongDLL.Class1();
            cl.DoMethod();
            string path2 = cl.GetType().Assembly.Location;
            Console.WriteLine(path2);

            Console.WriteLine();

            Console.WriteLine("Press any key to exit...");
            Console.ReadLine();
        }
    }
}

실행 결과를 보면 재미있습니다.

C:\shared_domain\assembly_from\StrongDLL\bin\Debug\StrongDLL.dll
StrongDLL.Class1.DoMethod called
JIT Address: 0x7ffab7130c30
Class1, C:\WINDOWS\Microsoft.Net\assembly\GAC_MSIL\StrongDLL\v4.0_1.0.0.0__677c36b6f45d74b0\StrongDLL.dll
StrongDLL.Class1.DoMethod called
JIT Address: 0x7ffab7130c30
C:\WINDOWS\Microsoft.Net\assembly\GAC_MSIL\StrongDLL\v4.0_1.0.0.0__677c36b6f45d74b0\StrongDLL.dll

우선, JIT Address의 값이 0x7ffab7130c30으로 동일합니다. 즉, JIT 주소가 공유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럴 수밖에 없는 것이 애당초 LoadFrom으로 로드했어도 로컬 폴더의 StrongDLL.dll을 로드한 것이 아니고 GAC에 있는 것이 로드되었기 때문입니다.

즉, 원래부터 GAC에 등록된 어셈블리라면 LoadFrom으로 로드한다고 해도 결국 GAC에 있는 DLL을 로드하기 때문에 SharedDomain에 등록되어 공유되는 것입니다. 그럼, 이에 기반해서 해당 문서를 다시 한번 볼까요?

JIT-compiled code cannot be shared for assemblies loaded into the load-from context, using the LoadFrom method of the Assembly class, or loaded from images using overloads of the Load method that specify byte arrays.

그러니까, 위의 설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경우라면 GAC에 등록되지 않은 어셈블리를 로드하는 것일 텐데, 어차피 그 상황에서는 MultiDomainHost 모드에서 개별 AppDomain에 로드되어 공유되지 않으므로 저 문서의 내용이 굳이 명시될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혹시, 이 문서의 내용에 부합하는 예제를 아시는 분은 덧글 좀 부탁드립니다. ^^)

말 나온 김에, 비-도메인 중립적인 어셈블리인 경우도 마저 테스트 해보겠습니다. 가령, 강력한 이름을 갖지 않은 WeakDLL에 대해 다음과 같이 LoadFrom을 함께 사용해 주면,

string path = @".\WeakDLL.dll";

path = Path.GetFullPath(path);

Console.WriteLine(path);

// LoadFrom을 해도 AppDomain.CurrentDomain.BaseDirectory 및 CLR이 어셈블리를 검색하는 경로에 포함된 경우라면 LoadContext에 로딩
Assembly asm = Assembly.LoadFrom(path);
object objClass = asm.CreateInstance("WeakDLL.Class1");
objClass.GetType().InvokeMember("DoMethod", BindingFlags.Default | BindingFlags.InvokeMethod, null, objClass, null);
Console.WriteLine(objClass.GetType().Name + ", " + asm.Location);

WeakDLL.Class1 cl = new WeakDLL.Class1(); // 당연히 LoadContext에 로딩
cl.DoMethod();
string path2 = cl.GetType().Assembly.Location;
Console.WriteLine(path2);

Console.WriteLine();

Console.WriteLine("Press any key to exit...");
Console.ReadLine();

C:\shared_domain\assembly_from\ConsoleApplication1\bin\Debug\WeakDLL.dll
WeakDLL.Class1.DoMethod called
JIT Address: 0x7ffab7130fc0
Class1, C:\shared_domain\assembly_from\ConsoleApplication1\bin\Debug\WeakDLL.dll
WeakDLL.Class1.DoMethod called
JIT Address: 0x7ffab7130fc0
C:\shared_domain\assembly_from\ConsoleApplication1\bin\Debug\WeakDLL.dll

역시 JIT 컴파일 주소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재미있는 점은, 같은 DLL파일이라도 경로를 다르게 해서 (어느 한 개를 반드시 LoadFromContext에 로딩이 되도록) LoadFrom을 하면 JIT 컴파일 주소가 바뀝니다. 아마도 Load/LoadFrom의 문맥에 따라 바뀐 때문인 듯한데, 이 때문에 같은 AppDomain에 로드된 2개의 어셈블리가 '같은 DLL'이라고 해도 Load/LoadFrom에 따라 JIT 컴파일이 발생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테스트하고 보니, 어쩌면 해당 문서의 내용이 Load/LoadFrom 문맥을 의미하는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단지, 좀 더 정확한 표현으로 "GAC에 등록되지 않은 어셈블리이면서 경로가 다른 경우"로 한정지으면 더 좋을 듯합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26/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29정성태3/29/201323351개발 환경 구성: 188. SCOM 2012 - ASP.NET 모니터링 방법
1428정성태3/29/201324201개발 환경 구성: 187. SCOM 2012 환경 구성 - Management Packs
1427정성태3/29/201321283오류 유형: 171. SCOM 2012 - 원격 에이전트 설치 오류
1426정성태3/29/201324137개발 환경 구성: 186. SCOM 2012 환경 구성 - 관리 대상 추가
1424정성태3/21/201325984개발 환경 구성: 185. System Center 2012 Operations Manager 설치
1423정성태3/18/201320948오류 유형: 170. The specified domain either does not exist or could not be contacted.
1422정성태3/14/201323089오류 유형: 169. Windows 8/2012에 .NET 3.5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
1421정성태3/13/201340411.NET Framework: 364. WCF RIA 서비스 + Silverlight 사용 예제
1420정성태3/12/201325109오류 유형: 168. ORA-12514: TNS:listener does not currently know of service requested in connect descriptor
1419정성태3/12/201321570Windows: 70. 관리 도구에서 "Windows Server Backup" 항목이 없는 경우
1418정성태2/28/201331481오류 유형: 167. Internet Explorer 10 설치 후 Flash 객체의 메서드/속성 접근 오류가 발생한다면?
1417정성태2/25/201327610.NET Framework: 363. ASP.NET AJAX PageMethods - ASPX.cs의 static 메서드를 AJAX로 호출파일 다운로드1
1416정성태2/22/201330213개발 환경 구성: 184. Xamarin 2.0 - Visual Studio에서 Android 앱을 폰으로 직접 배포하는 방법
1415정성태2/21/201337616개발 환경 구성: 183. Xamarin 2.0 - 윈도우 환경의 Visual Studio에서 C#으로 iOS/Android 응용 프로그램 개발 [4]파일 다운로드1
1414정성태2/21/201332766개발 환경 구성: 182. JMeter로 XML 웹 서비스 호출에 대한 부하 테스트 방법파일 다운로드2
1413정성태2/19/201332085VC++: 66. Chromium 컴파일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3]
1412정성태2/6/201333964VC++: 65. Python 소스코드를 Visual C++로 빌드하는 방법 [3]
1411정성태1/31/201349293개발 환경 구성: 181. 무료 데이터베이스 서버 성능 비교(SQL Server Express, IBM DB2 Express, MySQL, Sybase, PostgreSQL, Oracle XE) [9]
1410정성태1/31/201331102.NET Framework: 362.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Sybase DB 사용 [1]파일 다운로드1
1409정성태1/30/201335049.NET Framework: 361. C# - 공유기 관리 웹 페이지 인증 [4]파일 다운로드1
1408정성태1/29/201329851.NET Framework: 360.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DB2 Express-C 데이터베이스 사용 (2) [1]파일 다운로드1
1407정성태1/29/201328263.NET Framework: 359.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DB2 Express-C 데이터베이스 사용 (1)
1406정성태1/22/201322672개발 환경 구성: 180. Windows Server 2012 RC 버전을 RTM으로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1405정성태1/16/201344292.NET Framework: 358.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MySQL(MySqlConnector) 사용 [7]파일 다운로드1
1404정성태1/15/201329145개발 환경 구성: 179. Hyper-V VM 복사는 robocopy로. [2]
1403정성태1/14/201331976.NET Framework: 357. .NET 4.5의 2GB 힙 한계 극복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