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문제 재현 - Managed Debugging Assistant 'DisconnectedContext' has detected a problem in '...'

비주얼 스튜디오로 디버깅 시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한다면?

Managed Debugging Assistant 'DisconnectedContext' has detected a problem in 'C:\...\ConsoleApplication1\bin\x86\Debug\ConsoleApplication1.exe'.

Additional information: Transition into COM context 0xdd0138 for this RuntimeCallableWrapper failed with the following error: The object invoked has disconnected from its clients. (Exception from HRESULT: 0x80010108 (RPC_E_DISCONNECTED)). This is typically because the COM context 0xdd0138 where this RuntimeCallableWrapper was created has been disconnected or it is busy doing something else and cannot process the context transition. No proxy will be used to service the request on the COM component and calls will be made to the COM component directly. This may cause corruption or data loss. To avoid this problem, please ensure that all COM contexts/apartments/threads stay alive and are available for context transition, until the application is completely done with the RuntimeCallableWrappers that represents COM components that live inside them.


아래의 문서에 따라 원인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disconnectedContext MDA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framework/debug-trace-profile/disconnectedcontext-mda

말 그대로 다음의 원인 때문입니다.

The OLE apartment or context has been shut down when the CLR attempts to transition into it. This is most commonly caused by STA apartments being shut down before all the COM components owned by the apartment were completely released. This can occur as a result of an explicit call from user code on an RCW or while the CLR itself is manipulating the COM component, for example when the CLR is releasing the COM component when the associated RCW has been garbage collected.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 간단한 재현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면 좋겠는데요. 막상 재현하려니 또 잘 안나는군요. ^^; 그래도 다소 억지스럽게 재현 코드를 쉽게 구성해 볼 수는 있습니다. 우선, ATL COM 프로젝트를 만들어 다음의 메서드만 하나 구현해 줍니다.

STDMETHODIMP CSimpleObject::DoDelay(LONG seconds)
{
    wprintf(L"DoDelay started!");
    Sleep(seconds * 1000);
    wprintf(L"DoDelay ended!");
    return S_OK;
}

그리고 이 COM 객체를 C# 콘솔 프로젝트에서 다음과 같이 사용해 줍니다.

using System.Threading;

namespace ConsoleApplication1
{
    public class Program
    {
        static ATLProject1Lib.SimpleObjectClass _so;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partmentState aptState = ApartmentState.STA;

            Thread t1 = new Thread(threadFunc1);
            t1.ApartmentState = aptState;
            t1.Start();

            Thread.Sleep(2000);

            Thread t2 = new Thread(threadFunc2);
            t2.ApartmentState = aptState;
            t2.Start();

            t1.Join();
            t2.Join();
        }

        private static void threadFunc1()
        {
            _so = new ATLProject1Lib.SimpleObjectClass();
            Thread.Sleep(5000);
        }

        private static void threadFunc2()
        {
            try
            {
                _so.DoDelay(5);
            } catch { }
        }
    }
}

위의 예제가 억지스러운 이유는 COM 객체를 생성한 threadFunc1에 메시지 루프가 없다는 점입니다. 이 때문에 해당 COM 객체를 다른 스레드에서 접근하는 경우 직렬화된 윈도우 메시지를 처리해 주지 않게 되므로 threadFunc2의 _so.DoDelay 호출은 blocking이 걸립니다. (즉, 이런 식으로 쓴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됩니다. 그냥 재현 예제로만 봐주세요.)

결국, ATL COM 객체를 생성했던 STA 스레드가 종료되었지만 t2 스레드에서는 여전히 해당 Apartment에서 생성된 COM 개체를 호출중인 상황이 발생한 것입니다.

이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에서 F5 디버깅을 걸면 "MDA(managed debugging assistant)" 덕분에 "DisconnectedContext" 유형의 상황이 발생했다는 아주 자세한 오류 메시지를 받게 됩니다.

반면, 디버깅을 하지 않으면 try/catch로 인해 예외를 먹는 상황이 됩니다. 혹은 threadFunc2의 try/catch를 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Runtime.InteropServices.InvalidComObjectException: COM object that has been separated from its underlying RCW cannot be used. The COM object was released while it was still in use on another thread.
   at System.StubHelpers.StubHelpers.GetCOMIPFromRCW(Object objSrc, IntPtr pCPCMD, IntPtr& ppTarget, Boolean& pfNeedsRelease)
   at ATLProject1Lib.SimpleObjectClass.DoDelay(Int32 seconds)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threadFunc2() in C:\...\ConsoleApplication1\Program.cs:line 37
   at System.Threading.ThreadHelper.ThreadStart_Context(Object state)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Internal(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Boolean preserveSyncCtx)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Boolean preserveSyncCtx)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at System.Threading.ThreadHelper.ThreadStart()

이처럼, MDA(managed debugging assistant)는 Managed/Unmanaged가 섞인 환경에서 CLR 입장으로써는 파악하기 힘든 문제의 원인을 보다 더 자세하게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때로는 이 예외가 발생한 경우 무시해도 되고, 무시하지 않아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령, 위에서 DoDelay 메서드는 호출 코드까지는 스레드가 수행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이후 작업을 전혀 못하고 예외가 발생한 것입니다. 따라서, 여러분의 코드에서 이 작업의 중요도에 대한 경중에 맞게 예외를 해결하든가, 무시하든가 하면 되는 것입니다.

(첨부한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14/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96정성태2/13/200730015오류 유형: 18. "Automatic Updates" 서비스 CPU 100% 점유 현상
393정성태11/8/200619546오류 유형: 17. Unable to start debugging - The binding handle is invalid.
371정성태10/23/200618720오류 유형: 16. STS Communication failed.
370정성태11/12/200622610.NET Framework: 75. Windows CardSpace 이야기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75정성태10/25/200624614    답변글 .NET Framework: 75.1. 개인 발행 카드에 대한 Microsoft 예제 실습(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76정성태10/27/200624203    답변글 .NET Framework: 75.2. "Windows CardSpace"와 "인증서 서비스"의 만남(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77정성태10/26/200623857    답변글 .NET Framework: 75.3. Managed Card 발행에 대한 Microsoft 예제 실습 (1) - CardWriter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85정성태11/6/200626482    답변글 .NET Framework: 75.4. Managed Card 발행에 대한 Microsoft 예제 실습 (2) - STS 구현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7]
387정성태11/2/200627264    답변글 .NET Framework: 75.5. Windows CardSpace와 SYSNET 사이트의 만남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1]
397정성태11/11/200624773    답변글 .NET Framework: 75.6. CardWriter.csproj와 함께 알아보는 인증서 식별 방법(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98정성태11/12/200623295    답변글 .NET Framework: 75.7. 카드에 암호 거는 방법(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99정성태11/12/200625551    답변글 .NET Framework: 75.8. 인증서/스마트 카드에 기반한 Managed Card - STS 구현(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5]
369정성태10/22/200621047오류 유형: 15. 자동 업데이트 실패
367정성태10/22/200636829Windows: 3. IIS 7.0 다중 바인딩 설정하는 방법 [1]
365정성태10/21/200620526Windows: 2. 서버(build 5600)에 IIS 7.0 서비스와 .NET 3.0 설치 방법
359정성태10/17/200616676오류 유형: 14. VS.NET 빌드 오류 - FxCopCmd.exe returned error code 65.
358정성태10/17/200621876오류 유형: 13. WSE 3.0 서비스 관련 WSE101 오류 / Destination Unreachable
357정성태12/1/200624132.NET Framework: 74. WCF 이야기 [4]
378정성태10/28/200628919    답변글 .NET Framework: 74.1. WCF와 WSE 3.0의 활용 [4]파일 다운로드1
379정성태11/3/200627867    답변글 .NET Framework: 74.2. WCF로 구현하는 .NET Remoting [4]파일 다운로드1
380정성태10/28/200626785    답변글 .NET Framework: 74.3. 웹 서비스와 닷넷 리모팅으로써의 WCF 구현파일 다운로드1
381정성태10/28/200629190    답변글 .NET Framework: 74.4. WCF 서비스 참조 추가 메뉴 [2]
382정성태10/28/200635264    답변글 .NET Framework: 74.5. WCF 서비스를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383정성태10/28/200630037    답변글 .NET Framework: 74.6. IIS 6.0: 다중 Endpoint 제공파일 다운로드1
384정성태10/28/200626929    답변글 .NET Framework: 74.7. IIS 7.0: 다중 Endpoint 제공
389정성태11/11/200629732    답변글 .NET Framework: 74.8. WCF에 SSL 적용 (1) - Httpcfg.exe 도구를 이용한 SSL 설정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