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문제 재현 - Managed Debugging Assistant 'DisconnectedContext' has detected a problem in '...'

비주얼 스튜디오로 디버깅 시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한다면?

Managed Debugging Assistant 'DisconnectedContext' has detected a problem in 'C:\...\ConsoleApplication1\bin\x86\Debug\ConsoleApplication1.exe'.

Additional information: Transition into COM context 0xdd0138 for this RuntimeCallableWrapper failed with the following error: The object invoked has disconnected from its clients. (Exception from HRESULT: 0x80010108 (RPC_E_DISCONNECTED)). This is typically because the COM context 0xdd0138 where this RuntimeCallableWrapper was created has been disconnected or it is busy doing something else and cannot process the context transition. No proxy will be used to service the request on the COM component and calls will be made to the COM component directly. This may cause corruption or data loss. To avoid this problem, please ensure that all COM contexts/apartments/threads stay alive and are available for context transition, until the application is completely done with the RuntimeCallableWrappers that represents COM components that live inside them.


아래의 문서에 따라 원인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disconnectedContext MDA
; https://docs.microsoft.com/en-us/dotnet/framework/debug-trace-profile/disconnectedcontext-mda

말 그대로 다음의 원인 때문입니다.

The OLE apartment or context has been shut down when the CLR attempts to transition into it. This is most commonly caused by STA apartments being shut down before all the COM components owned by the apartment were completely released. This can occur as a result of an explicit call from user code on an RCW or while the CLR itself is manipulating the COM component, for example when the CLR is releasing the COM component when the associated RCW has been garbage collected.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 간단한 재현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면 좋겠는데요. 막상 재현하려니 또 잘 안나는군요. ^^; 그래도 다소 억지스럽게 재현 코드를 쉽게 구성해 볼 수는 있습니다. 우선, ATL COM 프로젝트를 만들어 다음의 메서드만 하나 구현해 줍니다.

STDMETHODIMP CSimpleObject::DoDelay(LONG seconds)
{
    wprintf(L"DoDelay started!");
    Sleep(seconds * 1000);
    wprintf(L"DoDelay ended!");
    return S_OK;
}

그리고 이 COM 객체를 C# 콘솔 프로젝트에서 다음과 같이 사용해 줍니다.

using System.Threading;

namespace ConsoleApplication1
{
    public class Program
    {
        static ATLProject1Lib.SimpleObjectClass _so;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partmentState aptState = ApartmentState.STA;

            Thread t1 = new Thread(threadFunc1);
            t1.ApartmentState = aptState;
            t1.Start();

            Thread.Sleep(2000);

            Thread t2 = new Thread(threadFunc2);
            t2.ApartmentState = aptState;
            t2.Start();

            t1.Join();
            t2.Join();
        }

        private static void threadFunc1()
        {
            _so = new ATLProject1Lib.SimpleObjectClass();
            Thread.Sleep(5000);
        }

        private static void threadFunc2()
        {
            try
            {
                _so.DoDelay(5);
            } catch { }
        }
    }
}

위의 예제가 억지스러운 이유는 COM 객체를 생성한 threadFunc1에 메시지 루프가 없다는 점입니다. 이 때문에 해당 COM 객체를 다른 스레드에서 접근하는 경우 직렬화된 윈도우 메시지를 처리해 주지 않게 되므로 threadFunc2의 _so.DoDelay 호출은 blocking이 걸립니다. (즉, 이런 식으로 쓴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됩니다. 그냥 재현 예제로만 봐주세요.)

결국, ATL COM 객체를 생성했던 STA 스레드가 종료되었지만 t2 스레드에서는 여전히 해당 Apartment에서 생성된 COM 개체를 호출중인 상황이 발생한 것입니다.

이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에서 F5 디버깅을 걸면 "MDA(managed debugging assistant)" 덕분에 "DisconnectedContext" 유형의 상황이 발생했다는 아주 자세한 오류 메시지를 받게 됩니다.

반면, 디버깅을 하지 않으면 try/catch로 인해 예외를 먹는 상황이 됩니다. 혹은 threadFunc2의 try/catch를 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Runtime.InteropServices.InvalidComObjectException: COM object that has been separated from its underlying RCW cannot be used. The COM object was released while it was still in use on another thread.
   at System.StubHelpers.StubHelpers.GetCOMIPFromRCW(Object objSrc, IntPtr pCPCMD, IntPtr& ppTarget, Boolean& pfNeedsRelease)
   at ATLProject1Lib.SimpleObjectClass.DoDelay(Int32 seconds)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threadFunc2() in C:\...\ConsoleApplication1\Program.cs:line 37
   at System.Threading.ThreadHelper.ThreadStart_Context(Object state)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Internal(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Boolean preserveSyncCtx)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Boolean preserveSyncCtx)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at System.Threading.ThreadHelper.ThreadStart()

이처럼, MDA(managed debugging assistant)는 Managed/Unmanaged가 섞인 환경에서 CLR 입장으로써는 파악하기 힘든 문제의 원인을 보다 더 자세하게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때로는 이 예외가 발생한 경우 무시해도 되고, 무시하지 않아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령, 위에서 DoDelay 메서드는 호출 코드까지는 스레드가 수행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이후 작업을 전혀 못하고 예외가 발생한 것입니다. 따라서, 여러분의 코드에서 이 작업의 중요도에 대한 경중에 맞게 예외를 해결하든가, 무시하든가 하면 되는 것입니다.

(첨부한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817정성태2/17/20199954오류 유형: 514. WinDbg Preview 실행 오류 - Error : DbgX.dll : WindowsDebugger.WindowsDebuggerException: Could not load dbgeng.dll
11816정성태2/17/201912469Windows: 157. 윈도우 스토어 앱(Microsoft Store App)을 명령행에서 직접 실행하는 방법
11815정성태2/14/201911358오류 유형: 513. Visual Studio 2019 - VSIX 설치 시 "The extension cannot be installed to this product due to prerequisites that cannot be resolved." 오류 발생
11814정성태2/12/201910170오류 유형: 512. VM(가상 머신)의 NT 서비스들이 자동 시작되지 않는 문제
11813정성태2/12/201911759.NET Framework: 809. C# - ("Save File Dialog" 등의) 대화 창에 확장 속성을 보이는 방법
11812정성태2/11/20199624오류 유형: 511. Windows Server 2003 VM 부팅 후 로그인 시점에 0xC0000005 BSOD 발생
11811정성태2/11/201913390오류 유형: 510. 서버 운영체제에 NVIDIA GeForce Experience 실행 시 wlanapi.dll 누락 문제
11810정성태2/11/201911455.NET Framework: 808. .NET Profiler - GAC 모듈에서 GAC 비-등록 모듈을 참조하는 경우의 문제
11809정성태2/11/201912943.NET Framework: 807. ClrMD를 이용해 메모리 덤프 파일로부터 특정 인스턴스를 참조하고 있는 소유자 확인
11808정성태2/8/201914007디버깅 기술: 123. windbg - 닷넷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누수 분석
11807정성태1/29/201912322Windows: 156. 가상 디스크의 용량을 복구 파티션으로 인해 늘리지 못하는 경우 [4]
11806정성태1/29/201912055디버깅 기술: 122.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PID와 환경 변수 등의 정보를 구하는 방법
11805정성태1/28/201913908.NET Framework: 806. C# - int []와 object []의 차이로 이해하는 제네릭의 필요성 [4]파일 다운로드1
11804정성태1/24/201911950Windows: 155. diskpart - remove letter 이후 재부팅 시 다시 드라이브 문자가 할당되는 경우
11803정성태1/10/201911449디버깅 기술: 121. windbg - 닷넷 Finalizer 스레드가 멈춰있는 현상
11802정성태1/7/201912819.NET Framework: 805. 두 개의 윈도우를 각각 실행하는 방법(Windows Forms, WPF)파일 다운로드1
11801정성태1/1/201913855개발 환경 구성: 427. Netsh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기능 [3]
11800정성태12/28/201813144오류 유형: 509. WCF 호출 오류 메시지 - System.ServiceModel.CommunicationException: Internal Server Error
11799정성태12/19/201813956.NET Framework: 804. WPF(또는 WinForm)에서 UWP UI 구성 요소 사용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1798정성태12/19/201813196개발 환경 구성: 426. vcpkg - "Building vcpkg.exe failed. Please ensure you have installed Visual Studio with the Desktop C++ workload and the Windows SDK for Desktop C++"
11797정성태12/19/201810552개발 환경 구성: 425. vcpkg - CMake Error: Problem with archive_write_header(): Can't create '' 빌드 오류
11796정성태12/19/201810208개발 환경 구성: 424. vcpkg - "File does not have expected hash" 오류를 무시하는 방법
11795정성태12/19/201812607Windows: 154. PowerShell - Zone 별로 DNS 레코드 유형 정보 조회 [1]
11794정성태12/16/20189999오류 유형: 508. Get-AzureWebsite : Request to a downlevel service failed.
11793정성태12/16/201811622개발 환경 구성: 423. NuGet 패키지 제작 - Native와 Managed DLL을 분리하는 방법 [1]
11792정성태12/11/201812386Graphics: 34.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11) - Per-Pixel Lighting파일 다운로드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