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Studio 2015의 "DTAR_..." 특수 폴더가 생성되는 문제

Visual Studio 2015부터, .sln 솔루션 파일이 있는 폴더에 "DTAR_08E86330_4835_4B5C_9E5A_61F37AE1A077_DTAR" 폴더가 생성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 뿐만 아니라 동일한 폴더에 "obj" 라는 비어 있는 폴더도 생성됩니다. (이 글에 첨부된 솔루션 프로젝트를 내려받아 Visual Studio 2015에서 열면, 여는 그 순간부터 DTAR_... 폴더가 .sln 솔루션 파일이 있는 폴더에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 은근 이슈가 되었나 봅니다.

Getting empty folder in project root after opening SLN file - DTAR_08E86330_4835_4B5C_9E5A_61F37AE1A077_DTAR 
; https://connect.microsoft.com/VisualStudio/feedback/details/1909707/getting-empty-folder-in-project-root-after-opening-sln-file-dtar-08e86330-4835-4b5c-9e5a-61f37ae1a077-dtar

보면 재미있는 덧글이 하나 있는데요.

I also have this issue. I have some extensions loaded, but these only appear if I open the solution by double clicking the .sln file. If I open VS2015 and then open the solution from within the IDE these folders do not appear.


탐색기를 통해 더블 클릭으로 열지 말고, 비주얼 스튜디오 2015를 띄운 후 열기 메뉴로 해당 솔루션을 열면 "obj"와 "DTAR_08E86330_4835_4B5C_9E5A_61F37AE1A077_DTAR" 폴더가 생성되지 않습니다. 또는, 탐색기에서 ".sln" 파일을 우클릭 후 "Open with" 메뉴를 통해 "Microsoft Visual Studio Version Selector"로 실행하면,

dtar_1.png

역시 "DTAR..." 파일이 생성되지 않습니다. 도대체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요? 그래서 sysmon.exe를 이용해 명령행 차이를 알아봤습니다.

// Open with로 여는 경우 (DTAR... 가 안 생김)

Image: C:\Program Files (x86)\Common Files\Microsoft Shared\MSEnv\VSLauncher.exe
CommandLine: "C:\Program Files (x86)\Common Files\Microsoft Shared\MSEnv\VSLauncher.exe" "C:\sampeapp\consoleapp\ConsoleApplication1.sln"
CurrentDirectory: C:\WINDOWS\system32\

// 더블 클릭으로 여는 경우 (DTAR... 가 생김)

Image: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14.0\Common7\IDE\devenv.exe
CommandLine: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14.0\Common7\IDE\devenv.exe" "C:\sampeapp\consoleapp\ConsoleApplication1.sln"
CurrentDirectory: C:\sampeapp\consoleapp\

테스트 해보면 VSLauncher.exe나 devenv.exe와는 차이가 없습니다. 실제로 VSLauncher.exe든, devenv.exe든 직접 cmd.exe에서 수행해도 DTAR... 폴더가 생겼기 때문입니다. 대신 "Current Directory"가 "C:\WINDOWS\system32\"인 경우에는 VSLauncher.exe든, devenv.exe든 모두 DTAR... 폴더가 생성되지 않았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C:\WINDOWS\system32"에 대한 권한이 일반 Medium 사용자로는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폴더가 생성되지 않은 것입니다.

휴... 그럼 대충 우회책이 나왔군요. ^^

그렇다면, .sln 파일을 더블 클릭했을 때 "Current Directory"를 "C:\WINDOWS\system32"로 바꾸고 다음의 역할을 해주기만 하면 되는 것입니다.

"C:\Program Files (x86)\Common Files\Microsoft Shared\MSEnv\VSLauncher.exe" "%1"

물론 여러분들이 직접 만드셔도 되는데, 일단 제가 github에 다음의 소스 코드를 올려두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

NoDtarVisualStudioVersionSelector
; https://github.com/stjeong/NoDtarVisualStudioVersionSelector

(github에 올려둔 소스 코드를 이 글에도 첨부했으니 참고하세요.)




참고로, 답글에 보면 Microsoft 직원이 제시한 해결책이 있습니다. 하지만 제 경우에는 해결되지 않았고 "timfriesen" 라는 사람도 역시 해결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어쨌든 여러분들은 혹시 통할지도 모르니 정리해 보면.

그냥 다음의 파일을,

"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NETCore\v5.0\GlobalDTARSettings.proj

github에 있는 다음의 파일로 덮어쓰라는 것입니다.

https://gist.github.com/ericstj/b40dd3846c3faec5ea1ba55fce64d1f8

원한다면 그냥 다른 부분만 편집해도 됩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메모장을 실행한 후 다음과 같이 변경을 해주시면 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Project ToolsVersion="4.0" DefaultTargets="Build" xmlns="http://schemas.microsoft.com/developer/msbuild/2003">
    <PropertyGroup>
        <OutputPath>DTAR_08E86330_4835_4B5C_9E5A_61F37AE1A077_DTAR</OutputPath>
        <TargetFrameworkIdentifier>.NETCore</TargetFrameworkIdentifier>
        <TargetFrameworkVersion>v5.0</TargetFrameworkVersion>
        <TargetFrameworkProfile></TargetFrameworkProfile>
        <TargetPlatformIdentifier>UAP</TargetPlatformIdentifier>
        <TargetPlatformVersion>10.0</TargetPlatformVersion>
        <FrameworkRegistryBase></FrameworkRegistryBase>
        <ProcessorArchitecture>msil</ProcessorArchitecture>

        <!-- add this line -->
        <Platform Condition=" '$(Platform)' == '' ">x86</Platform>

        <!-- Tell DTAR to read the @(Reference) items from our nuget packages -->
        <DTARUseReferencesFromProject>true</DTARUseReferencesFromProject>
        <!-- Ensure we use .NETCore,Version=v5.0 for resolution since that is what is in the project.json -->
        <NuGetTargetMoniker>.NETCore,Version=v5.0</NuGetTargetMoniker>

        <!-- remove CopyNuGetImplementations -->
        <!--
        <!-- We don't need implementations, so just don't compute them -->
        <CopyNuGetImplementations>false</CopyNuGetImplementations>
        -->

    </PropertyGroup>


    <!-- add 3 PropertyGroup for ARM/x64/x86 -->
    <PropertyGroup Condition="'$(Platform)' == 'ARM'">
        <PlatformTarget>ARM</PlatformTarget>
    </PropertyGroup>
    <PropertyGroup Condition="'$(Platform)' == 'x64'">
        <PlatformTarget>x64</PlatformTarget>
    </PropertyGroup>
    <PropertyGroup Condition="'$(Platform)' == 'x86'">
        <PlatformTarget>x86</PlatformTarget>
    </PropertyGroup>


    <PropertyGroup Condition="'$(GlobalDTARTargetsImport)' == '' or !Exists('$(GlobalDTARTargetsImport)')">
        <GlobalDTARTargetsImport>$(MSBuildToolsPath)\Microsoft.Common.targets</GlobalDTARTargetsImport>
    </PropertyGroup>

    <Target Name="PrepareForResolveNuGetPackageAssets">
        <ItemGroup>
            <_ProjectLockJsonDirectoryRoots Include="$(TargetFrameworkDirectory)" />
        </ItemGroup>
        <PropertyGroup>
            <!-- This project file content is copied to another directory when consumed by VS, 
                 make sure they can still find the Project.lock.json -->
            <ProjectLockFile Condition="Exists('%(_ProjectLockJsonDirectoryRoots.Identity)project.lock.json')">%(_ProjectLockJsonDirectoryRoots.Identity)project.lock.json</ProjectLockFile>
            <!-- This project may be run before a restore has been done, so resolve from the 
                 pre-installed package location -->
            <NugetPackagesDirectory>$([MSBuild]::GetRegistryValueFromView('HKEY_LOCAL_MACHINE\SOFTWARE\NuGet\Repository', 'NETCoreSDK', null, RegistryView.Registry32, RegistryView.Default))</NugetPackagesDirectory>
        </PropertyGroup>
    </Target>

    <PropertyGroup>
        <GlobalDesignTimeResolveAssemblyReferencesDependsOn>
            GetFrameworkPaths;
            GetReferenceAssemblyPaths;
            PrepareForResolveNuGetPackageAssets;
            ResolveAssemblyReferences;
        </GlobalDesignTimeResolveAssemblyReferencesDependsOn>
    </PropertyGroup>

    <Target
        Name="GlobalDesignTimeResolveAssemblyReferences"
        DependsOnTargets="$(GlobalDesignTimeResolveAssemblyReferencesDependsOn)" />

    <Import Project="$(GlobalDTARTargetsImport)" />
</Project>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03정성태6/26/201227398개발 환경 구성: 152. sysnet DB를 SQL Azure 데이터베이스로 마이그레이션
1302정성태6/25/201229419개발 환경 구성: 151. Azure 웹 사이트에 사용자 도메인 네임 연결하는 방법
1301정성태6/20/201225764오류 유형: 156. KB2667402 윈도우 업데이트 실패 및 마이크로소프트 Answers 웹 사이트 대응
1300정성태6/20/201231771.NET Framework: 329. C# - Rabin-Miller 소수 생성방법을 이용하여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개인키를 직접 채워보자 [1]파일 다운로드2
1299정성태6/18/201232884제니퍼 .NET: 21. 제니퍼 닷넷 - Ninject DI 프레임워크의 성능 분석 [2]파일 다운로드2
1298정성태6/14/201234405VS.NET IDE: 72. Visual Studio에서 pfx 파일로 서명한 경우, 암호는 어디에 저장될까? [2]
1297정성태6/12/201231051VC++: 63. 다른 프로세스에 환경 변수 설정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96정성태6/5/201227678.NET Framework: 328. 해당 DLL이 Managed인지 / Unmanaged인지 확인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4]파일 다운로드1
1295정성태6/5/201225081.NET Framework: 327. RSAParameters와 System.Numerics.BigInteger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294정성태5/27/201248526.NET Framework: 326. 유니코드와 한글 - 유니코드와 닷넷을 이용한 한글 처리 [7]파일 다운로드2
1293정성태5/24/201229773.NET Framework: 325. System.Drawing.Bitmap 데이터를 Parallel.For로 처리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92정성태5/24/201223754.NET Framework: 324. First-chance exception에 대해 조건에 따라 디버거가 멈추게 할 수는 없을까? [1]파일 다운로드1
1291정성태5/23/201230275VC++: 62. 배열 초기화를 위한 기계어 코드 확인 [2]
1290정성태5/18/201235080.NET Framework: 323.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작업을 COM+에 대행 [7]파일 다운로드1
1289정성태5/17/201239239.NET Framework: 322. regsvcs.exe로 어셈블리 등록 시 시스템 변경 사항 [5]파일 다운로드2
1288정성태5/17/201226462.NET Framework: 321. regasm.exe로 어셈블리 등록 시 시스템 변경 사항 (3) - Type Library파일 다운로드1
1287정성태5/17/201229299.NET Framework: 320. regasm.exe로 어셈블리 등록 시 시스템 변경 사항 (2) - .NET 4.0 + .NET 2.0 [2]
1286정성태5/17/201238219.NET Framework: 319. regasm.exe로 어셈블리 등록 시 시스템 변경 사항 (1) - .NET 2.0 + x86/x64/AnyCPU [5]
1285정성태5/16/201233264.NET Framework: 318. gacutil.exe로 어셈블리 등록 시 시스템 변경 사항파일 다운로드1
1284정성태5/15/201225695오류 유형: 155. Windows Phone 연결 상태에서 DRIVER POWER STATE FAILURE 블루 스크린 뜨는 현상
1283정성태5/12/201233307.NET Framework: 317. C# 관점에서의 Observer 패턴 구현 [1]파일 다운로드1
1282정성태5/12/201226105Phone: 6. Windows Phone 7 Silverlight에서 Google Map 사용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281정성태5/9/201233188.NET Framework: 316. WPF/Silverlight의 그래픽 단위와 Anti-aliasing 처리를 이해하자 [1]파일 다운로드1
1280정성태5/9/201226155오류 유형: 154. Could not load type 'System.ServiceModel.Activation.HttpModule' from assembly 'System.ServiceModel, ...'.
1279정성태5/9/201224918.NET Framework: 315. 해당 DLL이 Managed인지 / Unmanaged인지 확인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78정성태5/8/201226146오류 유형: 153. Visual Studio 디버깅 - Unable to break execution. This process is not currently executing the type of code that you selected to debug.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