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584. C# - 파일 확장자에 연결된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방법 (1) - 기본
; https://www.sysnet.pe.kr/2/0/10966

.NET Framework: 585. C# - 파일 확장자에 연결된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방법 (2) - 웹 브라우저가 다운로드 후 자동 실행
; https://www.sysnet.pe.kr/2/0/10967

.NET Framework: 586. C# - 파일 확장자에 연결된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방법 (3) - "Open with" 목록에 등록
; https://www.sysnet.pe.kr/2/0/10969




C# - 파일 확장자에 연결된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방법 (2) - 웹 브라우저가 다운로드 후 자동 실행

지난번에 연결한 파일 확장자(.1myext)에 해당하는 파일을,

C# - 파일 확장자에 연결된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방법 (1) - 기본
; https://www.sysnet.pe.kr/2/0/10966

IIS 웹 서버에 올려놓고 web.config에 웹 브라우저가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확장자를 연결해 줍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configuration>
    <system.webServer>
        <staticContent>
            <mimeMap fileExtension=".1myext" mimeType="application/octet-stream" />
        </staticContent>
    </system.webServer>
</configuration>

이제 웹 브라우저에서 해당 파일을 열면 다음과 같이 다운로드 되었음을 알리는 창이 뜹니다.

yourext_web_browser_open_1.png

그런데, 웹 브라우저가 test.1myext 파일을 다운로드 받았으면 곧바로 우리가 등록한 프로그램을 실행해 주면 더 좋지 않을까요? 이를 위해 확장자 연결 프로그램 등록 시 "EditFlags" 값을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FILETYPEATTRIBUTEFLAGS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shlwapi/ne-shlwapi-filetypeattributeflags

Configuring Windows Explorer - Registry EditFlags
; http://mc-computing.com/winexplorer/WinExplorerEditFlags.htm

다양한 EditFlags 값 중에서 웹 브라우저에 안전하게 열 수 있도록 지정하는 값은 FTA_OpenIsSafe(0x00010000) 입니다.

FTA_OpenIsSafe - 0x00010000

Indicates that the file type's open verb can be safely invoked for downloaded files. This flag applies only to safe file types, as identified by AssocIsDangerous. To improve the user experience and reduce unnecessary user prompts when downloading and activating items, file type owners should specify this flag and applications that download and activate files should respect this flag.


그럼, 지난 예제 프로젝트에 관련 코드를 추가해야겠지요.

private static void ProcessFileExtReg(bool register)
{
    using (RegistryKey classesKey = Registry.CurrentUser.OpenSubKey(@"Software\Classes", true))
    {
        if (register == true)
        {
            // ...[생략]...

            using (RegistryKey typeKey = classesKey.CreateSubKey(extType))
            {
                typeKey.SetValue(null, fileTypeDesc);
                typeKey.SetValue("EditFlags", new byte[] { 00, 00, 01, 00 }, RegistryValueKind.Binary);
                // ...[생략]...
            }
        }
        // ...[생략]...
    }
}

이렇게 등록한 후, 다시 웹 브라우저에서 해당 파일을 주소창에 치고 들어가면 이번에는 다운로드 알림 창이 아닌, 다음과 같이 연결 프로그램이 직접 실행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yourext_web_browser_open_2.png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458정성태2/12/200721831.NET Framework: 81. LINQ 개발 환경 설정 [1]
457정성태2/8/200726293.NET Framework: 80. LINQ 관련 용어 정리 및 리소스 소개 [2]
456정성태2/6/200724544Windows: 22. 가상화에 대해서.
455정성태2/4/200719388오류 유형: 25. 원격 데스크톱 환경에서의 Virtual Server 관리 환경 제어
454정성태2/4/200716894오류 유형: 24. VPC에서의 Vista 네트워킹 문제
509손대성6/24/200718990    답변글 오류 유형: 24.1. [답변]: 오류 유형 : 23. VPC 에서의 Vista 네트워킹 문제
453정성태2/4/200725065개발 환경 구성: 21. 서버 측 SoapExtension을 클라이언트에 알리고 싶다
452정성태1/31/200724778VC++: 31. 비스타에서 VS.NET 2005로 COM 프로젝트 빌드시 오류 [2]
451정성태1/31/200723941Windows: 21. Preview Handler 소개
450정성태1/30/200732234VS.NET IDE: 43. .NET에서의 필수 무결성 제어 조절하는 방법 - Manifest 파일 이용파일 다운로드2
449정성태2/4/200729056Windows: 20. UAC 이모저모 [2]
448정성태1/28/200724722Windows: 19. 3가지 유형의 가젯 프로그램
447정성태1/27/200721914Windows: 18. 비스타 도구 - 사양 정보 및 도구(Performance Information and Tools)
446정성태1/27/200730851VC++: 30. 필수 무결성 제어를 조절하는 방법(2) - 직접 코딩파일 다운로드1
445정성태2/8/200729432VC++: 29. 필수 무결성 제어를 조절하는 방법(1) - Manifest 파일 이용파일 다운로드2
444정성태1/27/200722863VC++: 28. 비스타 응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VS.NET 2005 환경 설정
443정성태1/26/200721318VC++: 27. COM 개체로 인해 IE 7 비스타 버전이 종료될 때 오류 화면이 뜬다면?파일 다운로드1
442정성태1/24/200724312.NET Framework: 79. 새로운 암호화 클래스 (ECDsaCng, ECDiffieHellmanCng) 소개 [1]
441정성태1/23/200729039Windows: 17. 보안 데스크톱에서 활성화되지 않은 UAC 창이 안전할까?
440정성태1/24/200723160.NET Framework: 78. C# 3.0 - Anonymous types [1]
439정성태1/25/200724166.NET Framework: 77. C# 3.0 - Lambda 표현식 [1]
438정성태1/24/200723626.NET Framework: 76. C# 3.0 - 확장 함수
437정성태1/23/200731102Windows: 16. 개발자를 위한 UAC 환경 설정 [3]
436정성태1/17/200720265VS.NET IDE: 42. Orcas 2007년 1월 CTP 버전 설치 [5]
435정성태1/14/200719912기타: 17. 베타 제품과 최종 제품은 다르다 [2]
434정성태2/4/200723513Windows: 15. MIC 환경 구성 - Windows XP와 유사한 보안 설정 [4]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