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593. C# - wsDualHttpBinding WCF 예제 프로그램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729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 - wsDualHttpBinding WCF 예제 프로그램

wsDualHttpBinding은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면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WCF 바인딩입니다.

WS Dual Http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framework/wcf/samples/ws-dual-http

예제 코드를 간단하게 만들어 볼까요?

Visual Studio 2015를 실행하고 "WCF Service Application"을 하나 생성합니다. 그럼, 기본적인 웹 응용 프로그램과 함께 Service1.svc 파일이 만들어집니다. 이 상태에서 단지 web.config에 DualHttp 바인딩을 추가하는 것으로 Dual 바인딩 예제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system.serviceModel>
    ...[생략]...
    <protocolMapping>
        <add binding="wsDualHttpBinding" bindingConfiguration="wsDualHttpBindingConfig" scheme="http" />
    </protocolMapping>    

    ...[생략]...

      <bindings>
          <wsDualHttpBinding>
              <binding name="wsDualHttpBindingConfig">
                  <security mode="None" />
              </binding>
          </wsDualHttpBinding>
      </bindings>
  </system.serviceModel>

(위의 구성이 낯선 분들이 있을 텐데요, 새롭게 지원되는 약식화된 WCF 구성입니다. 물론 기존의 형식들도 함께 지원되므로 자유롭게 선택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테스트용 클라이언트는 단순하게 Console 프로젝트로 만들어 "Add Service Reference..."를 이용해 WCF Service Application에서 노출하는 경로를 입력하면 됩니다. (대개의 경우, "http://localhost:21430/Service1.svc?wsdl"의 형식입니다.)

자동 생성된 코드에서 대부분의 복잡한 작업을 하므로 사용 코드는 매우 간단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Diagnostics;

namespace ConsoleApplication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using (ServiceReference1.Service1Client sc = new ServiceReference1.Service1Client())
            {
                sc.GetData(50);
            }
        }
    }
}




dual의 장점은 콜백이 가능하다는 점인데, 이 부분을 꼭 실습해 봐야지요. ^^

우선 Callback 용 인터페이스를 서비스 측에 등록하고,

public interface IService1Callback
{
    [OperationContract(IsOneWay = true)]
    void Finished(bool result);
}

기존의 서비스 인터페이스에 지정된 ServiceContract 특성 내에 CallbackContract로 등록해 줍니다.

[ServiceContract(CallbackContract = typeof(IService1Callback))]
public interface IService1
{
    [OperationContract]
    string GetData(int value);

    [OperationContract]
    CompositeType GetDataUsingDataContract(CompositeType composite);
}

등록된 콜백 인터페이스의 구현은 클라이언트 측에서 제공하게 되는데요. 따라서 서버는 그 인터페이스에 정의된 메서드를 호출해 클라이언트 측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됩니다. 다음과 같이.

public class Service1 : IService1
{
    public string GetData(int value)
    {
        IService1Callback callback = OperationContext.Current.GetCallbackChannel<IService1Callback>();

        Thread.Sleep(value * 1000);

        callback.Finished(true); // 이 메서드를 호출한 클라이언트 측의 Finished 메서드를 호출
        return string.Format("You entered: {0}", value);
    }
}

여기까지 하고 클라이언트 측의 Service Reference 노드를 마우스 우클릭해 "Update Service Reference" 메뉴를 선택하면 새로운 wsdl을 기반으로 코드가 자동생성됩니다. 그리고 이제는 ServiceClient 코드 생성시 다음과 같이 callback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인스턴스를 함께 넣어주어야 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ServiceModel;

namespace ConsoleApplication1
{
    public class CallbackProc : ServiceReference1.IService1Callback
    {
        public void Finished(bool result)
        {
            Console.WriteLine(DateTime.Now + ": callback - " + result);
        }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allbackProc callback = new CallbackProc();

            InstanceContext ic = new InstanceContext(callback);
            using (ServiceReference1.Service1Client sc = new ServiceReference1.Service1Client(ic))
            {
                Console.WriteLine("[calling] sc.GetData");
                sc.GetData(50);
                Console.WriteLine("[called] sc.GetData");
            }
        }
    }
}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calling] sc.GetData
2016-05-31 오후 11:11:41: callback - True
[called] sc.GetData

그외 나머지 기능들은 이제부터 살을 붙여 나가시면 됩니다. ^^

참고로, 기타 다양한 유형의 WCF 예제 코드를 마이크로소프트가 제공하므로 이를 활용하셔도 좋습니다.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WCF) and Windows Workflow Foundation (WF) Samples for .NET Framework 4 
; https://www.microsoft.com/en-us/download/details.aspx?id=21459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 (WCF) samples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framework/wcf/samples/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3/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54정성태9/19/201224456.NET Framework: 338. .NET CLR GC 시간 측정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53정성태9/17/201225764.NET Framework: 337. Python의 생성기와 코루틴을 C#으로 표현하면. [2]파일 다운로드1
1352정성태9/13/201223820.NET Framework: 336. .NET Profiler가 COM 개체일까?
1351정성태9/13/201228249디버깅 기술: 49. windbg - .NET Framework 스레드 개체의 COM Apartment 유형 확인하는 방법
1350정성태9/12/201228905개발 환경 구성: 167. (실은) 무료가 아니었던 AWS EC2 서비스 [4]
1349정성태9/11/201260646VS.NET IDE: 74. Visual Studio의 '새 파일'을 UTF-8 인코딩으로 지정하는 방법 [4]
1348정성태9/11/201228083오류 유형: 164. Active Directory - Functional Level 승격이 안 되는 문제
1347정성태9/10/201230552Windows: 62. 윈도우 서버 2012 - Hyper-V 서버 마이그레이션 [1]
1346정성태9/10/201231411Windows: 61. 윈도우 서버 2012 - Active Directory 서버 마이그레이션
1345정성태9/10/201235456스크립트: 12. 파이썬 - Win32 DLL 연동 [2]
1344정성태9/10/201228578오류 유형: 163. .NET Framework 4.5 제거 후 Visual Studio 2010 실행 시 Unknown Error
1343정성태9/8/201242341스크립트: 11. 파이썬(Python) 윈도우 개발 환경 [7]
1342정성태9/6/201226535VS.NET IDE: 73. Visual Studio 2012 - XmlCodeGenerator 마이그레이션
1341정성태9/4/201235848Windows: 60. Hyper-V에서 RemoteFX 없이 DirectX 11 제공 [12]
1340정성태9/4/201228039개발 환경 구성: 166. DOS - ping 결과에서 평균 응답 시간값 추출하기 [3]
1339정성태9/4/201230480개발 환경 구성: 165. 새로운 Visual Studio 2012 원격 디버깅 툴 [5]
1338정성태9/4/201232299.NET Framework: 335. C# - (핸들을 이용하여) 모든 열린 파일을 열람 [6]파일 다운로드1
1337정성태8/30/201222079Phone: 7. 디버거로 실습해 보는 윈도우 폰의 Tombstone 상태파일 다운로드1
1336정성태8/30/201240140.NET Framework: 334. 스레드 비정상 종료로 발생하는 CLOSE_WAIT 소켓 상태 [2]파일 다운로드1
1335정성태8/30/201228893Windows: 59. Hyper-V Internal 네트워크 VM의 인터넷 접속
1334정성태8/29/201248170.NET Framework: 333. 코드로 재현하는 소켓 상태(FIN_WAIT1, FIN_WAIT2, TIME_WAIT, CLOSE_WAIT, LAST_WAIT) [6]
1333정성태8/27/201251617개발 환경 구성: 164. system32 폴더에 있는 파일의 권한 조정 [2]
1332정성태8/23/201223524Team Foundation Server: 48. TFS - Team Project Collection 이전하는 방법
1331정성태8/23/201226668오류 유형: 162. Database '...' already exists. Choose a different database name. (Microsoft SQL Server, Error: 1801)
1330정성태8/22/201227417Team Foundation Server: 47. 5인 이내의 팀, 또는 개인 로컬 소스 관리를 위한 무료 TFS Express
1329정성태8/21/201222897오류 유형: 161. Azure - Storage 삭제가 안되는 경우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