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340. HTTP Error 500.23 - Internal Server Error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122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aptcha.zip]    

(시리즈 글이 15개 있습니다.)
오류 유형: 2. [COM+] CreateObject 와 HTTP 500 - Internal server error
; https://www.sysnet.pe.kr/2/0/242

오류 유형: 111. IIS - 500.19 오류 (0x8007000d)
; https://www.sysnet.pe.kr/2/0/976

오류 유형: 201. ASP.NET 웹 사이트를 IIS 7 이상의 환경에서 호스팅할 때 500 오류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563

오류 유형: 219.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Skydrive에 공유된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612

오류 유형: 232.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NTFS 암호화된 폴더에 웹 애플리케이션이 위치한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722

오류 유형: 340. HTTP Error 500.23 - Internal Server Error
; https://www.sysnet.pe.kr/2/0/10997

오류 유형: 360. IIS - 500.19 오류 (0x80070021)
; https://www.sysnet.pe.kr/2/0/11061

개발 환경 구성: 307.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120

오류 유형: 580.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 https://www.sysnet.pe.kr/2/0/12064

오류 유형: 631. .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 오류 - HTTP Error 500.35 - ANCM Multiple In-Process Applications in same Process
; https://www.sysnet.pe.kr/2/0/12268

오류 유형: 662. ASP.NET Core와 500.19, 500.21 오류 (0x8007000d)
; https://www.sysnet.pe.kr/2/0/12356

개발 환경 구성: 635.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실행하던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명령행에서 실행하는 방법 (2)
; https://www.sysnet.pe.kr/2/0/12955

.NET Framework: 1164. HTTP Error 500.31 - ANCM Failed to Find Native Dependencies
; https://www.sysnet.pe.kr/2/0/12982

오류 유형: 884. HTTP 500.0 - 명령행에서 실행한 ASP.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88

오류 유형: 899. HTTP Error 500.32 - ANCM Failed to Load dll
; https://www.sysnet.pe.kr/2/0/13579




HTTP Error 500.23 - Internal Server Error

.NET에서 사용할 수 있는 Captcha 라이브러리로 다음의 소스 코드를 다운로드 받아 실행해 보았습니다.

ASP.NET Captcha
; https://captcha.codeplex.com/
; https://www.codeproject.com/Articles/8751/A-CAPTCHA-Server-Control-for-ASP-NET

그런데, 해당 프로젝트의 기본 실행 설정으로 되어 있는 IIS Express는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를 담은 결과만 낼 뿐 제대로 실행되지 않았습니다.

HTTP Error 500.23 - Internal Server Error

An ASP.NET setting has been detected that does not apply in Integrated managed pipeline mode.

Detailed Error Information:

Module
   ConfigurationValidationModule 

Notification
   BeginRequest 

Handler
   PageHandlerFactory-Integrated-4.0 

Error Code
   0x80070032 

늘 말하지만... 개인적으로 500 에러는 정말 싫어하는 것 중의 하나입니다. ^^;

검색해 보면 다음의 글이 나오는데,

HTTP Error 500.23 - How do i solve this?  
; http://forums.iis.net/t/1161020.aspx?HTTP+Error+500+23+How+do+i+solve+this+

해결책은 web.config에서 "Integrated" 모드를 끄라는 것입니다.

<system.webServer>

    <validation validateIntegratedModeConfiguration="false" />

</system.webServer> 

그렇게 해결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최신 환경을 거슬러서 이전 모드로 IIS를 구동하도록 돌리는 것은 향후의 마이그레이션을 위해 썩 좋은 방법은 아닙니다.

그러고 보니, validateIntegratedModeConfiguration 설정으로 integrated 모드를 끄는 것에 대해 전에도 한번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ASP.NET 웹 사이트를 IIS 7 이상의 환경에서 호스팅할 때 500 오류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563

위의 경우는 system.web/httpModules에 등록된 DomainServiceModule 때문에 발생한 것이었는데요. 이번 Captcha 라이브러리도 500 에러가 발생한 이유는 비슷합니다. 즉 system.web/httpHandlers가 등록된 것이 그 원인입니다.

다행히 Captcha 라이브러리는 integrated 또는 classic 모드에 상관없이 잘 동작하기 때문에 validateIntegratedModeConfiguration 설정을 이용할 필요없이 그냥 system.webServer 노드로 위치를 옮겨 주기만 하면 됩니다.

=== before ===

<system.web>
    <httpHandlers>
        <add verb="GET" path="CaptchaImage.aspx" type="WebControlCaptcha.CaptchaImageHandler, WebControlCaptcha"/>
    </httpHandlers>
</system.web>

=== after ===

<system.webServer>
    <handlers>
        <add name="captcha" verb="GET" path="CaptchaImage.aspx" type="WebControlCaptcha.CaptchaImageHandler, WebControlCaptcha"/>
    </handlers>
</system.webServer>

이렇게 변경하고 다시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Captcha 라이브러리가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aptcha_500_1.png

(첨부 파일은 web.config만 변경된 captcha 라이브러리 소스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1/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05정성태1/23/201421150개발 환경 구성: 212. Visual Studio Online과 "Monaco" 서비스 연동
1604정성태1/23/201421470오류 유형: 216. 윈도우 서버 백업 - Hyper-V 가상 머신이 백업되지 않는 경우 (2)
1603정성태1/23/201433592개발 환경 구성: 211. Hyper-V - Generation 2 유형의 VM 생성 시 ISO 부팅이 안된다면? [1]
1602정성태1/22/201423784디버깅 기술: 62. windbg - 사용자 모드 원격 디버깅
1601정성태1/22/201427412오류 유형: 215. windbg - Symbol file could not be found. Defaulted to export symbols
1600정성태1/19/201424032.NET Framework: 410.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을 Paralle.For와 함께? [1]파일 다운로드1
1599정성태1/18/201432173.NET Framework: 409.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598정성태1/17/201425504디버깅 기술: 61. NT 서비스 시작 단계에서 닷넷 메서드에 BP를 걸어 디버깅하는 방법
1597정성태1/17/201424100Phone: 9. Xamarin Android에 구글 AdMob 사용하는 방법 [1]
1596정성태1/17/201423041오류 유형: 214. Local SYSTEM 계정으로 실행된 IE에서 다운로드가 안 되는 문제
1595정성태1/16/201420033오류 유형: 213. attrib - Not resetting system file
1594정성태1/15/201422185오류 유형: 212. 마이크로소프트 라이브 계정 로그인 실패하는 경우
1593정성태1/14/201420808오류 유형: 211. ASP.NET 응용 프로그램을 IIS Express에서 디버깅할 때 "Requested registry access is not allowed" 오류 발생
1592정성태1/14/201421108오류 유형: 210. 2대의 AD가 있는 경우 도메인에 컴퓨터 추가를 실패한다면? [1]
1591정성태1/14/201423275오류 유형: 209. DebugDiag: Unable to find mscordacwks_x86_x86_[...version...].dll
1590정성태1/14/201423929오류 유형: 208. VSS Writer - NTDS 오류
1589정성태1/14/201432860Windows: 85. 컴퓨터를 껐는데도 어느 순간 자동으로 켜진다면? [2]
1588정성태1/14/201429639Windows: 84. 윈도우 7/8 - 메뉴 항목이 잔상으로 남는 문제
1587정성태1/14/201425571디버깅 기술: 60.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2)
1586정성태1/14/201427278디버깅 기술: 59.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1) [1]
1585정성태1/14/201430182VS.NET IDE: 84. Visual Studio를 이용한 파일 비교(diff)
1584정성태1/13/201432480Windows: 83. 윈도우 8 - UI가 있는 프로그램을 Local SYSTEM 권한의 세션 0 데스크톱에서 실행하는 방법
1583정성태1/13/201430469Windows: 82. 윈도우 8 - "Interactive Services Detection" 서비스 시작하는 방법 [1]
1582정성태1/12/201428953개발 환경 구성: 210. 원격 데스크톱(RDP) 접속 프로그램 - Royal TS [1]
1581정성태1/12/201430286.NET Framework: 408. 자바와 닷넷의 제네릭 차이점 - 중간 언어 및 공변/반공변 처리 [8]
1580정성태1/12/201440320.NET Framework: 407.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