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132. 어느 순간 갑자기 접속이 안 되는 TFS 서버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821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어느 순간 갑자기 접속이 안 되는 TFS 서버

정확히 어느 순간이라고 꼬집어 말하기가 어렵군요. 여느 때와 다름없이 Visual Studio를 켜고 TFS 서버 접속을 하는데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원인을 찾기 위해 TFS 서버의 이벤트 로그를 확인해 보니, 다음과 같은 3개의 로그가 남아 있었습니다.

Log Name:      Application
Source:        Microsoft-SharePoint Products-SharePoint Foundation
Date:          2011-07-28 오전 12:15:33
Event ID:      5586
Task Category: Database
Level:         Error
Keywords:      
User:          TESTPC\tfsuser
Computer:      tfs.testpc.com
Description:
Unknown SQL Exception 18452 occurred. Additional error information from SQL Server is included below.

Login failed. The login is from an untrusted domain and cannot be used with Windows authentication.

Log Name:      Application
Source:        TFS Services
Date:          2011-07-28 오전 12:15:19
Event ID:      3031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fs.testpc.com
Description:
TF53010: The following error has occurred in a Team Foundation component or extension:
Date (UTC): 2011-07-27 오후 3:15:19
Machine: TFS
Application Domain: /LM/W3SVC/8083/ROOT/tfs-1-129562528727666237
Assembly: Microsoft.TeamFoundation.Framework.Server, Version=10.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03f5f7f11d50a3a; v2.0.50727
Service Host: 
Process Details:
  Process Name: w3wp
  Process Id: 2984
  Thread Id: 3964
  Account name: TESTPC\SeongTae Jeong

Detailed Message: The request could not be processed because the application is not configured correctly. No service host is available for the request.

Web Request Details
    Url: http://tfs.testpc.com:8086/tfs/TeamFoundation/Administration/v3.0/LocationService.asmx [method: POST]
    User Agent: Team Foundation (devenv.exe, 10.0.40219.1)
    Headers: Content-Length=338...[생략]...webservices%2fConnect
    Path: /tfs/TeamFoundation/Administration/v3.0/LocationService.asmx
    Local Request: False
    Host Address: 210.212.210.127
    User: TESTPC\SeongTae Jeong [authentication type: NTLM]

Log Name:      Application
Source:        TFS Services
Date:          2011-07-28 오전 12:15:18
Event ID:      9001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fs.testpc.com
Description:
TF53010: The following error has occurred in a Team Foundation component or extension:
Date (UTC): 2011-07-27 오후 3:15:18
Machine: TFS
Application Domain: /LM/W3SVC/8083/ROOT/tfs-1-129562528727666237
Assembly: Microsoft.TeamFoundation.Framework.Server, Version=10.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03f5f7f11d50a3a; v2.0.50727
Service Host: 
Process Details:
  Process Name: w3wp
  Process Id: 2984
  Thread Id: 3964
  Account name: TESTPC\tfsuser

Detailed Message: Application Request Processing Started

Server Version = Microsoft.TeamFoundation.Framework.Server, Version=10.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03f5f7f11d50a3a
Service Account = TESTPC\tfsuser
Machine Name = TFS


Exception Message: TF246017: Team Foundation Server could not connect to the database. Verify that the server that is hosting the database is operational, and that network problems are not blocking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type DatabaseConnectionException)

Exception Stack Trace:    at Microsoft.TeamFoundation.Framework.Server.TeamFoundationSqlResourceComponent.TranslateException(Int32 errorNumber, SqlException sqlException, SqlError sqlError)
   at Microsoft.TeamFoundation.Framework.Server.TeamFoundationSqlResourceComponent.TranslateException(SqlException sqlException)
   ...[생략]...
   at Microsoft.TeamFoundation.Framework.Server.TeamFoundationApplication.AttemptStart()

Inner Exception Details:

Exception Message: Login failed. The login is from an untrusted domain and cannot be used with Windows authentication. (type SqlException)
SQL Exception Class: 14
SQL Exception Number: 18452
SQL Exception Procedure: 
SQL Exception Line Number: 65536
SQL Exception Server: db
SQL Exception State: 1
SQL Error(s):

Exception Data Dictionary:
HelpLink.ProdName = Microsoft SQL Server
HelpLink.EvtSrc = MSSQLServer
HelpLink.EvtID = 18452
HelpLink.BaseHelpUrl = http://go.microsoft.com/fwlink
HelpLink.LinkId = 20476


Exception Stack Trace:    at System.Data.SqlClient.SqlInternalConnection.OnError(SqlException exception, Boolean breakConnection)
   at System.Data.SqlClient.TdsParser.ThrowExceptionAndWarning()
   ...[생략]...
   at Microsoft.TeamFoundation.Framework.Server.TeamFoundationSqlResourceComponent.Execute(ExecuteType executeType, CommandBehavior behavior)


Web Request Details
    Url: http://tfs.testpc.com:8086/tfs/TeamFoundation/Administration/v3.0/LocationService.asmx [method: POST]
    User Agent: Team Foundation (devenv.exe, 10.0.40219.1)
    Headers: Content-Length=338&...[생략]...webservices%2fConnect
    Path: /tfs/TeamFoundation/Administration/v3.0/LocationService.asmx
    Local Request: False
    Host Address: 210.212.210.127
    User: TESTPC\SeongTae Jeong [authentication type: NTLM]

사실, 딱히 위의 메시지로는 직접적인 원인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단지, 최근에 다음과 같은 일이 있었고,

Unable to connect to the Microsoft Visual Studio Remote Debugging Monitor ... Access is denied.
; https://www.sysnet.pe.kr/2/0/1093

최근 들어, DB 서버와 TFS 서버를 켜고 끌 때마다 "Applying machine settings..." 또는 "Applying user settings..." 단계에서 오래 멈춰 있다는 것이 마음에 걸리더군요. 이 역시 예전의 글 하나가 생각났습니다. ^^

WMI - The RPC server is unavailable
; https://www.sysnet.pe.kr/2/0/920

해결 방법은 이번에도 IPv6였습니다. 2대의 Active Directory 서버 모두 IPv6 기능을 해제하니 정상적으로 TFS 서버 접속이 허용되었습니다. (보통 AD와 DNS 서버를 같이 두기 때문에 정확히 그 문제의 원인이 AD였는지, DNS였는지는 알 수 없었습니다.)

암튼... 요즘 들어 제가 관리하는 PC들에서 "IPv6 대란"이 발생하고 있군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9/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86정성태12/20/201920979디버깅 기술: 144. windbg - Marshal.FreeHGlobal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12085정성태12/20/201918975오류 유형: 586. iisreset - The data is invalid. (2147942413, 8007000d) 오류 발생 - 두 번째 이야기 [1]
12084정성태12/19/201919402디버깅 기술: 143. windbg/sos - Hashtable의 bucket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
12083정성태12/17/201922359Linux: 27. linux - lldb를 이용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덤프 분석 방법 [2]
12082정성태12/17/201920583오류 유형: 585. lsof: WARNING: can't stat() fuse.gvfsd-fuse file system
12081정성태12/16/201922439개발 환경 구성: 465. 로컬 PC에서 개발 중인 ASP.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을 다른 PC에서도 접근하는 방법 [5]
12080정성태12/16/201919605.NET Framework: 870.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
12079정성태12/13/201921493오류 유형: 584. 원격 데스크톱(rdp) 환경에서 다중 또는 고용량 파일 복사 시 "Unspecified error" 오류 발생
12078정성태12/13/201921290Linux: 26.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메모리 덤프 방법 [3]
12077정성태12/13/201920388Linux: 25. 자주 실행할 명령어 또는 초기 환경을 "~/.bashrc" 파일에 등록
12076정성태12/12/201918921디버깅 기술: 142.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 배포 방법에 따른 차이
12075정성태12/11/201919726디버깅 기술: 141.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12074정성태12/10/201919414디버깅 기술: 140. windbg/Visual Studio - 값이 변경된 경우를 위한 정지점(BP) 설정(Data Breakpoint)
12073정성태12/10/201920918Linux: 24. Linux/C# - 실행 파일이 아닌 스크립트 형식의 명령어를 Process.Start로 실행하는 방법
12072정성태12/9/201917692오류 유형: 583. iisreset 수행 시 "No such interface supported" 오류
12071정성태12/9/201921223오류 유형: 582. 리눅스 디스크 공간 부족 및 safemode 부팅 방법
12070정성태12/9/201923143오류 유형: 581. resize2fs: Bad magic number in super-block while trying to open /dev/.../root
12069정성태12/2/201919529디버깅 기술: 139. windbg - x64 덤프 분석 시 메서드의 인자 또는 로컬 변수의 값을 확인하는 방법
12068정성태11/28/201928205디버깅 기술: 138. windbg와 Win32 API로 알아보는 Windows Heap 정보 분석 [3]파일 다운로드2
12067정성태11/27/201919611디버깅 기술: 137. 실제 사례를 통해 Debug Diagnostics 도구가 생성한 닷넷 웹 응용 프로그램의 성능 장애 보고서 설명 [1]파일 다운로드1
12066정성태11/27/201919269디버깅 기술: 136.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 - OracleCommand.ExecuteReader에서 OpsSql.Prepare2 PInvoke 호출 분석
12065정성태11/25/201917572디버깅 기술: 135.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파일 다운로드1
12064정성태11/25/201920503오류 유형: 580.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12063정성태11/21/201919430디버깅 기술: 134. windbg - RtlReportCriticalFailure로부터 parameters 정보 찾는 방법
12062정성태11/21/201918913디버깅 기술: 133.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 두 번째 이야기
12061정성태11/20/201919363Windows: 167. CoTaskMemAlloc/CoTaskMemFree과 윈도우 Heap의 관계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