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284. "Let's Encrypt"에서 제공하는 무료 SSL 인증서를 IIS에 적용하는 방법 (1)
; https://www.sysnet.pe.kr/2/0/10958

개발 환경 구성: 287. Let's Encrypt 인증서 업데이트 주기: 90일
; https://www.sysnet.pe.kr/2/0/11005

개발 환경 구성: 288. SSL 인증서를 Azure Cloud Service에 적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06

개발 환경 구성: 301. "Let's Encrypt" SSL 인증서를 Azure Cloud Services(classic)에 업데이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54

개발 환경 구성: 358. "Let's Encrypt"에서 제공하는 무료 SSL 인증서를 IIS에 적용하는 방법 (2)
; https://www.sysnet.pe.kr/2/0/11483

개발 환경 구성: 370. Azure VM/App Services(Web Apps)에 Let's Encrypt 무료 인증서 적용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502




SSL 인증서를 Azure Cloud Service에 적용하는 방법

지난 글에 설명한 대로 했다면,

"Let's Encrypt"에서 제공하는 무료 SSL 인증서를 IIS에 적용하는 방법 (1)
; https://www.sysnet.pe.kr/2/0/10958

인증서가 생겼을 것입니다. 이것을 IIS에 적용해 보는 것은 다음의 글을 참고해 쉽게 하실 수 있습니다.

How to Import and Export SSL Certificates in IIS 7
; https://www.digicert.com/ssl-support/pfx-import-export-iis-7.htm

이 글에서는 Azure WebRole 웹 사이트에 SSL 인증서를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물론, 다음과 같이 역시 문서가 이미 있지만. ^^

Configuring SSL for an application in Azure
; https://azure.microsoft.com/en-gb/documentation/articles/cloud-services-configure-ssl-certificate/




우선, "Let's Encrypt"로부터 구한 .pfx 파일을 Azure에 업로드하는 것부터 시작하면 됩니다.

Azure Portal에 연결해 "Cloud service (classic)" 유형의 서비스를 선택한 다음, "Settings" / "Certificates" 링크를 눌러,

ssl_azure_1.png

.pfx 파일을 "Upload" 버튼을 이용해 Azure에 등록합니다. 그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ssl_azure_2.png

이제 남은 작업은 여러분들의 배포 프로젝트만 변경해 주시면 됩니다. 먼저 Azure Cloud Service 배포 프로젝트에 포함된 .csdef 파일에 인증서 내용을 추가해야 하는데, 도움말에 써 있는 내용이 예사롭지 않습니다.

<WebRole name="CertificateTesting" vmsize="Small">
...
    <Certificates>
        <Certificate name="SampleCertificate" 
                     storeLocation="LocalMachine" 
                     storeName="My"
                     permissionLevel="limitedOrElevated" />
        <!-- IMPORTANT! Unless your certificate is either
        self-signed or signed directly by the CA root, you
        must include all the intermediate certificates
        here. You must list them here, even if they are
        not bound to any endpoints. Failing to list any of
        the intermediate certificates may cause hard-to-reproduce
        interoperability problems on some clients.-->
        <Certificate name="CAForSampleCertificate"
                     storeLocation="LocalMachine"
                     storeName="CA"
                     permissionLevel="limitedOrElevated" />
    </Certificates>
...
</WebRole>

예를 들어 "Let's encrypt"로부터 받은 SSL 인증서의 경로가 다음과 같은데,

letsencrypt_3.png

  • DST Root CA X3
  • Let's Encrypt Authority X3
  • ...[your cert]....

도움말에 의하면 여러분들의 인증서와 함께 "intermediate certificates"에 해당하는 "Let's Encrypt Authority X3"까지 포함해 2개의 항목을 기재해야 하는 것입니다. 다음은 제 sysnet 웹 사이트의 변경된 내용을 보여줍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ServiceDefinition ...[생략]...>
    ...[생략]...

    <Certificates>
        <Certificate name="www.sysnet.pe.kr" 
                     storeLocation="LocalMachine" 
                     storeName="My"
                     permissionLevel="limitedOrElevated" />
        <Certificate name="Let's Encrypt Authority X3"
                     storeLocation="LocalMachine"
                     storeName="CA"
                     permissionLevel="limitedOrElevated" />
    </Certificates>


  </WebRole>
</ServiceDefinition>

그런 다음 역시 동일한 .csdef 파일에 https 접근을 위한 Endpoints와 Binding을 추가해 줍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ServiceDefinition ...[생략]...>
    ...[생략]...

    <Sites>
      <Site name="Web">
        <Bindings>
          <Binding name="Endpoint1" endpointName="Endpoint1" />
          <Binding name="HttpsIn" endpointName="HttpsIn" />
        </Bindings>
      </Site>
    </Sites>

    <Endpoints>
      <InputEndpoint name="Endpoint1" protocol="http" port="80" />
      <InputEndpoint name="HttpsIn" protocol="https" port="443" certificate="www.sysnet.pe.kr" />
    </Endpoints>

    <Certificates>
        <Certificate name="www.sysnet.pe.kr" 
                     storeLocation="LocalMachine" 
                     storeName="My"
                     permissionLevel="limitedOrElevated" />
        <Certificate name="LetsEncryptAuthorityX3"
                     storeLocation="LocalMachine"
                     storeName="CA"
                     permissionLevel="limitedOrElevated" />
    </Certificates>


  </WebRole>
</ServiceDefinition>

마지막으로 .csdef 파일이 포함된 배포 프로젝트에 .cscfg 파일을 열어 .csdef에 명시했던 인증서를 추가해줍니다. (thumbprintAlgorithm 값은 인증서의 속성창에서 구할 수 있고, thumbprint 값은 인증서 속성 창뿐만 아니라 Azure Portal에 등록된 인증서 목록에서도 구할 수 있습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ServiceConfiguration  ...[생략]...>
    <Role ...[생략]...>
        ...[생략]...
        <ConfigurationSettings>
            ...[생략]...
        </ConfigurationSettings>
        <Certificates>
            <Certificate name="Microsoft.WindowsAzure.Plugins.RemoteAccess.PasswordEncryption" ...[생략]... />

            <Certificate name="www.sysnet.pe.kr"
                thumbprint="CC5D8A0EBA4C72BB42308A851261A3FBFCBC115E"
                thumbprintAlgorithm="sha1" />
            <Certificate name="LetsEncryptAuthorityX3"
                thumbprint="E6A3B45B062D509B3382282D196EFE97D5956CCB"
                thumbprintAlgorithm="sha1" />"'"

        </Certificates>
    </Role>
</ServiceConfiguration>

여기까지 마치고, 다시 웹 사이트를 Azure에 배포해 주면 끝!!!

확인을 위해 "https://www.sysnet.pe.kr"로 접속해 보세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23/2016]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76정성태5/27/201427701Windows: 95. 윈도우 8에서 Hyper-V 유무에 따른 듀얼 부트 설정하는 방법 [1]
1675정성태5/27/201429906Windows: 94. 윈도우 8.1에서 윈도우 체험 지수(Windows Experience Index, WEI) 확인 방법
1674정성태5/24/201423464VS.NET IDE: 86. 하나의 T4 템플릿으로 여러 개의 소스코드 파일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673정성태5/19/201423037.NET Framework: 437. WACOM 태블릿 환경에서 WinForm 실행시 System.ArgumentException 예외 발생
1672정성태5/15/201423489기타: 46. Microsoft의 응용 프로그램을 클라우드로 제공하는 서비스 - Azure RemoteApp 소개 [2]
1671정성태5/15/201424105.NET Framework: 436. XNA Content 리소스의 해제 후 다시 로드해서 사용하면 ObjectDisposedException 예외 발생 [2]
1670정성태5/15/201424456.NET Framework: 435. .NET GC - 하위 세대의 객체를 포함하는 상위 세대의 참조를 추적하기 위한 card-table
1669정성태5/15/201444436Windows: 93. 윈도우 시스템 디스크 용량 확보를 위한 $PatchCache$ 폴더 삭제 [2]
1668정성태5/10/201423714.NET Framework: 434. Microsoft.SqlServer.Types.SqlGeography 형변환 시 null 반환하는 문제
1667정성태5/5/201424490개발 환경 구성: 221. Azure 데이터베이스를 로컬 DB로 이전하는 방법 [2]
1666정성태5/2/201441166기타: 45. 윈도우 계정의 암호를 알아내는 mimikatz 도구 [5]
1665정성태5/1/201424681.NET Framework: 433. C# - 간단한 HyperLogLog 자료 구조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664정성태4/28/201422027오류 유형: 227. Process Explorer의 프로세스 뷰가 트리 형식으로 보이지 않는 문제
1663정성태4/28/201418484오류 유형: 226. Visual Studio - We were unable to establish the connection because it is configured for user
1662정성태4/28/201423108개발 환경 구성: 220. supportedRuntime 설정을 위한 app.config Transformation [1]
1661정성태4/26/201419870.NET Framework: 432. WPF - System.Windows.Data Error: 47 : XmlDataProvider has inline XML that does not explicitly set its XmlNamespace (xmlns="").
1660정성태4/25/201427544VC++: 77. C++ 숫자형 값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의 출력 사례 모음
1659정성태4/17/201427569.NET Framework: 431. .NET EXE 파일을 닷넷 프레임워크 버전에 상관없이 실행할 수 있을까요? [5]
1658정성태4/17/201419645.NET Framework: 430. C#에서 사용자 정의 예약어가 가능할까요? [1]
1657정성태4/10/201439725.NET Framework: 429. C# - 유니코드 한글 문자열을 ks_c_5601-1987로 변환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656정성태3/19/201422890오류 유형: 225. regsvcs 등록 시 0x80040153 오류
1655정성태3/19/201423078Windows: 92. Thumbs.db 파일이 삭제 안 되는 문제
1654정성태3/19/201425167개발 환경 구성: 219. SOS.dll 확장 모듈을 버전 별로 구하는 방법 [4]
1653정성태3/13/201419989.NET Framework: 428. .NET Reflection으로 다차원/Jagged 배열을 구분하는 방법
1652정성태3/12/201421056VC++: 76. Direct Show를 사용하는 다른 프로그램의 필터 그래프를 graphedt.exe에서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651정성태3/11/201424682.NET Framework: 427. C# 컴파일러는 변수를 초기화시키지 않을까요?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