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2016-08-02부터 시작된 윈도우 10 1주년 업데이트에서 Bash Shell 사용

윈도우10 1주년 업데이트가 나왔습니다. 정식 버전 번호는 1607, 빌드 번호는 14393.10입니다.

현재 윈도우 메뉴의 "Settings" / "Update & Security"로 가서 "Windows Update"를 통해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일부 PC의 경우 "Check for updates"를 눌러도 신규 업데이트가 없다고 나올 텐데요. 이런 경우는 다음의 사이트를 방문해 직접 업데이트 용 EXE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진행할 수 있습니다.

Windows 10 1주년 업데이트 다운로드
;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12387/windows-10-update-history?ocid=update_setting_client

업데이트 한 다음 Bash Shell을 설치하고 싶다면 윈도우 메뉴의 "Settings" / "For developers"로 가서 아래와 같이 "Developer mode"를 켜야 합니다.

bash_on_windows_0.png

이 옵션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제어판의 "Program and Features"에서 "Turn Windows features on or off" 링크를 누르면 다음과 같이 "Windows Subsystem for Linux (Beta)"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이 항목이 없다면 다시 재부팅해줍니다.)

bash_on_windows_1.png

선택하면 재부팅을 하게 되고, "Window Key + R"키를 눌러 "Bash"라고 입력하면 bash.exe 명령행 창이 뜨고 최초 한번 다음과 같이 설치 진행 여부를 묻습니다.

bash_on_windows_2.png

"y" 키를 누르고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다음과 같이 UNIX 환경을 위한 계정 정보를 입력받게 됩니다.

-- Beta feature --
This will install Ubuntu on Windows, distributed by Canonical
and licensed under its terms available here:
https://aka.ms/uowterms

Type "y" to continue: y
Downloading from the Windows Store... 100%
Extracting filesystem, this will take a few minutes...
Please create a default UNIX user account. The username does not need to match your Windows username.
For more information visit: https://aka.ms/wslusers
Enter new UNIX username: stjeong
새 UNIX 암호 입력:
새 UNIX 암호 재입력:
passwd: password updated successfully
Installation successful!
The environment will start momentarily...
Documentation is available at:  https://aka.ms/wsldocs
stjeong@THEMYTH9:/mnt/c/Users/SeongTae Jeong$

끝입니다. 이후부터는 bash.exe를 실행하면 기존의 cmd.exe와 유사하게 창이 뜨고 곧바로 명령 실행이 가능합니다.

나머지는 더 볼 것도 없겠지요. ^^ 참고로 윈도우 운영체제의 C, D 드라이브는 각각 /mnt/c, /mnt/d 와 같은 식으로 마운트되어 있으므로 그 규칙에 맞게 접근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D 드라이브의 temp 폴더로 이동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을 실행하면 됩니다.

cd /mnt/d/temp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3/2016]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6-08-04 06시47분
[플밍노트] Linux 서브 시스템, 윈도우 대격변의 서막
; http://jiniya.net/ng/2016/08/windows-subsystem-for-linux/
정성태
2016-08-05 03시29분
[easylogic] bash 안에서 window script(Power shell 에서 쓰던 스크립트) 같은건 못쓰겠죠?
[guest]
2016-08-05 04시32분
넵. 위의 덧글에 있는 "[플밍노트] Linux 서브 시스템, 윈도우 대격변의 서막" 내용에도 나오지만 완전 격리된 공간이므로 notepad.exe 등의 프로그램도 실행이 안됩니다.
정성태
2016-08-07 12시29분
정성태
2017-05-08 01시58분
Setting up a Shiny Development Environment within Linux on Windows 10
; https://www.hanselman.com/blog/setting-up-a-shiny-development-environment-within-linux-on-windows-10
정성태
2017-10-08 06시24분
다음은 10월 17일부터 업데이트될 Windows 10 Fall Creators Update부터 바뀔 WSJ 환경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Windows 10으로 시작하는 Java 개발
; https://medium.com/@rkttu/start-java-dev-with-win-10-402cb91126fd
정성태
2017-10-12 05시33분
정성태
2019-01-25 10시41분
C:> wslconfig
C:> wslconfig /l

---------------------------------------------

Running Linux Apps on Windows (and other stupid human tricks) Part I
; https://medium.com/@stephenrwalli/running-linux-apps-on-windows-and-other-stupid-human-tricks-part-i-acbf5a474532

Running Linux Apps on Windows (and other stupid human tricks) Part II
; https://medium.com/@stephenrwalli/running-linux-apps-on-windows-and-other-stupid-human-tricks-part-ii-c244b2ee535

INTERIX™: UNIX® Application Portability to Windows NT™ via an Alternative Environment Subsystem
; https://stephesblog.blogs.com/papers/usenix-interix.pdf
정성태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364정성태6/8/202312421.NET Framework: 2127. C# - Ubuntu + Microsoft.Data.SqlClient + SQL Server 2008 R2 연결 방법 [1]
13363정성태6/7/202312050스크립트: 49. 파이썬 - "Transformers (신경망 언어모델 라이브러리) 강좌" - 1장 2절 코드 실행 결과
13362정성태6/1/202311354.NET Framework: 2126. C# - 서버 측의 요청 제어 (Microsoft.AspNetCore.RateLimiting)파일 다운로드1
13361정성태5/31/202311917오류 유형: 862. Facebook - ASP.NET/WebClient 사용 시 graph.facebook.com/me 호출에 대해 403 Forbidden 오류
13360정성태5/31/202310894오류 유형: 861. WSL/docker - failed to start shim: start failed: io.containerd.runc.v2: create new shim socket
13359정성태5/19/202311460오류 유형: 860. Docker Desktop - k8s 초기화 무한 반복한다면?
13358정성태5/17/202311850.NET Framework: 2125. C# - Semantic Kernel의 Semantic Memory 사용 예제 [1]파일 다운로드1
13357정성태5/16/202311261.NET Framework: 2124. C# - Semantic Kernel의 Planner 사용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356정성태5/15/202312483DDK: 10. Device Driver 테스트 설치 관련 오류 (Code 37, Code 31) 및 인증서 관련 정리
13355정성태5/12/202311630.NET Framework: 2123. C# - Semantic Kernel의 ChatGPT 대화 구현 [1]파일 다운로드1
13354정성태5/12/202312799.NET Framework: 2122. C# - "Use Unicode UTF-8 for worldwide language support" 설정을 한 경우, 한글 입력이 '\0' 문자로 처리
13352정성태5/12/202312087.NET Framework: 2121. C# - Semantic Kernel의 대화 문맥 유지파일 다운로드1
13351정성태5/11/202312603VS.NET IDE: 185. Visual Studio - 원격 Docker container 내에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 [1]
13350정성태5/11/202311703오류 유형: 859. Windows Date and Time - Unable to continue.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perform this task
13349정성태5/11/202312116.NET Framework: 2120. C# - Semantic Kernel의 Skill과 Function 사용 예제 [1]파일 다운로드1
13348정성태5/10/202312829.NET Framework: 2119. C# - Semantic Kernel의 "Basic Loading of the Kernel" 예제
13347정성태5/10/202313261.NET Framework: 2118. C# - Semantic Kernel의 Prompt chaining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346정성태5/10/202312605오류 유형: 858. RDP 원격 환경과 로컬 PC 간의 Ctrl+C, Ctrl+V 복사가 안 되는 문제
13345정성태5/9/202314816.NET Framework: 2117. C# - (OpenAI 기반의) Microsoft Semantic Kernel을 이용한 자연어 처리 [1]파일 다운로드1
13344정성태5/9/202315521.NET Framework: 2116. C# - OpenAI API 사용 - 지원 모델 목록 [1]파일 다운로드1
13343정성태5/9/202313220디버깅 기술: 192. Windbg - Hyper-V VM으로 이더넷 원격 디버깅 연결하는 방법
13342정성태5/8/202311949.NET Framework: 2115. System.Text.Json의 역직렬화 시 필드/속성 주의
13341정성태5/8/202311765닷넷: 2114. C# 12 - 모든 형식의 별칭(Using aliases for any type)
13340정성태5/8/202312075오류 유형: 857. Microsoft.Data.SqlClient.SqlException - 0x80131904
13339정성태5/6/202313303닷넷: 2113. C# 12 - 기본 생성자(Primary Constructors)
13338정성태5/6/202311846닷넷: 2112. C# 12 - 기본 람다 매개 변수파일 다운로드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