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2016-08-02부터 시작된 윈도우 10 1주년 업데이트에서 Bash Shell 사용

윈도우10 1주년 업데이트가 나왔습니다. 정식 버전 번호는 1607, 빌드 번호는 14393.10입니다.

현재 윈도우 메뉴의 "Settings" / "Update & Security"로 가서 "Windows Update"를 통해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일부 PC의 경우 "Check for updates"를 눌러도 신규 업데이트가 없다고 나올 텐데요. 이런 경우는 다음의 사이트를 방문해 직접 업데이트 용 EXE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진행할 수 있습니다.

Windows 10 1주년 업데이트 다운로드
;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12387/windows-10-update-history?ocid=update_setting_client

업데이트 한 다음 Bash Shell을 설치하고 싶다면 윈도우 메뉴의 "Settings" / "For developers"로 가서 아래와 같이 "Developer mode"를 켜야 합니다.

bash_on_windows_0.png

이 옵션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제어판의 "Program and Features"에서 "Turn Windows features on or off" 링크를 누르면 다음과 같이 "Windows Subsystem for Linux (Beta)"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이 항목이 없다면 다시 재부팅해줍니다.)

bash_on_windows_1.png

선택하면 재부팅을 하게 되고, "Window Key + R"키를 눌러 "Bash"라고 입력하면 bash.exe 명령행 창이 뜨고 최초 한번 다음과 같이 설치 진행 여부를 묻습니다.

bash_on_windows_2.png

"y" 키를 누르고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다음과 같이 UNIX 환경을 위한 계정 정보를 입력받게 됩니다.

-- Beta feature --
This will install Ubuntu on Windows, distributed by Canonical
and licensed under its terms available here:
https://aka.ms/uowterms

Type "y" to continue: y
Downloading from the Windows Store... 100%
Extracting filesystem, this will take a few minutes...
Please create a default UNIX user account. The username does not need to match your Windows username.
For more information visit: https://aka.ms/wslusers
Enter new UNIX username: stjeong
새 UNIX 암호 입력:
새 UNIX 암호 재입력:
passwd: password updated successfully
Installation successful!
The environment will start momentarily...
Documentation is available at:  https://aka.ms/wsldocs
stjeong@THEMYTH9:/mnt/c/Users/SeongTae Jeong$

끝입니다. 이후부터는 bash.exe를 실행하면 기존의 cmd.exe와 유사하게 창이 뜨고 곧바로 명령 실행이 가능합니다.

나머지는 더 볼 것도 없겠지요. ^^ 참고로 윈도우 운영체제의 C, D 드라이브는 각각 /mnt/c, /mnt/d 와 같은 식으로 마운트되어 있으므로 그 규칙에 맞게 접근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D 드라이브의 temp 폴더로 이동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을 실행하면 됩니다.

cd /mnt/d/temp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3/2016]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6-08-04 06시47분
[플밍노트] Linux 서브 시스템, 윈도우 대격변의 서막
; http://jiniya.net/ng/2016/08/windows-subsystem-for-linux/
정성태
2016-08-05 03시29분
[easylogic] bash 안에서 window script(Power shell 에서 쓰던 스크립트) 같은건 못쓰겠죠?
[guest]
2016-08-05 04시32분
넵. 위의 덧글에 있는 "[플밍노트] Linux 서브 시스템, 윈도우 대격변의 서막" 내용에도 나오지만 완전 격리된 공간이므로 notepad.exe 등의 프로그램도 실행이 안됩니다.
정성태
2016-08-07 12시29분
정성태
2017-05-08 01시58분
Setting up a Shiny Development Environment within Linux on Windows 10
; https://www.hanselman.com/blog/setting-up-a-shiny-development-environment-within-linux-on-windows-10
정성태
2017-10-08 06시24분
다음은 10월 17일부터 업데이트될 Windows 10 Fall Creators Update부터 바뀔 WSJ 환경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Windows 10으로 시작하는 Java 개발
; https://medium.com/@rkttu/start-java-dev-with-win-10-402cb91126fd
정성태
2017-10-12 05시33분
정성태
2019-01-25 10시41분
C:> wslconfig
C:> wslconfig /l

---------------------------------------------

Running Linux Apps on Windows (and other stupid human tricks) Part I
; https://medium.com/@stephenrwalli/running-linux-apps-on-windows-and-other-stupid-human-tricks-part-i-acbf5a474532

Running Linux Apps on Windows (and other stupid human tricks) Part II
; https://medium.com/@stephenrwalli/running-linux-apps-on-windows-and-other-stupid-human-tricks-part-ii-c244b2ee535

INTERIX™: UNIX® Application Portability to Windows NT™ via an Alternative Environment Subsystem
; https://stephesblog.blogs.com/papers/usenix-interix.pdf
정성태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339정성태9/21/202017129오류 유형: 655. 코어 모드의 윈도우는 GUI 모드의 윈도우로 교체가 안 됩니다.
12338정성태9/21/202017091오류 유형: 654. 우분투 설치 시 "CHS: Error 2001 reading sector ..." 오류 발생
12337정성태9/21/202018216오류 유형: 653. Windows - Time zone 설정을 바꿔도 반영이 안 되는 경우
12336정성태9/21/202021605.NET Framework: 942. C# - WOL(Wake On Lan) 구현
12335정성태9/21/202030786Linux: 31. 우분투 20.04 초기 설정 - 고정 IP 및 SSH 설치
12334정성태9/21/202015392오류 유형: 652. windbg - !py 확장 명령어 실행 시 "failed to find python interpreter"
12333정성태9/20/202015712.NET Framework: 941. C# - 전위/후위 증감 연산자에 대한 오버로딩 구현 (2)
12332정성태9/18/202018711.NET Framework: 940. C# - Windows Forms ListView와 DataGridView의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331정성태9/18/202017617오류 유형: 651. repadmin /syncall - 0x80090322 The target principal name is incorrect.
12330정성태9/18/202018770.NET Framework: 939. C# - 전위/후위 증감 연산자에 대한 오버로딩 구현 [2]파일 다운로드1
12329정성태9/16/202021092오류 유형: 650. ASUS 메인보드 관련 소프트웨어 설치 후 ArmouryCrate.UserSessionHelper.exe 프로세스 무한 종료 현상
12328정성태9/16/202020028VS.NET IDE: 150. TFS의 이력에서 "Get This Version"과 같은 기능을 Git으로 처리한다면?
12327정성태9/12/202018168.NET Framework: 938. C# - ICS(Internet Connection Sharing) 제어파일 다운로드1
12326정성태9/12/202017564개발 환경 구성: 516. Azure VM의 Network Adapter를 실수로 비활성화한 경우
12325정성태9/12/202016756개발 환경 구성: 515. OpenVPN - 재부팅 후 ICS(Internet Connection Sharing) 기능이 동작 안하는 문제
12324정성태9/11/202017606개발 환경 구성: 514. smigdeploy.exe를 이용한 Windows Server 2016에서 2019로 마이그레이션 방법
12323정성태9/11/202016850오류 유형: 649. Copy Database Wizard - The job failed. Check the event log on the destination server for details.
12322정성태9/11/202020187개발 환경 구성: 513. Azure VM의 RDP 접속 위치 제한 [1]
12321정성태9/11/202015935오류 유형: 648. netsh http add urlacl - Error: 183 Cannot create a file when that file already exists.
12320정성태9/11/202018010개발 환경 구성: 512. RDP(원격 데스크톱) 접속 시 비밀 번호를 한 번 더 입력해야 하는 경우
12319정성태9/10/202017350오류 유형: 647. smigdeploy.exe를 Windows Server 2016에서 실행할 때 .NET Framework 미설치 오류 발생
12318정성태9/9/202016357오류 유형: 646. OpenVPN - "TAP-Windows Adapter V9" 어댑터의 "Network cable unplugged" 현상
12317정성태9/9/202019636개발 환경 구성: 511. Beats용 Kibana 기본 대시 보드 구성 방법
12316정성태9/8/202017537디버깅 기술: 170. WinDbg Preview 버전부터 닷넷 코어 3.0 이후의 메모리 덤프에 대해 sos.dll 자동 로드
12315정성태9/7/202019835개발 환경 구성: 510. Logstash - FileBeat을 이용한 IIS 로그 처리 [2]
12314정성태9/7/202020022오류 유형: 645. IIS HTTPERR - Timer_MinBytesPerSecond, Timer_ConnectionIdle 로그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