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Windows 10에서 Windows Containers의 docker run 실행 시 encountered an error during CreateContainer failed in Win32 발생

문서에 따라,

Windows Containers on Windows Server
; https://learn.microsoft.com/en-us/virtualization/windowscontainers/quick-start/set-up-environment

Windows Containers 환경에서 "docker run"을 하는 경우 이상하게 문제가 발생하는 군요.

Windows 10의 경우 다음과 같이 오류가 발생하는데, (오류가 발생하기까지 한참동안 hang 상태로 머뭅니다.)

C:\Windows\system32>docker run microsoft/nanoserver ipconfig
docker: Error response from daemon: container 27fc76b590d8927818f337f049171724d0da37237dd890096ab890284445a75e encountered an error during Start failed in Win32: The operation timed out because a response was not received from the Virtual Machine hosting the Container. (0xc0370109).

C:\Windows\system32>docker run microsoft/nanoserver ipconfig
docker: Error response from daemon: container 3c2b42a402191c0277e0608e1a585622395f1bebd8ae2f646118a4fba8f3b160 encountered an error during CreateContainer failed in Win32: A connection could not be established with the Virtual Machine hosting the Container. (0xc0370108) extra info: {"SystemType":"Container","Name":"3c2b42a402191c0277e0608e1a585622395f1bebd8ae2f646118a4fba8f3b160","Owner":"docker","IsDummy":false,"VolumePath":"","IgnoreFlushesDuringBoot":true,"LayerFolderPath":"C:\\ProgramData\\docker\\windowsfilter\\3c2b42a402191c0277e0608e1a585622395f1bebd8ae2f646118a4fba8f3b160","Layers":[{"ID":"816fe89a-6b1b-525c-98b2-bf4a43db50af","Path":"C:\\ProgramData\\docker\\windowsfilter\\d65fad4fc23491d32b5c2c05fd4370411b4ec706ea1502aaff7e2ee8f9690e0b"}],"HostName":"3c2b42a40219","MappedDirectories":[],"SandboxPath":"C:\\ProgramData\\docker\\windowsfilter","HvPartition":true,"EndpointList":["9fe4c982-bd42-4a4a-8f7b-7d35339bb567"],"HvRuntime":{"ImagePath":"C:\\ProgramData\\docker\\windowsfilter\\d65fad4fc23491d32b5c2c05fd4370411b4ec706ea1502aaff7e2ee8f9690e0b\\UtilityVM"},"Servicing":false}.

위의 명령이 실행되는 동안 "docker ps"로 실행 중인 컨테이너를 확인하는 명령어를 내리면 역시 hang 상태로 머뭅니다.

현재(2016년 8월 5일) 문서에는 다음의 명령어로 docker.exe, dockerd.exe를 다운로드 받는다고 나오는데요.

Invoke-WebRequest "https://get.docker.com/builds/Windows/x86_64/docker-1.12.0.zip" -OutFile "$env:TEMP\docker-1.12.0.zip" -UseBasicParsing

버전이 아닌, 가장 최근의 docker.exe, dockerd.exe는 다음의 명령어로 받을 수 있습니다.

Invoke-WebRequest "https://get.docker.com/builds/Windows/x86_64/docker-latest.zip" -OutFile "$env:TEMP\docker-latest.zip" -UseBasicParsing

오늘 날짜의 docker-latest.zip은 docker-1.12.0.zip과 동일합니다. 다음은 버전 정보입니다.

C:\Windows\system32>docker version
Client:
 Version:      1.12.0
 API version:  1.24
 Go version:   go1.6.3
 Git commit:   8eab29e
 Built:        Thu Jul 28 23:54:00 2016
 OS/Arch:      windows/amd64

Server:
 Version:      1.12.0
 API version:  1.24
 Go version:   go1.6.3
 Git commit:   8eab29e
 Built:        Thu Jul 28 23:54:00 2016
 OS/Arch:      windows/amd64

그런데, 개발 중인 버전을 다운로드 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Invoke-WebRequest https://master.dockerproject.org/windows/amd64/docker.exe -OutFile $env:ProgramFiles\docker\docker.exe
Invoke-WebRequest https://master.dockerproject.org/windows/amd64/dockerd.exe -OutFile $env:ProgramFiles\docker\dockerd.exe

오늘 날짜의 개발 버전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하면 버전 번호가 1.13.0-dev로 나옵니다.

C:\WINDOWS\system32>docker version
Client:
 Version:      1.13.0-dev
 API version:  1.25
 Go version:   go1.6.3
 Git commit:   9513aa3
 Built:        Fri Aug  5 00:44:02 2016
 OS/Arch:      windows/amd64

Server:
 Version:      1.13.0-dev
 API version:  1.25
 Go version:   go1.6.3
 Git commit:   9513aa3
 Built:        Fri Aug  5 00:44:02 2016
 OS/Arch:      windows/amd64

그리고 이 버전으로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실습을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3/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274정성태8/22/201719378.NET Framework: 674. Thread 타입의 Suspend/Resume/Join 사용 관련 예외 처리
11273정성태8/22/201721633오류 유형: 415. 윈도우 업데이트 에러 Error 0x80070643
11272정성태8/21/201724794VS.NET IDE: 120. 비주얼 스튜디오 2017 버전 15.3.1 - C# 7.1 공개 [2]
11271정성태8/19/201719242VS.NET IDE: 119. Visual Studio 2017에서 .NET Core 2.0 프로젝트 환경 구성하는 방법
11270정성태8/17/201730716.NET Framework: 673. C#에서 enum을 boxing 없이 int로 변환하기 [2]
11269정성태8/17/201721487디버깅 기술: 93. windbg - 풀 덤프에서 .NET 스레드의 상태를 알아내는 방법
11268정성태8/14/201721060디버깅 기술: 92. windbg - C# Monitor Lock을 획득하고 있는 스레드 찾는 방법
11267정성태8/10/201725117.NET Framework: 672. 모노 개발 환경
11266정성태8/10/201724932.NET Framework: 671. C# 6.0 이상의 소스 코드를 Visual Studio 설치 없이 명령행에서 컴파일하는 방법
11265정성태8/10/201753173기타: 66. 도서: 시작하세요! C# 7.1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11]
11264정성태8/9/201724092오류 유형: 414. UWP app을 signtool.exe로 서명 시 0x8007000b 오류 발생
11263정성태8/9/201719576오류 유형: 413. The C# project "..." is targeting ".NETFramework, Version=v4.0", which is not installed on this machine. [3]
11262정성태8/5/201718249오류 유형: 412. windbg - SOS does not support the current target architecture. [3]
11261정성태8/4/201720834디버깅 기술: 91. windbg - 풀 덤프 파일로부터 강력한 이름의 어셈블리 추출 후 사용하는 방법
11260정성태8/3/201718938.NET Framework: 670. C# - 실행 파일로부터 공개키를 추출하는 방법
11259정성태8/2/201718175.NET Framework: 669. 지연 서명된 어셈블리를 sn.exe -Vr 등록 없이 사용하는 방법
11258정성태8/1/201718996.NET Framework: 668. 지연 서명된 DLL과 서명된 DLL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1257정성태7/31/201719166.NET Framework: 667. bypassTrustedAppStrongNames 옵션 설명파일 다운로드1
11256정성태7/25/201720657디버깅 기술: 90. windbg의 lm 명령으로 보이지 않는 .NET 4.0 ClassLibrary를 명시적으로 로드하는 방법 [1]
11255정성태7/18/201723211디버깅 기술: 89. Win32 Debug CRT Heap Internals의 0xBAADF00D 표시 재현 [1]파일 다운로드3
11254정성태7/17/201719582개발 환경 구성: 322. "Visual Studio Emulator for Android" 에뮬레이터를 "Android Studio"와 함께 쓰는 방법
11253정성태7/17/201719934Math: 21. "Coding the Matrix" 문제 2.5.1 풀이 [1]파일 다운로드1
11252정성태7/13/201718454오류 유형: 411. RTVS 또는 PTVS 실행 시 Could not load type 'Microsoft.VisualStudio.InteractiveWindow.Shell.IVsInteractiveWindowFactory2'
11251정성태7/13/201717141디버깅 기술: 88. windbg 분석 - webengine4.dll의 MgdExplicitFlush에서 발생한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의 crash 문제 (2)
11250정성태7/13/201720701디버깅 기술: 87. windbg 분석 - webengine4.dll의 MgdExplicitFlush에서 발생한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의 crash 문제 [1]
11249정성태7/12/201718532오류 유형: 410. LoadLibrary("[...].dll") failed - The specified procedure could not be found.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