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indows Server 2016 TP5에서 Windows Containers의 docker run 실행 시 encountered an error during Start failed in Win32

현재 (2016-08-07 기준) 문서에 따라,

Windows Containers on Windows Server
; https://docs.microsoft.com/en-us/virtualization/windowscontainers/quick-start/set-up-environment

Windows Server 2016 TP5에서 실습을 하는 경우 "https://get.docker.com/builds/Windows/x86_64/docker-1.12.0.zip" 바이너리와 아래와 같은 설정의 ContainerOSImage로는,

C:\Windows\system32>docker images
REPOSITORY          TAG                 IMAGE ID            CREATED             SIZE
windowsservercore   10.0.14300.1000     2b824ea36a88        12 weeks ago        9.354 GB
nanoserver          10.0.14300.1016     a26adab76348        12 weeks ago        810.2 MB

docker run 실행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C:\Windows\system32>docker run 2b824ea36a88 ipconfig
docker: Error response from daemon: container 234afa7372f9e43af886cf3202366001832fb16570d22a42c59085c040dd0b20 encountered an error during Start failed in Win32: winapi error #3221225480 (0xc0000008).

그래서 아래의 Windows 10 경우와 마찬가지로,

Windows 10에서 Windows Containers의 docker run 실행 시 encountered an error during CreateContainer failed in Win32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1012

개발 중인 바이너리(version 1.13.0-dev)를 받았는데,

Invoke-WebRequest https://master.dockerproject.org/windows/amd64/docker.exe -OutFile $env:ProgramFiles\docker\docker.exe
Invoke-WebRequest https://master.dockerproject.org/windows/amd64/dockerd.exe -OutFile $env:ProgramFiles\docker\dockerd.exe

이번엔 아예 실행도 안되면서,

C:\Windows\system32>docker run 2b824ea36a88 ipconfig
docker: An error occurred trying to connect: Post http://%2F%2F.%2Fpipe%2Fdocker_engine/v1.25/containers/create: EOF.
See 'docker run --help'.

Docker Engine(dockerd.exe NT 서비스)까지 비정상 종료되었습니다. 할 수 없이 현재 Install-ContainerImage로 받은 ContainerOSImage들을 모두 지우고,

C:\Windows\system32>docker images
REPOSITORY          TAG                 IMAGE ID            CREATED             SIZE
windowsservercore   10.0.14300.1000     2b824ea36a88        12 weeks ago        0 B
nanoserver          10.0.14300.1016     a26adab76348        12 weeks ago        0 B

C:\Windows\system32>docker rmi a26adab76348
Untagged: nanoserver:10.0.14300.1016
Deleted: sha256:a26adab763487d247cd4c834daee7f91325b121abe4587fba427357304551d8e

C:\Windows\system32>docker rmi 2b824ea36a88 -f
Untagged: windowsservercore:10.0.14300.1000
Deleted: sha256:2b824ea36a8888875ded1078fb695ce57409f1041ebfcf0a9a8214c02fbf7805

docker pull을 이용해 다시 다운로드를 했습니다.

C:\Windows\system32>docker pull microsoft/windowsservercore
Using default tag: latest
latest: Pulling from microsoft/windowsservercore
1239394e5a8a: Pull complete
Digest: sha256:464ab695bbbfe8f216926c2d2d7e8517c94cb115b094945fb32d7756753be301
Status: Downloaded newer image for microsoft/windowsservercore:latest

C:\Windows\system32>docker pull microsoft/nanoserver
Using default tag: latest
latest: Pulling from microsoft/nanoserver
cf62dbf6d334: Pull complete
Digest: sha256:e161c43c9695a20d0b7271e7339bb041026db548667d2d9ecc04e8dc6fba9bed
Status: Downloaded newer image for microsoft/nanoserver:latest

C:\Windows\system32>docker images
REPOSITORY                    TAG                 IMAGE ID            CREATED             SIZE
microsoft/windowsservercore   latest              02cb7f65d61b        7 weeks ago         7.764 GB
microsoft/nanoserver          latest              3a703c6e97a2        7 weeks ago         969.8 MB

그랬더니 잘 실행되는군요. ^^

C:\Windows\system32>docker run 02cb7f65d61b ipconfig

Windows IP Configuration


Ethernet adapter vEthernet (Temp Nic Name):

   Connection-specific DNS Suffix  . :
   Link-local IPv6 Address . . . . . : fe80::b5fb:2b92:5743:1735%17
   IPv4 Address. . . . . . . . . . . : 172.20.155.52
   Subnet Mask . . . . . . . . . . . : 255.240.0.0
   Default Gateway . . . . . . . . . : 172.16.0.1


결국, Windows 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Windows Server 2016 TP5에서 Containers와 docker를 실습하고 싶다면 현재(2016-08-07 기준)는 개발 버전과 "docker pull"로 받은 이미지가 더 좋다는 것!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938정성태1/24/202218190개발 환경 구성: 633. Docker Desktop + k8s 환경에서 local 이미지를 사용하는 방법
12937정성태1/24/202215792.NET Framework: 113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오디오(mp2) 인코딩하는 예제(encode_audio.c) [2]파일 다운로드1
12936정성태1/22/202215377.NET Framework: 113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멀티미디어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보여주는 예제(metadata.c)파일 다운로드1
12935정성태1/22/202216054.NET Framework: 1137. ffmpeg의 파일 해시 예제(ffhash.c)를 C#으로 포팅파일 다운로드1
12934정성태1/22/202215472오류 유형: 788. Warning C6262 Function uses '65564' bytes of stack: exceeds /analyze:stacksize '16384'. Consider moving some data to heap. [2]
12933정성태1/21/202215951.NET Framework: 113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MP2 오디오 파일 디코딩 예제(decode_audio.c)파일 다운로드1
12932정성태1/20/202217060.NET Framework: 1135. C# - ffmpeg(FFmpeg.AutoGen)로 하드웨어 가속기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hw_decode.c) [2]파일 다운로드1
12931정성태1/20/202213569개발 환경 구성: 632. ASP.NET Core 프로젝트를 AKS/k8s에 올리는 과정
12930정성태1/19/202214832개발 환경 구성: 631. AKS/k8s의 Volume에 파일 복사하는 방법
12929정성태1/19/202214810개발 환경 구성: 630. AKS/k8s의 Pod에 Volume 연결하는 방법
12928정성태1/18/202214589개발 환경 구성: 629. AKS/Kubernetes에서 호스팅 중인 pod에 shell(/bin/bash)로 진입하는 방법
12927정성태1/18/202215140개발 환경 구성: 628. AKS 환경에 응용 프로그램 배포 방법
12926정성태1/17/202215041오류 유형: 787. AKS - pod 배포 시 ErrImagePull/ImagePullBackOff 오류
12925정성태1/17/202215702개발 환경 구성: 627. AKS의 준비 단계 - ACR(Azure Container Registry)에 docker 이미지 배포
12924정성태1/15/202217210.NET Framework: 1134.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2]파일 다운로드1
12923정성태1/15/202216003개발 환경 구성: 626. ffmpeg.exe를 사용해 비디오 파일을 MPEG1 포맷으로 변경하는 방법
12922정성태1/14/202214802개발 환경 구성: 625. AKS - Azure Kubernetes Service 생성 및 SLO/SLA 변경 방법
12921정성태1/14/202212537개발 환경 구성: 624. Docker Desktop에서 별도 서버에 설치한 docker registry에 이미지 올리는 방법
12920정성태1/14/202213869오류 유형: 786. Camtasia - An error occurred with the camera: Failed to Add Video Sampler.
12919정성태1/13/202213397Windows: 199. Host Network Service (HNS)에 의해서 점유되는 포트
12918정성태1/13/202213853Linux: 47. WSL - shell script에서 설정한 환경 변수가 스크립트 실행 후 반영되지 않는 문제
12917정성태1/12/202213057오류 유형: 785. C# - The type or namespace name '...' could not be found (are you missing a using directive or an assembly reference?)
12916정성태1/12/202212335오류 유형: 784. TFS - One or more source control bindings for this solution are not valid and are listed below.
12915정성태1/11/202212948오류 유형: 783. Visual Studio - We didn't find any interpreters
12914정성태1/11/202216148VS.NET IDE: 172. 비주얼 스튜디오 2022의 파이선 개발 환경 지원
12913정성태1/11/202216567.NET Framework: 1133. C# - byte * (바이트 포인터)를 FileStream으로 쓰는 방법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