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indows Server 2016 TP5에서 Windows Containers의 docker run 실행 시 encountered an error during Start failed in Win32

현재 (2016-08-07 기준) 문서에 따라,

Windows Containers on Windows Server
; https://docs.microsoft.com/en-us/virtualization/windowscontainers/quick-start/set-up-environment

Windows Server 2016 TP5에서 실습을 하는 경우 "https://get.docker.com/builds/Windows/x86_64/docker-1.12.0.zip" 바이너리와 아래와 같은 설정의 ContainerOSImage로는,

C:\Windows\system32>docker images
REPOSITORY          TAG                 IMAGE ID            CREATED             SIZE
windowsservercore   10.0.14300.1000     2b824ea36a88        12 weeks ago        9.354 GB
nanoserver          10.0.14300.1016     a26adab76348        12 weeks ago        810.2 MB

docker run 실행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C:\Windows\system32>docker run 2b824ea36a88 ipconfig
docker: Error response from daemon: container 234afa7372f9e43af886cf3202366001832fb16570d22a42c59085c040dd0b20 encountered an error during Start failed in Win32: winapi error #3221225480 (0xc0000008).

그래서 아래의 Windows 10 경우와 마찬가지로,

Windows 10에서 Windows Containers의 docker run 실행 시 encountered an error during CreateContainer failed in Win32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1012

개발 중인 바이너리(version 1.13.0-dev)를 받았는데,

Invoke-WebRequest https://master.dockerproject.org/windows/amd64/docker.exe -OutFile $env:ProgramFiles\docker\docker.exe
Invoke-WebRequest https://master.dockerproject.org/windows/amd64/dockerd.exe -OutFile $env:ProgramFiles\docker\dockerd.exe

이번엔 아예 실행도 안되면서,

C:\Windows\system32>docker run 2b824ea36a88 ipconfig
docker: An error occurred trying to connect: Post http://%2F%2F.%2Fpipe%2Fdocker_engine/v1.25/containers/create: EOF.
See 'docker run --help'.

Docker Engine(dockerd.exe NT 서비스)까지 비정상 종료되었습니다. 할 수 없이 현재 Install-ContainerImage로 받은 ContainerOSImage들을 모두 지우고,

C:\Windows\system32>docker images
REPOSITORY          TAG                 IMAGE ID            CREATED             SIZE
windowsservercore   10.0.14300.1000     2b824ea36a88        12 weeks ago        0 B
nanoserver          10.0.14300.1016     a26adab76348        12 weeks ago        0 B

C:\Windows\system32>docker rmi a26adab76348
Untagged: nanoserver:10.0.14300.1016
Deleted: sha256:a26adab763487d247cd4c834daee7f91325b121abe4587fba427357304551d8e

C:\Windows\system32>docker rmi 2b824ea36a88 -f
Untagged: windowsservercore:10.0.14300.1000
Deleted: sha256:2b824ea36a8888875ded1078fb695ce57409f1041ebfcf0a9a8214c02fbf7805

docker pull을 이용해 다시 다운로드를 했습니다.

C:\Windows\system32>docker pull microsoft/windowsservercore
Using default tag: latest
latest: Pulling from microsoft/windowsservercore
1239394e5a8a: Pull complete
Digest: sha256:464ab695bbbfe8f216926c2d2d7e8517c94cb115b094945fb32d7756753be301
Status: Downloaded newer image for microsoft/windowsservercore:latest

C:\Windows\system32>docker pull microsoft/nanoserver
Using default tag: latest
latest: Pulling from microsoft/nanoserver
cf62dbf6d334: Pull complete
Digest: sha256:e161c43c9695a20d0b7271e7339bb041026db548667d2d9ecc04e8dc6fba9bed
Status: Downloaded newer image for microsoft/nanoserver:latest

C:\Windows\system32>docker images
REPOSITORY                    TAG                 IMAGE ID            CREATED             SIZE
microsoft/windowsservercore   latest              02cb7f65d61b        7 weeks ago         7.764 GB
microsoft/nanoserver          latest              3a703c6e97a2        7 weeks ago         969.8 MB

그랬더니 잘 실행되는군요. ^^

C:\Windows\system32>docker run 02cb7f65d61b ipconfig

Windows IP Configuration


Ethernet adapter vEthernet (Temp Nic Name):

   Connection-specific DNS Suffix  . :
   Link-local IPv6 Address . . . . . : fe80::b5fb:2b92:5743:1735%17
   IPv4 Address. . . . . . . . . . . : 172.20.155.52
   Subnet Mask . . . . . . . . . . . : 255.240.0.0
   Default Gateway . . . . . . . . . : 172.16.0.1


결국, Windows 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Windows Server 2016 TP5에서 Containers와 docker를 실습하고 싶다면 현재(2016-08-07 기준)는 개발 버전과 "docker pull"로 받은 이미지가 더 좋다는 것!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15정성태1/28/202118784웹: 41. Microsoft Edge - localhost에 대해 http 접근 시 무조건 https로 바뀌는 문제 [3]
12514정성태1/28/202118959.NET Framework: 1021. C# - 일렉트론 닷넷(Electron.NET) 소개 [1]파일 다운로드1
12513정성태1/28/202116084오류 유형: 698. electronize - User Profile 디렉터리에 공백 문자가 있는 경우 빌드가 실패하는 문제 [1]
12512정성태1/28/202116510오류 유형: 697. The program can't start because VCRUNTIME140.dll is missing from your computer. Try reinstalling the program to fix this problem.
12511정성태1/27/202116226Windows: 187. Windows - 도스 시절의 8.3 경로를 알아내는 방법
12510정성태1/27/202117077.NET Framework: 1020. .NET Core Kestrel 호스팅 - Razor 지원 추가 [1]파일 다운로드1
12509정성태1/27/202116922개발 환경 구성: 524. Jupyter Notebook에서 C#(F#, PowerShell) 언어 사용을 위한 환경 구성 [3]
12508정성태1/27/202116203개발 환경 구성: 523. Jupyter Notebook - Slide 플레이 버튼이 없는 경우
12507정성태1/26/202116742VS.NET IDE: 157. Visual Studio - Syntax Visualizer 메뉴가 없는 경우
12506정성태1/25/202119866.NET Framework: 1019. Microsoft.Tye 기본 사용법 소개 [1]
12505정성태1/23/202116551.NET Framework: 1018. .NET Core Kestrel 호스팅 - Web API 추가 [1]파일 다운로드1
12504정성태1/23/202118529.NET Framework: 1017. .NET 5에서의 네트워크 라이브러리 개선 (2) - HTTP/2, HTTP/3 관련 [1]
12503정성태1/21/202116928오류 유형: 696. C# - HttpClient: Requesting HTTP version 2.0 with version policy RequestVersionExact while HTTP/2 is not enabled.
12502정성태1/21/202117498.NET Framework: 1016. .NET Core HttpClient의 HTTP/2 지원파일 다운로드1
12501정성태1/21/202116450.NET Framework: 1015. .NET 5부터 HTTP/1.1, 2.0 선택을 위한 HttpVersionPolicy 동작 방식파일 다운로드1
12500정성태1/21/202117279.NET Framework: 1014. ASP.NET Core(Kestrel)의 HTTP/2 지원 여부파일 다운로드1
12499정성태1/20/202118632.NET Framework: 1013. .NET Core Kestrel 호스팅 - 포트 변경, non-localhost 접속 지원 및 https 등의 설정 변경 [1]파일 다운로드1
12498정성태1/20/202117049.NET Framework: 1012. .NET Core Kestrel 호스팅 - 비주얼 스튜디오의 Kestrel/IIS Express 프로파일 설정
12497정성태1/20/202119638.NET Framework: 1011. C# - OWIN Web API 예제 프로젝트 [1]파일 다운로드2
12496정성태1/19/202116983.NET Framework: 1010. .NET Core 콘솔 프로젝트에서 Kestrel 호스팅 방법 [1]
12495정성태1/19/202119336웹: 40. IIS의 HTTP/2 지원 여부 - h2, h2c [1]
12494정성태1/19/202118593개발 환경 구성: 522. WSL 2 인스턴스와 호스트 측의 Hyper-V에 운영 중인 VM과 네트워크 연결을 하는 방법 [2]
12493정성태1/18/202116668.NET Framework: 1009. .NET 5에서의 네트워크 라이브러리 개선 (1) - HTTP 관련 [1]파일 다운로드1
12492정성태1/17/202115637오류 유형: 695. ASP.NET 0x80131620 Failed to bind to address
12491정성태1/16/202117642.NET Framework: 1008. 배열을 반환하는 C# COM 개체의 메서드를 C++에서 사용 시 메모리 누수 현상 [1]파일 다운로드1
12490정성태1/15/202116769.NET Framework: 1007. C# - foreach에서 열거 변수의 타입을 var로 쓰면 object로 추론하는 문제 [1]파일 다운로드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