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서로 다른 프로세스에서 WM_DROPFILES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아래의 답변을 하면서,

drag&drop 관련해서 문의 드립니다.
; https://www.sysnet.pe.kr/3/0/4756

테스트하다가 알게 된 사실을 하나 공유합니다. ^^

OLE Drag&Drop이 아닌, 예전의 WM_DROPFILES Win32 윈도우 메시지를 이용해 (예를 들어 탐색기 같은) 외부 응용 프로그램에서 끌어다 놓기 했을 때 그 정보를 다음과 같이 받아올 수 있습니다.

BOOL InitInstance(HINSTANCE hInstance, int nCmdShow)
{
   // ...[생략]...

   DragAcceptFiles(hWnd, TRUE);

   // ...[생략]...

   return TRUE;
}

LRESULT CALLBACK WndProc(HWND hWnd, UINT message, WPARAM wParam, LPARAM lParam)
{
    switch (message)
    {
    // ...[생략]...
	
	case WM_DROPFILES:
	{
		int fileCount = DragQueryFile((HDROP)wParam, -1, nullptr, 0);
		DWORD dwError = ::GetLastError();
		DragFinish((HDROP)wParam); 
		char buf[1024] = { 0 };
		if (fileCount != 0)
		{
			sprintf(buf, "FileCount: %d", fileCount);
		}
		else
		{
			sprintf(buf, "Error: %d", dwError);
		}

		MessageBoxA(nullptr, buf, nullptr, MB_OK);
	}
	break;
	
	// ...[생략]...
    }
    return 0;
}

실제로 위와 같이 Win32 프로그램을 만든 후 윈도우 탐색기에서 파일을 끌어다 놓으면 DragQueryFile의 호출 결과로 1이라는 결과가 나옵니다.




WM_DROPFILES가 Win32 Message이다 보니, 이를 SendMessage로 보내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웹상의 많은 자료들이 다음과 같은 코드로 알려주고 있습니다.

char filename[] = "c:\\temp\\test.wav";

POINT point;
point.x = 0;
point.y = 0;

int cbBuffer = sizeof(DROPFILES) + strlen(filename) + 2;
			
if (HGLOBAL hGlobal = GlobalAlloc(GHND | GMEM_SHARE | GMEM_ZEROINIT, cbBuffer))
{
	DROPFILES * df = (DROPFILES *)GlobalLock(hGlobal);
	df->pFiles = sizeof(DROPFILES);
	df->pt = point;
	df->fNC = FALSE;
	df->fWide = FALSE;

	strcpy(reinterpret_cast<char *>(df + 1), filename);

	GlobalUnlock(hGlobal);

	SendMessage(hWnd, WM_DROPFILES, (WPARAM)hGlobal, 0);

	GlobalFree(hGlobal);
}

실제로 위와 같은 코드는 같은 EXE 프로세스 내에서 SendMessage를 한 경우에는 잘 동작합니다. 하지만, 다른 EXE 프로세스로 보낼 때는 상대 측의 WM_DROPFILES에 있는 DragQueryFile 함수가 0을 반환하고 오류 코드는 6 (The handle is invalid.)으로 나옵니다.

왜냐하면, 윈도우 시스템은 WM_DROPFILES 메시지의 경우 자동으로 마샬링을 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설령, 마샬링을 한다 해도 현재의 WM_DROPFILES 처리 방식에서 보자면 넘어온 HGLOBAL 주소 값이 프로세스 간에 마샬링 된 주소와 동일할 것이라는 보장이 없으므로 역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그럼, 도대체 어떤 수수께끼가 있는 것일까요?

이에 대해서는 WM_DROPFILES를 허용하기 위해 UAC의 UIPI 보안을 설정하는 코드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Tip] UAC 때문에 WM_DROPFILES 메시지를 받을수 없는 경우에 대한 처리 
; http://www.tipssoft.com/bulletin/board.php?bo_table=FAQ&wr_id=1571

위의 글에 보면, WM_DROPFILES뿐만 아니라 WM_COPYGLOBALDATA도 Message Filter에 추가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ChangeWindowMessageFilter(WM_COPYGLOBALDATA, MSGFLT_ADD);
ChangeWindowMessageFilter(WM_DROPFILES, MSGFLT_ADD);

유추가 되지요? ^^

즉, 탐색기에서 파일을 끌어다 놓으면 우선 HGLOBAL에 대한 데이터를 대상 프로세스에 WM_COPYGLOBALDATA를 이용해 복사한 후, 그 프로세스에서 새롭게 할당된 HGLOBAL 주소를 WM_DROPFILES에 넘기는 것으로 짐작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WM_COPYGLOBALDATA 메시지의 사용법에 대한 공식 문서가 없다는 것입니다.

다행이라면, 검색해 보면 ^^ 사용 코드가 나옵니다.

[ros-diffs] [jimtabor] 50047: [Win32k|User32] - Finish 50030 (work by Giannis), Now PostMessage passes all the correct data based on Get/PeekMessage. Example: Post A, Get/Peek A, Translate A, Dispatch A, shoul... 
; https://www.mail-archive.com/ros-diffs@reactos.org/msg09395.html

+  Ret = SendMessageA( hWnd,
+                      WM_COPYGLOBALDATA,
+                      (WPARAM)GlobalSize((HGLOBAL)wParam), // Zero if not a handle.
+                      (LPARAM)wParam);                     // Send wParam as lParam.
+
+  if ( Ret ) return NtUserPostMessage(hWnd, Msg, (WPARAM)Ret, lParam);

사용법이 정말 간단합니다. WM_COPYGLOBALDATA는 GlobalAlloc으로 전달받은 주소의 데이터를 대상 윈도우의 프로세스로 마샬링해주고, 그에 대한 새로운 EXE 프로세스 공간의 메모리 주소 값을 반환해줍니다.

이를 이용해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이 EXE 간의 WM_DROPFILES 메시지 전송을 할 수 있습니다.

char filename[] = "c:\\temp\\test.wav";

POINT point;
point.x = 0;
point.y = 0;

HWND targetWindow = FindWindow(nullptr, L"...[yours]...");
	
int cbBuffer = sizeof(DROPFILES) + strlen(filename) + 2;
			
if (HGLOBAL hGlobal = GlobalAlloc(GHND | GMEM_SHARE | GMEM_ZEROINIT, cbBuffer))
{
	DROPFILES * df = (DROPFILES *)GlobalLock(hGlobal);
	df->pFiles = sizeof(DROPFILES);
	df->pt = point;
	df->fNC = FALSE;
	df->fWide = FALSE;

	strcpy(reinterpret_cast<char *>(df + 1), filename);

	GlobalUnlock(hGlobal);

	// WM_COPYGLOBALDATA == 0x49
	int result = SendMessage(targetWindow, 0x49, (WPARAM)cbBuffer, (LPARAM)hGlobal);
	SendMessage(targetWindow, WM_DROPFILES, (WPARAM)result, 0);

	GlobalFree(hGlobal);
}

첨부한 파일은 다음과 같은 구성의 Win32Project1과 ConsoleApplication1 프로젝트를 포함합니다.

  • Win32Project1: WM_DROPFILES 메시지를 받아 처리하는 프로그램
  • ConsoleApplication1: SendMessage로 WM_DROPFILES 메시지를 Win32Project1로 전송하는 프로그램 (Help / About 메뉴로 SendMessage 코드 수행)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7/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046정성태9/15/201627285개발 환경 구성: 298. Windows 10 - bash 실행 시 시작 디렉터리 자동 변경
11045정성태9/15/201619976Windows: 119. Windows 10 - bash 명령어 창을 실행했는데 바로 닫히는 경우
11044정성태9/15/201620250VS.NET IDE: 112. Visual Studio 확장 - 편집 화면 내에서 링크를 누르면 외부 웹 브라우저에서 열기
11043정성태9/15/201621671.NET Framework: 606.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7) - ClrMD(Microsoft.Diagnostics.Runtime)를 이용한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042정성태9/14/201619841오류 유형: 356. Unknown custom metadata item kind: 6
11041정성태9/10/201619288.NET Framework: 605. CLR4 보안 - yield 구문 내에서 SecurityCritical 메서드 사용 불가 - 2번째 이야기
11040정성태9/10/201626578.NET Framework: 604. C# Windows Forms - Drag & Drop 예제 코드 [2]파일 다운로드1
11039정성태9/9/201623119오류 유형: 355. Visual Studio 빌드 오류 - error CS0122: '__ComObject' is inaccessible due to its protection level
11038정성태9/9/201624892VC++: 99. 서로 다른 프로세스에서 WM_DROPFILES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037정성태9/8/201628153.NET Framework: 603. socket - shutdown 호출이 필요한 사례파일 다운로드1
11036정성태8/29/201624642개발 환경 구성: 297.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어셈블리를 디버깅할 때 지역 변숫값을 확인하는 방법
11035정성태8/29/201620341오류 유형: 354. .NET Reflector - PDB 생성 화면에서 "Clear Store"를 하면 "Index and length must refer to a location within the string" 예외 발생
11034정성태8/25/201624392개발 환경 구성: 296. .NET Core 프로젝트를 NuGet Gallery에 배포하는 방법 [2]
11033정성태8/24/201622211오류 유형: 353. coreclr 빌드 시 error C3249: illegal statement or sub-expression for 'constexpr' function
11032정성태8/23/201621420개발 환경 구성: 295. 최신의 Visual C++ 컴파일러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 [1]
11031정성태8/23/201617666오류 유형: 352. Error encountered while pushing to the remote repository: Response status code does not indicate success: 403 (Forbidden).
11030정성태8/23/201620215VS.NET IDE: 111. Team Explorer - 추가한 Git Remote 저장소가 Branch에 보이지 않는 경우
11029정성태8/18/201627358.NET Framework: 602. Process.Start의 cmd.exe에서 stdin만 redirect 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028정성태8/15/201621422오류 유형: 351. Octave 설치 시 JRE 경로 문제
11027정성태8/15/201622495.NET Framework: 601. ElementHost 컨트롤의 메모리 누수 현상
11026정성태8/13/201623474Math: 19. 행렬 연산으로 본 해밍코드
11025정성태8/12/201622166개발 환경 구성: 294. .NET Core 프로젝트에서 "Copy to Output Directory" 처리 [1]
11024정성태8/12/201621473오류 유형: 350. "nProtect GameMon" 실행 중에는 Visual Studio 디버깅이 안됩니다! [1]
11023정성태8/10/201622988개발 환경 구성: 293. Azure 구독 후 PaaS 서비스 만들어 보기
11022정성태8/10/201623645개발 환경 구성: 292. Azure Cloud Service 배포시 사용자 정의 작업을 추가하는 방법
11021정성태8/10/201620821오류 유형: 349. System.Runtime.Remoting.RemotingException - Type '..., ..., Version=...,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null' is not registered for activation [2]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