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서로 다른 프로세스에서 WM_DROPFILES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아래의 답변을 하면서,

drag&drop 관련해서 문의 드립니다.
; https://www.sysnet.pe.kr/3/0/4756

테스트하다가 알게 된 사실을 하나 공유합니다. ^^

OLE Drag&Drop이 아닌, 예전의 WM_DROPFILES Win32 윈도우 메시지를 이용해 (예를 들어 탐색기 같은) 외부 응용 프로그램에서 끌어다 놓기 했을 때 그 정보를 다음과 같이 받아올 수 있습니다.

BOOL InitInstance(HINSTANCE hInstance, int nCmdShow)
{
   // ...[생략]...

   DragAcceptFiles(hWnd, TRUE);

   // ...[생략]...

   return TRUE;
}

LRESULT CALLBACK WndProc(HWND hWnd, UINT message, WPARAM wParam, LPARAM lParam)
{
    switch (message)
    {
    // ...[생략]...
	
	case WM_DROPFILES:
	{
		int fileCount = DragQueryFile((HDROP)wParam, -1, nullptr, 0);
		DWORD dwError = ::GetLastError();
		DragFinish((HDROP)wParam); 
		char buf[1024] = { 0 };
		if (fileCount != 0)
		{
			sprintf(buf, "FileCount: %d", fileCount);
		}
		else
		{
			sprintf(buf, "Error: %d", dwError);
		}

		MessageBoxA(nullptr, buf, nullptr, MB_OK);
	}
	break;
	
	// ...[생략]...
    }
    return 0;
}

실제로 위와 같이 Win32 프로그램을 만든 후 윈도우 탐색기에서 파일을 끌어다 놓으면 DragQueryFile의 호출 결과로 1이라는 결과가 나옵니다.




WM_DROPFILES가 Win32 Message이다 보니, 이를 SendMessage로 보내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웹상의 많은 자료들이 다음과 같은 코드로 알려주고 있습니다.

char filename[] = "c:\\temp\\test.wav";

POINT point;
point.x = 0;
point.y = 0;

int cbBuffer = sizeof(DROPFILES) + strlen(filename) + 2;
			
if (HGLOBAL hGlobal = GlobalAlloc(GHND | GMEM_SHARE | GMEM_ZEROINIT, cbBuffer))
{
	DROPFILES * df = (DROPFILES *)GlobalLock(hGlobal);
	df->pFiles = sizeof(DROPFILES);
	df->pt = point;
	df->fNC = FALSE;
	df->fWide = FALSE;

	strcpy(reinterpret_cast<char *>(df + 1), filename);

	GlobalUnlock(hGlobal);

	SendMessage(hWnd, WM_DROPFILES, (WPARAM)hGlobal, 0);

	GlobalFree(hGlobal);
}

실제로 위와 같은 코드는 같은 EXE 프로세스 내에서 SendMessage를 한 경우에는 잘 동작합니다. 하지만, 다른 EXE 프로세스로 보낼 때는 상대 측의 WM_DROPFILES에 있는 DragQueryFile 함수가 0을 반환하고 오류 코드는 6 (The handle is invalid.)으로 나옵니다.

왜냐하면, 윈도우 시스템은 WM_DROPFILES 메시지의 경우 자동으로 마샬링을 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설령, 마샬링을 한다 해도 현재의 WM_DROPFILES 처리 방식에서 보자면 넘어온 HGLOBAL 주소 값이 프로세스 간에 마샬링 된 주소와 동일할 것이라는 보장이 없으므로 역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그럼, 도대체 어떤 수수께끼가 있는 것일까요?

이에 대해서는 WM_DROPFILES를 허용하기 위해 UAC의 UIPI 보안을 설정하는 코드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Tip] UAC 때문에 WM_DROPFILES 메시지를 받을수 없는 경우에 대한 처리 
; http://www.tipssoft.com/bulletin/board.php?bo_table=FAQ&wr_id=1571

위의 글에 보면, WM_DROPFILES뿐만 아니라 WM_COPYGLOBALDATA도 Message Filter에 추가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ChangeWindowMessageFilter(WM_COPYGLOBALDATA, MSGFLT_ADD);
ChangeWindowMessageFilter(WM_DROPFILES, MSGFLT_ADD);

유추가 되지요? ^^

즉, 탐색기에서 파일을 끌어다 놓으면 우선 HGLOBAL에 대한 데이터를 대상 프로세스에 WM_COPYGLOBALDATA를 이용해 복사한 후, 그 프로세스에서 새롭게 할당된 HGLOBAL 주소를 WM_DROPFILES에 넘기는 것으로 짐작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WM_COPYGLOBALDATA 메시지의 사용법에 대한 공식 문서가 없다는 것입니다.

다행이라면, 검색해 보면 ^^ 사용 코드가 나옵니다.

[ros-diffs] [jimtabor] 50047: [Win32k|User32] - Finish 50030 (work by Giannis), Now PostMessage passes all the correct data based on Get/PeekMessage. Example: Post A, Get/Peek A, Translate A, Dispatch A, shoul... 
; https://www.mail-archive.com/ros-diffs@reactos.org/msg09395.html

+  Ret = SendMessageA( hWnd,
+                      WM_COPYGLOBALDATA,
+                      (WPARAM)GlobalSize((HGLOBAL)wParam), // Zero if not a handle.
+                      (LPARAM)wParam);                     // Send wParam as lParam.
+
+  if ( Ret ) return NtUserPostMessage(hWnd, Msg, (WPARAM)Ret, lParam);

사용법이 정말 간단합니다. WM_COPYGLOBALDATA는 GlobalAlloc으로 전달받은 주소의 데이터를 대상 윈도우의 프로세스로 마샬링해주고, 그에 대한 새로운 EXE 프로세스 공간의 메모리 주소 값을 반환해줍니다.

이를 이용해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이 EXE 간의 WM_DROPFILES 메시지 전송을 할 수 있습니다.

char filename[] = "c:\\temp\\test.wav";

POINT point;
point.x = 0;
point.y = 0;

HWND targetWindow = FindWindow(nullptr, L"...[yours]...");
	
int cbBuffer = sizeof(DROPFILES) + strlen(filename) + 2;
			
if (HGLOBAL hGlobal = GlobalAlloc(GHND | GMEM_SHARE | GMEM_ZEROINIT, cbBuffer))
{
	DROPFILES * df = (DROPFILES *)GlobalLock(hGlobal);
	df->pFiles = sizeof(DROPFILES);
	df->pt = point;
	df->fNC = FALSE;
	df->fWide = FALSE;

	strcpy(reinterpret_cast<char *>(df + 1), filename);

	GlobalUnlock(hGlobal);

	// WM_COPYGLOBALDATA == 0x49
	int result = SendMessage(targetWindow, 0x49, (WPARAM)cbBuffer, (LPARAM)hGlobal);
	SendMessage(targetWindow, WM_DROPFILES, (WPARAM)result, 0);

	GlobalFree(hGlobal);
}

첨부한 파일은 다음과 같은 구성의 Win32Project1과 ConsoleApplication1 프로젝트를 포함합니다.

  • Win32Project1: WM_DROPFILES 메시지를 받아 처리하는 프로그램
  • ConsoleApplication1: SendMessage로 WM_DROPFILES 메시지를 Win32Project1로 전송하는 프로그램 (Help / About 메뉴로 SendMessage 코드 수행)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7/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904정성태4/27/201527076DDK: 6. ZwTerminateProcess로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Device Driver 프로그램 [2]파일 다운로드1
2903정성태4/20/201520554Windows: 110. (무료) 마이크로소프트 온라인 강좌 소개 - Azure에서 제공하는 계정 관리 서비스
2902정성태4/16/201526516Windows: 109. (무료) 마이크로소프트 온라인 강좌 소개 - Active Directory 이해
2901정성태4/15/201523113Windows: 108. (무료) 마이크로소프트 온라인 강좌 소개 - Windows Server 2012 R2 주요 기술 (Hyper-V 관점)
2900정성태3/24/201522171오류 유형: 279. robocopy 오류 - The file cannot be accessed by the system [4]
2899정성태3/24/201530267개발 환경 구성: 264. Visual Studio 2013 솔루션을 2015로 마이그레이션
2898정성태3/24/201520860개발 환경 구성: 263. SharePoint 2013을 Windows Server 2012 R2에 설치
2897정성태3/18/201519520오류 유형: 278. LoadLibrary("...") failed - Invalid access to memory location.
2896정성태3/18/201519666VC++: 90. Visual Studio 2013에서 Visual Basic 6용 ATL Control 제작
2895정성태3/18/201522733VC++: 89. Visual Studio 2015 - auto 반환 타입 및 thread_local 예약어 지원(C++ 11 표준) [2]
2894정성태3/18/201521003.NET Framework: 509. ELEMENT_TYPE_MODIFIER의 조합
2893정성태3/18/201521083오류 유형: 277. command line error MIDL1004: cannot execute C preprocessor cl.exe
2892정성태3/17/201525953오류 유형: 276. robocopy - Logon failure: unknown user name or bad password.
2891정성태3/17/201542094개발 환경 구성: 262. Visual Basic 6 (Enterprise Edition)을 Windows 7 x86에 설치하는 방법 [1]
2890정성태3/17/201524441오류 유형: 275. Internet Explorer - This page can't be displayed
2889정성태3/17/201525103Windows: 107. (2015-03-12) 업데이트 이후 작업 표시줄 또는 탐색기의 반응이 느려지는 문제 [1]
2888정성태3/17/201523132.NET Framework: 508. Visual Studio 빌드 - fatal error C1033: cannot open program database ''
2887정성태3/13/201520355.NET Framework: 507. CoreFx 빌드하는 방법
2886정성태3/13/201522115오류 유형: 274. CoreFx, CoreCLR 빌드 시 "error CS0518: Predefined type 'System.Object' is not defined or imported" 오류 해결 방법
2885정성태3/13/201533449VS.NET IDE: 99. Visual Studio는 2019는 32비트, 2022부터 64비트 버전입니다. [2]
2884정성태3/12/201526741.NET Framework: 506. .NETCore = CoreFX + CoreCLR [5]
2883정성태3/10/201523875.NET Framework: 505. OpenCover 소스 코드 분석을 Visual Studio 2013에서 하는 방법 [1]
2882정성태3/10/201522774.NET Framework: 504. OpenCover 코드 커버리지 도구의 동작 방식을 통해 살펴보는 Calli IL 코드 사용법
2881정성태3/9/201523288개발 환경 구성: 261. OpenCover 오픈 소스를 이용한 .NET 코드 커버리지(Code coverage)
2880정성태3/7/201521549개발 환경 구성: 260. C# Code Coverage 도구 - Semantic Designs 소개
2879정성태3/3/201526558개발 환경 구성: 259. Visual Studio 없이 Visual C++ 컴파일하는 방법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