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Visual Studio 빌드 오류 - error CS0122: '__ComObject' is inaccessible due to its protection level

예전에, Visual Studio의 Fakes를 이용한 단위 테스트를 소개해드렸는데요.

Visual Studio의 단위 테스트 작성 시 Fakes를 이용한 메서드 재정의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858

최근에 그 테스트가 포함된 프로젝트에 외부 소스 코드를 병합하는 작업을 했는데, 그 이후로 빌드 시마다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1>------ Build started: Project: ..., Configuration: Debug Any CPU ------
1>  TestProject -> D:\TestProject\bin\Debug\TestProject.dll
2>------ Build started: Project: TestLibraryUnitTest, Configuration: Debug Any CPU ------
2>D:\TestProjectUnitTest\f.cs(36092,55): error CS0122: '__ComObject' is inaccessible due to its protection level [D:\TestProjectUnitTest\obj\Debug\Fakes\j5\f.csproj]
2>D:\TestProjectUnitTest\f.cs(36837,55): error CS0122: '__ComObject' is inaccessible due to its protection level [D:\TestProjectUnitTest\obj\Debug\Fakes\j5\f.csproj]
2>D:\TestProjectUnitTest\f.cs(37585,55): error CS0122: '__ComObject' is inaccessible due to its protection level [D:\TestProjectUnitTest\obj\Debug\Fakes\j5\f.csproj]
2>GENERATEFAKES : error : project compilation failed with exit code 1
2>D:\TestProjectUnitTest\f.cs(36092,55): error CS0122: '__ComObject' is inaccessible due to its protection level [D:\TestProjectUnitTest\obj\Debug\Fakes\j5\f.csproj]
2>D:\TestProjectUnitTest\f.cs(36837,55): error CS0122: '__ComObject' is inaccessible due to its protection level [D:\TestProjectUnitTest\obj\Debug\Fakes\j5\f.csproj]
2>D:\TestProjectUnitTest\f.cs(37585,55): error CS0122: '__ComObject' is inaccessible due to its protection level [D:\TestProjectUnitTest\obj\Debug\Fakes\j5\f.csproj]
2>GENERATEFAKES : error : project compilation failed with exit code 1
========== Build: 1 succeeded, 1 failed, 10 up-to-date, 0 skipped ==========

오류 메시지가 발생한 f.cs 파일의 해당 라인을 가보면,

public override string ToString()
{
    mqttf::Microsoft.QualityTools.Testing.Fakes.Stubs.IStubObserver ___observer
        = ((mqttf::Microsoft.QualityTools.Testing.Fakes.Stubs.IStubObservable)this).InstanceObserver;
    if ((object)___observer != (object)null)
    {
        mqttf::Microsoft.QualityTools.Testing.Fakes.FakesDelegates.Func<string> ___currentMethod = this.ToString;
        ___observer.Enter(typeof(global::System.__ComObject), (global::System.Delegate)___currentMethod);
    }
    mqttf::Microsoft.QualityTools.Testing.Fakes.FakesDelegates.Func<string> ___sh = this.ToString01;
    if ((object)___sh != (object)null)
        return ___sh.Invoke();
    else 
    {
        if (this.___callBase)
        return base.ToString();
        mqttf::Microsoft.QualityTools.Testing.Fakes.Stubs.IStubBehavior ___behavior
            = ((mqttf::Microsoft.QualityTools.Testing.Fakes.Stubs.IStub)this).InstanceBehavior;
        return ___behavior.Result<global::Microsoft.Diagnostics.Runtime.ICorDebug.Fakes.StubEmbeddedCLRCorDebugClass, string>(this, "ToString");
    }
}

메시지에 따라 원인은 다음의 라인에 있습니다.

___observer.Enter(typeof(global::System.__ComObject), (global::System.Delegate)___currentMethod);

이 코드를 포함한 클래스를 보면 답이 나오는데요.

[mqttf::Microsoft.QualityTools.Testing.Fakes.Stubs.StubClass(typeof(My::Microsoft.Diagnostics.Runtime.ICorDebug.EmbeddedCLRCorDebugClass))]
[global::System.Diagnostics.DebuggerDisplay("Stub of EmbeddedCLRCorDebugClass")]
[global::System.Diagnostics.DebuggerNonUserCode]
public partial class StubEmbeddedCLRCorDebugClass 
			: My::Microsoft.Diagnostics.Runtime.ICorDebug.EmbeddedCLRCorDebugClass, mqttf::Microsoft.QualityTools.Testing.Fakes.Stubs.IStub<My::Microsoft.Diagnostics.Runtime.ICorDebug.EmbeddedCLRCorDebugClass>, mqttf::Microsoft.QualityTools.Testing.Fakes.Stubs.IPartialStub

CLRCorDebug 클래스와 연계된 __ComObject가 문제였던 것입니다.

해결책은, 저렇게 문제가 발생하는 것들을 Fake 소스 코드 생성에서 제외하면 되는데 다음의 문서에 그 방법이 잘 나와 있습니다.

Code generation, compilation, and naming conventions in Microsoft Fakes
; https://docs.microsoft.com/en-us/visualstudio/test/code-generation-compilation-and-naming-conventions-in-microsoft-fakes

따라서, 단위 테스트 프로젝트의 /Fakes 폴더에 보면 [...your_assembly...].fakes 파일이 있는데 그것을 열어서 원하는 단위로 소스 코드 생성에서 제외해줍니다. 제 경우에는 Microsoft.Diagnostics.Runtime 네임스페이스를 가진 소스 코드를 테스트하진 않을 것이므로 아래와 같이 추가를 해줬습니다.

<Fakes xmlns="http://schemas.microsoft.com/fakes/2011/">
  <Assembly Name="TestLibrary"/>

  <StubGeneration>
    <Remove Namespace="Microsoft.Diagnostics.Runtime.*"/>
  </StubGeneration>
</Fakes>

이렇게 변경하고 다시 빌드하면 이번에는 정상적으로 아주 잘 빌드가 됩니다. 아쉬운 점이라면, 이번에는 오히려 Fake 생성에서 몇몇 클래스가 제외되었다는 것을 알리는 경고가 하나 뜨긴 합니다.

2>D:\TestProjectUnitTest\Fakes\TestLibrary.fakes : warning : Some fakes could not be generated. For complete details, set Diagnostic attribute of the Fakes element in this file to 'true' and rebuild the project.
2>  TestLibraryUnitTest -> D:\TestProjectUnitTest\bin\Debug\TestLibraryUnitTest.dll

그래도 뭐 오류보다는 나으니까.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987정성태6/2/201626406.NET Framework: 595. XLL 파일에 포함된 .NET 어셈블리를 추출하는 방법
10986정성태6/1/201627165.NET Framework: 594. C# - WCF wsDualHttpBinding의 ClientBaseAddress 속성
10985정성태6/1/201625124오류 유형: 336. An error occurred while ejecting 'DVD RW drive ...'
10984정성태5/31/201631068.NET Framework: 593. C# - wsDualHttpBinding WCF 예제 프로그램파일 다운로드1
10983정성태5/30/201624504VC++: 97. C++ 템플릿 remove_pointer, enable_if, is_pointer 사용 예제파일 다운로드1
10982정성태5/26/201622906오류 유형: 335. SQL Server Management Studio - The database ... is not accessible.
10981정성태5/24/201628736.NET Framework: 592. C# - Lights Out 퍼즐 풀기 [2]파일 다운로드1
10980정성태5/24/201625495VS.NET IDE: 108. Visual Studio 2013/2015를 위한 "Macros for Visual Studio"
10979정성태5/23/201628065.NET Framework: 591. C# - 조합(Combination) 예제 코드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0978정성태5/23/201627329.NET Framework: 590. C# - 모든 경우의 수를 조합하는 코드 (2)파일 다운로드1
10977정성태5/23/201632197.NET Framework: 589. C# - 모든 경우의 수를 조합하는 코드 (1)파일 다운로드1
10976정성태5/20/201626788Math: 18. C# - 오일러 공식을 이용한 복소수 값의 라디안 회전파일 다운로드1
10975정성태5/20/201627087Math: 17. C# - 복소수 타입의 승수를 지원하는 Power 메서드파일 다운로드1
10974정성태5/20/201626978.NET Framework: 588. C# - OxyPlot 라이브러리로 복소수 표현파일 다운로드1
10973정성태5/20/201631704.NET Framework: 587. C# Plotting 라이브러리 OxyPlot [3]파일 다운로드1
10972정성태5/19/201632061Math: 16. C# - 갈루아 필드 GF(2) 연산 [3]파일 다운로드1
10971정성태5/19/201623522오류 유형: 334. Visual Studio - 빌드 시 경고 warning MSB3884: Could not find rule set file "...". [2]
10970정성태5/19/201629031오류 유형: 333. OxyPlot 라이브러리의 컨트롤을 Toolbox에 등록 시 오류 [2]
10969정성태5/18/201626798.NET Framework: 586. C# - 파일 확장자에 연결된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방법 (3) - "Open with" 목록에 등록파일 다운로드1
10968정성태5/18/201623015오류 유형: 332. Visual Studio - 단위 테스트 생성 시 "Design time expression evaluation" 오류 메시지
10967정성태5/12/201628539.NET Framework: 585. C# - 파일 확장자에 연결된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방법 (2) - 웹 브라우저가 다운로드 후 자동 실행
10966정성태5/12/201636530.NET Framework: 584. C# - 파일 확장자에 연결된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방법 (1) - 기본 [1]파일 다운로드1
10965정성태5/12/201629598디버깅 기술: 81. try/catch로 조용히 사라진 예외를 파악하고 싶다면? [2]
10964정성태5/12/201626568오류 유형: 331. ASP.NET에서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예외가 발생하는 경우
10963정성태5/11/201628233VS.NET IDE: 107. Visual Studio 2015의 "DTAR_..." 특수 폴더가 생성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2
10962정성태5/11/201627058오류 유형: 330. Visual Studio 단위 테스트 시 DisconnectedContext 예외 발생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