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Visual Studio 빌드 오류 - error CS0122: '__ComObject' is inaccessible due to its protection level

예전에, Visual Studio의 Fakes를 이용한 단위 테스트를 소개해드렸는데요.

Visual Studio의 단위 테스트 작성 시 Fakes를 이용한 메서드 재정의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858

최근에 그 테스트가 포함된 프로젝트에 외부 소스 코드를 병합하는 작업을 했는데, 그 이후로 빌드 시마다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1>------ Build started: Project: ..., Configuration: Debug Any CPU ------
1>  TestProject -> D:\TestProject\bin\Debug\TestProject.dll
2>------ Build started: Project: TestLibraryUnitTest, Configuration: Debug Any CPU ------
2>D:\TestProjectUnitTest\f.cs(36092,55): error CS0122: '__ComObject' is inaccessible due to its protection level [D:\TestProjectUnitTest\obj\Debug\Fakes\j5\f.csproj]
2>D:\TestProjectUnitTest\f.cs(36837,55): error CS0122: '__ComObject' is inaccessible due to its protection level [D:\TestProjectUnitTest\obj\Debug\Fakes\j5\f.csproj]
2>D:\TestProjectUnitTest\f.cs(37585,55): error CS0122: '__ComObject' is inaccessible due to its protection level [D:\TestProjectUnitTest\obj\Debug\Fakes\j5\f.csproj]
2>GENERATEFAKES : error : project compilation failed with exit code 1
2>D:\TestProjectUnitTest\f.cs(36092,55): error CS0122: '__ComObject' is inaccessible due to its protection level [D:\TestProjectUnitTest\obj\Debug\Fakes\j5\f.csproj]
2>D:\TestProjectUnitTest\f.cs(36837,55): error CS0122: '__ComObject' is inaccessible due to its protection level [D:\TestProjectUnitTest\obj\Debug\Fakes\j5\f.csproj]
2>D:\TestProjectUnitTest\f.cs(37585,55): error CS0122: '__ComObject' is inaccessible due to its protection level [D:\TestProjectUnitTest\obj\Debug\Fakes\j5\f.csproj]
2>GENERATEFAKES : error : project compilation failed with exit code 1
========== Build: 1 succeeded, 1 failed, 10 up-to-date, 0 skipped ==========

오류 메시지가 발생한 f.cs 파일의 해당 라인을 가보면,

public override string ToString()
{
    mqttf::Microsoft.QualityTools.Testing.Fakes.Stubs.IStubObserver ___observer
        = ((mqttf::Microsoft.QualityTools.Testing.Fakes.Stubs.IStubObservable)this).InstanceObserver;
    if ((object)___observer != (object)null)
    {
        mqttf::Microsoft.QualityTools.Testing.Fakes.FakesDelegates.Func<string> ___currentMethod = this.ToString;
        ___observer.Enter(typeof(global::System.__ComObject), (global::System.Delegate)___currentMethod);
    }
    mqttf::Microsoft.QualityTools.Testing.Fakes.FakesDelegates.Func<string> ___sh = this.ToString01;
    if ((object)___sh != (object)null)
        return ___sh.Invoke();
    else 
    {
        if (this.___callBase)
        return base.ToString();
        mqttf::Microsoft.QualityTools.Testing.Fakes.Stubs.IStubBehavior ___behavior
            = ((mqttf::Microsoft.QualityTools.Testing.Fakes.Stubs.IStub)this).InstanceBehavior;
        return ___behavior.Result<global::Microsoft.Diagnostics.Runtime.ICorDebug.Fakes.StubEmbeddedCLRCorDebugClass, string>(this, "ToString");
    }
}

메시지에 따라 원인은 다음의 라인에 있습니다.

___observer.Enter(typeof(global::System.__ComObject), (global::System.Delegate)___currentMethod);

이 코드를 포함한 클래스를 보면 답이 나오는데요.

[mqttf::Microsoft.QualityTools.Testing.Fakes.Stubs.StubClass(typeof(My::Microsoft.Diagnostics.Runtime.ICorDebug.EmbeddedCLRCorDebugClass))]
[global::System.Diagnostics.DebuggerDisplay("Stub of EmbeddedCLRCorDebugClass")]
[global::System.Diagnostics.DebuggerNonUserCode]
public partial class StubEmbeddedCLRCorDebugClass 
			: My::Microsoft.Diagnostics.Runtime.ICorDebug.EmbeddedCLRCorDebugClass, mqttf::Microsoft.QualityTools.Testing.Fakes.Stubs.IStub<My::Microsoft.Diagnostics.Runtime.ICorDebug.EmbeddedCLRCorDebugClass>, mqttf::Microsoft.QualityTools.Testing.Fakes.Stubs.IPartialStub

CLRCorDebug 클래스와 연계된 __ComObject가 문제였던 것입니다.

해결책은, 저렇게 문제가 발생하는 것들을 Fake 소스 코드 생성에서 제외하면 되는데 다음의 문서에 그 방법이 잘 나와 있습니다.

Code generation, compilation, and naming conventions in Microsoft Fakes
; https://docs.microsoft.com/en-us/visualstudio/test/code-generation-compilation-and-naming-conventions-in-microsoft-fakes

따라서, 단위 테스트 프로젝트의 /Fakes 폴더에 보면 [...your_assembly...].fakes 파일이 있는데 그것을 열어서 원하는 단위로 소스 코드 생성에서 제외해줍니다. 제 경우에는 Microsoft.Diagnostics.Runtime 네임스페이스를 가진 소스 코드를 테스트하진 않을 것이므로 아래와 같이 추가를 해줬습니다.

<Fakes xmlns="http://schemas.microsoft.com/fakes/2011/">
  <Assembly Name="TestLibrary"/>

  <StubGeneration>
    <Remove Namespace="Microsoft.Diagnostics.Runtime.*"/>
  </StubGeneration>
</Fakes>

이렇게 변경하고 다시 빌드하면 이번에는 정상적으로 아주 잘 빌드가 됩니다. 아쉬운 점이라면, 이번에는 오히려 Fake 생성에서 몇몇 클래스가 제외되었다는 것을 알리는 경고가 하나 뜨긴 합니다.

2>D:\TestProjectUnitTest\Fakes\TestLibrary.fakes : warning : Some fakes could not be generated. For complete details, set Diagnostic attribute of the Fakes element in this file to 'true' and rebuild the project.
2>  TestLibraryUnitTest -> D:\TestProjectUnitTest\bin\Debug\TestLibraryUnitTest.dll

그래도 뭐 오류보다는 나으니까.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991정성태3/2/20227901.NET Framework: 117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transcode_aac.c 예제 포팅
12990정성태3/2/20227595오류 유형: 797. msbuild - The BaseOutputPath/OutputPath property is not set for project '[...].vcxproj'
12989정성태3/2/20227045오류 유형: 796. mstest.exe -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Microsoft.VisualStudio.QualityTools.Tips.WebLoadTest.Tip
12988정성태3/2/20226024오류 유형: 795. CI 환경에서 Docker build 시 csproj의 Link 파일에 대한 빌드 오류
12987정성태3/1/20227553.NET Framework: 116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demuxing_decoding.c 예제 포팅
12986정성태2/28/20228349.NET Framework: 1168. C# -IIncrementalGenerator를 적용한 Version 2 Source Generator 실습 [1]
12985정성태2/28/20228287.NET Framework: 1167. C# -Version 1 Source Generator 실습
12984정성태2/24/20227329.NET Framework: 116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filtering_video.c 예제 포팅
12983정성태2/24/20227437.NET Framework: 1165. .NET Core/5+ 빌드 시 runtimeconfig.json에 설정을 반영하는 방법
12982정성태2/24/20227380.NET Framework: 1164. HTTP Error 500.31 - ANCM Failed to Find Native Dependencies
12981정성태2/23/20226877VC++: 154. C/C++ 언어의 문자열 Literal에 인덱스 적용하는 구문 [1]
12980정성태2/23/20227724.NET Framework: 1163. C# - 윈도우 환경에서 usleep을 호출하는 방법 [2]
12979정성태2/22/202210265.NET Framework: 1162. C# - 인텔 CPU의 P-Core와 E-Core를 구분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2
12978정성태2/21/20227553.NET Framework: 116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resampling_audio.c 예제 포팅
12977정성태2/21/202211307.NET Framework: 116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 디코딩
12976정성태2/21/20226921VS.NET IDE: 174. Visual C++ - "External Dependencies" 노드 비활성화하는 방법
12975정성태2/20/20228615.NET Framework: 115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dec.c 예제 포팅파일 다운로드1
12974정성태2/20/20226723.NET Framework: 1158. C# - SqlConnection의 최소 Pooling 수를 초과한 DB 연결은 언제 해제될까요?
12973정성태2/16/20229060개발 환경 구성: 639. ffmpeg.exe - Intel Quick Sync Video(qsv)를 이용한 인코딩 [3]
12972정성태2/16/20228405Windows: 200. Intel CPU의 내장 그래픽 GPU가 작업 관리자에 없다면? [4]
12971정성태2/15/202210056.NET Framework: 115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muxing.c 예제 포팅 [7]파일 다운로드2
12970정성태2/15/20228186.NET Framework: 1156. C# - ffmpeg(FFmpeg.AutoGen): Bitmap으로부터 h264 형식의 파일로 쓰기 [1]파일 다운로드1
12969정성태2/14/20226673개발 환경 구성: 638.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 기능(Remote SSH 관리)을 위한 명령행 도구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2968정성태2/14/20226893오류 유형: 794. msbuild 에러 - error NETSDK1005: Assets file '...\project.assets.json' doesn't have a target for '...'.
12967정성태2/14/20227234VC++: 153. Visual C++ - C99 표준의 Compund Literals 빌드 방법 [4]
12966정성태2/13/20227069.NET Framework: 1155. C# - ffmpeg(FFmpeg.AutoGen): Bitmap으로부터 yuv420p + rawvideo 형식의 파일로 쓰기파일 다운로드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