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Visual Studio 빌드 오류 - error CS0122: '__ComObject' is inaccessible due to its protection level

예전에, Visual Studio의 Fakes를 이용한 단위 테스트를 소개해드렸는데요.

Visual Studio의 단위 테스트 작성 시 Fakes를 이용한 메서드 재정의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858

최근에 그 테스트가 포함된 프로젝트에 외부 소스 코드를 병합하는 작업을 했는데, 그 이후로 빌드 시마다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1>------ Build started: Project: ..., Configuration: Debug Any CPU ------
1>  TestProject -> D:\TestProject\bin\Debug\TestProject.dll
2>------ Build started: Project: TestLibraryUnitTest, Configuration: Debug Any CPU ------
2>D:\TestProjectUnitTest\f.cs(36092,55): error CS0122: '__ComObject' is inaccessible due to its protection level [D:\TestProjectUnitTest\obj\Debug\Fakes\j5\f.csproj]
2>D:\TestProjectUnitTest\f.cs(36837,55): error CS0122: '__ComObject' is inaccessible due to its protection level [D:\TestProjectUnitTest\obj\Debug\Fakes\j5\f.csproj]
2>D:\TestProjectUnitTest\f.cs(37585,55): error CS0122: '__ComObject' is inaccessible due to its protection level [D:\TestProjectUnitTest\obj\Debug\Fakes\j5\f.csproj]
2>GENERATEFAKES : error : project compilation failed with exit code 1
2>D:\TestProjectUnitTest\f.cs(36092,55): error CS0122: '__ComObject' is inaccessible due to its protection level [D:\TestProjectUnitTest\obj\Debug\Fakes\j5\f.csproj]
2>D:\TestProjectUnitTest\f.cs(36837,55): error CS0122: '__ComObject' is inaccessible due to its protection level [D:\TestProjectUnitTest\obj\Debug\Fakes\j5\f.csproj]
2>D:\TestProjectUnitTest\f.cs(37585,55): error CS0122: '__ComObject' is inaccessible due to its protection level [D:\TestProjectUnitTest\obj\Debug\Fakes\j5\f.csproj]
2>GENERATEFAKES : error : project compilation failed with exit code 1
========== Build: 1 succeeded, 1 failed, 10 up-to-date, 0 skipped ==========

오류 메시지가 발생한 f.cs 파일의 해당 라인을 가보면,

public override string ToString()
{
    mqttf::Microsoft.QualityTools.Testing.Fakes.Stubs.IStubObserver ___observer
        = ((mqttf::Microsoft.QualityTools.Testing.Fakes.Stubs.IStubObservable)this).InstanceObserver;
    if ((object)___observer != (object)null)
    {
        mqttf::Microsoft.QualityTools.Testing.Fakes.FakesDelegates.Func<string> ___currentMethod = this.ToString;
        ___observer.Enter(typeof(global::System.__ComObject), (global::System.Delegate)___currentMethod);
    }
    mqttf::Microsoft.QualityTools.Testing.Fakes.FakesDelegates.Func<string> ___sh = this.ToString01;
    if ((object)___sh != (object)null)
        return ___sh.Invoke();
    else 
    {
        if (this.___callBase)
        return base.ToString();
        mqttf::Microsoft.QualityTools.Testing.Fakes.Stubs.IStubBehavior ___behavior
            = ((mqttf::Microsoft.QualityTools.Testing.Fakes.Stubs.IStub)this).InstanceBehavior;
        return ___behavior.Result<global::Microsoft.Diagnostics.Runtime.ICorDebug.Fakes.StubEmbeddedCLRCorDebugClass, string>(this, "ToString");
    }
}

메시지에 따라 원인은 다음의 라인에 있습니다.

___observer.Enter(typeof(global::System.__ComObject), (global::System.Delegate)___currentMethod);

이 코드를 포함한 클래스를 보면 답이 나오는데요.

[mqttf::Microsoft.QualityTools.Testing.Fakes.Stubs.StubClass(typeof(My::Microsoft.Diagnostics.Runtime.ICorDebug.EmbeddedCLRCorDebugClass))]
[global::System.Diagnostics.DebuggerDisplay("Stub of EmbeddedCLRCorDebugClass")]
[global::System.Diagnostics.DebuggerNonUserCode]
public partial class StubEmbeddedCLRCorDebugClass 
			: My::Microsoft.Diagnostics.Runtime.ICorDebug.EmbeddedCLRCorDebugClass, mqttf::Microsoft.QualityTools.Testing.Fakes.Stubs.IStub<My::Microsoft.Diagnostics.Runtime.ICorDebug.EmbeddedCLRCorDebugClass>, mqttf::Microsoft.QualityTools.Testing.Fakes.Stubs.IPartialStub

CLRCorDebug 클래스와 연계된 __ComObject가 문제였던 것입니다.

해결책은, 저렇게 문제가 발생하는 것들을 Fake 소스 코드 생성에서 제외하면 되는데 다음의 문서에 그 방법이 잘 나와 있습니다.

Code generation, compilation, and naming conventions in Microsoft Fakes
; https://docs.microsoft.com/en-us/visualstudio/test/code-generation-compilation-and-naming-conventions-in-microsoft-fakes

따라서, 단위 테스트 프로젝트의 /Fakes 폴더에 보면 [...your_assembly...].fakes 파일이 있는데 그것을 열어서 원하는 단위로 소스 코드 생성에서 제외해줍니다. 제 경우에는 Microsoft.Diagnostics.Runtime 네임스페이스를 가진 소스 코드를 테스트하진 않을 것이므로 아래와 같이 추가를 해줬습니다.

<Fakes xmlns="http://schemas.microsoft.com/fakes/2011/">
  <Assembly Name="TestLibrary"/>

  <StubGeneration>
    <Remove Namespace="Microsoft.Diagnostics.Runtime.*"/>
  </StubGeneration>
</Fakes>

이렇게 변경하고 다시 빌드하면 이번에는 정상적으로 아주 잘 빌드가 됩니다. 아쉬운 점이라면, 이번에는 오히려 Fake 생성에서 몇몇 클래스가 제외되었다는 것을 알리는 경고가 하나 뜨긴 합니다.

2>D:\TestProjectUnitTest\Fakes\TestLibrary.fakes : warning : Some fakes could not be generated. For complete details, set Diagnostic attribute of the Fakes element in this file to 'true' and rebuild the project.
2>  TestLibraryUnitTest -> D:\TestProjectUnitTest\bin\Debug\TestLibraryUnitTest.dll

그래도 뭐 오류보다는 나으니까.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43정성태2/26/20219991VS.NET IDE: 158. C# - 디자인 타임(design-time)과 런타임(runtime)의 코드 실행 구분
12542정성태2/20/202112327개발 환경 구성: 544. github repo의 Release 활성화 및 Actions를 이용한 자동화 방법 [1]
12541정성태2/18/20219561개발 환경 구성: 543. 애저듣보잡 - Github Workflow/Actions 소개
12540정성태2/17/20219883.NET Framework: 1024. C# - Win32 API에 대한 P/Invoke를 대신하는 Microsoft.Windows.CsWin32 패키지
12539정성태2/16/20219786Windows: 189. WM_TIMER의 동작 방식 개요파일 다운로드1
12538정성태2/15/202110184.NET Framework: 1023. C# - GC 힙이 아닌 Native 힙에 인스턴스 생성 - 0SuperComicLib.LowLevel 라이브러리 소개 [2]
12537정성태2/11/202111222.NET Framework: 1022. UI 요소의 접근은 반드시 그 UI를 만든 스레드에서! - 두 번째 이야기 [2]
12536정성태2/9/202110199개발 환경 구성: 542. BDP(Bandwidth-delay product)와 TCP Receive Window
12535정성태2/9/20219349개발 환경 구성: 541. Wireshark로 확인하는 LSO(Large Send Offload), RSC(Receive Segment Coalescing) 옵션
12534정성태2/8/20219865개발 환경 구성: 540.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closesocket 동작 [1]파일 다운로드1
12533정성태2/8/20219568개발 환경 구성: 539.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shutdown 동작파일 다운로드1
12532정성태2/6/202110046개발 환경 구성: 538.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ReceiveBufferSize(SO_RCVBUF), SendBufferSize(SO_SNDBUF) [3]
12531정성태2/5/20219038개발 환경 구성: 537.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PSH flag와 Nagle 알고리듬파일 다운로드1
12530정성태2/4/202113268개발 환경 구성: 536.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Receive Window
12529정성태2/4/202110288개발 환경 구성: 535.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IN RTO [1]
12528정성태2/1/20219700개발 환경 구성: 534.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윈도우 환경
12527정성태2/1/20219882개발 환경 구성: 533.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리눅스 환경파일 다운로드1
12526정성태2/1/20217723개발 환경 구성: 532. Azure Devops의 파이프라인 빌드 시 snk 파일 다루는 방법 - Secure file
12525정성태2/1/20217430개발 환경 구성: 531. Azure Devops - 파이프라인 실행 시 빌드 이벤트를 생략하는 방법
12524정성태1/31/20218562개발 환경 구성: 530.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빌드 Pipeline에 연결하는 방법 [1]
12523정성태1/31/20218627개발 환경 구성: 529.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Board에 연결하는 방법
12522정성태1/31/202110142개발 환경 구성: 528. 오라클 클라우드의 리눅스 VM - 9000 MTU Jumbo Frame 테스트
12521정성태1/31/202110086개발 환경 구성: 527. 이더넷(Ethernet) 환경의 TCP 통신에서 MSS(Maximum Segment Size) 확인 [1]
12520정성태1/30/20218633개발 환경 구성: 526. 오라클 클라우드의 VM에 ping ICMP 여는 방법
12519정성태1/30/20217671개발 환경 구성: 525. 오라클 클라우드의 VM을 외부에서 접근하기 위해 포트 여는 방법
12518정성태1/30/202125138Linux: 37. Ubuntu에 Wireshark 설치 [2]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