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67. 다른 스레드의 호출 스택 덤프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802

.NET Framework: 260.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2) - Managed Stack Explorer 소스 코드를 이용한 스택 덤프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62

.NET Framework: 261.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3) - MSE 소스 코드 개선
; https://www.sysnet.pe.kr/2/0/1163

.NET Framework: 262.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4) - .NET 4.0을 지원하지 않는 MSE 응용 프로그램 원인 분석
; https://www.sysnet.pe.kr/2/0/1164

.NET Framework: 311.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5) - ICorDebug 인터페이스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249

.NET Framework: 392.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6) - MDbg를 이용한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534

.NET Framework: 606.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7) - ClrMD(Microsoft.Diagnostics.Runtime)를 이용한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43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7) - ClrMD(Microsoft.Diagnostics.Runtime)를 이용한 방법

스레드 콜 스택 덤프 관련해 결국 한 번 더 쓰게 되는군요. ^^

외부 프로세스에서 디버거를 붙이는 MDbg 방법보다 더 나은 CLRMD가 있어서 소개해드립니다. ^^

github - Microsoft / clrmd
; https://github.com/Microsoft/clrmd

예제 코드까지 포함하고 있는 데다 실제로 사용 방법도 전형적이어서 쉽게 쓸 수 있습니다. 이렇게!

// Install-Package Microsoft.Diagnostics.Runtime -Version 1.1.142101

using (DataTarget target = DataTarget.AttachToProcess(Process.GetCurrentProcess().Id, 5000, AttachFlag.Passive))
{
    ClrRuntime runtime = target.ClrVersions.First().CreateRuntime();
    foreach (ClrThread thread in runtime.Threads)
    {
        if (_managed.Contains(thread.ManagedThreadId) != true)
        {
            continue;
        }

        IList<ClrStackFrame> stackFrames = thread.StackTrace;

        foreach (ClrStackFrame item in stackFrames)
        {
            if (item.Kind == ClrStackFrameType.ManagedMethod)
            {
                FileAndLineNumber info = item.GetSourceLocation();
                if (info.Line != 0)
                {
                    Console.WriteLine("0x{0:x} 0x{1:x} {2} in {3} at {4}", item.InstructionPointer, item.StackPointer, item.DisplayString, info.File, info.Line);
                }
                else
                {
                    Console.WriteLine("0x{0:x} 0x{1:x} {2}", item.InstructionPointer, item.StackPointer, item.DisplayString);
                }
            }
        }
    }

    runtime.Flush();
}

보시면 AttachToProcess 메서드의 3번째 인자인 AttachFlag가 Passive로 넘어가는데, 같은 프로세스에 디버거를 붙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Attach되는 어떠한 명시적인 동작은 없고 단지 mscoree.dll 측의 CLR 관련 인터페이스를 구하는 작업만 합니다.

CLRMD 라이브러리에 아쉬운 점이 있다면 버그가 좀 있다는 점입니다. 가령, 반복 호출하면 메모리 누수가 있고 x64 EXE인 경우 콜 스택이 "UNKNOWN"으로만 나옵니다. 몇몇 문제들은 ClrMd를 fork한 다른 github repo에서 이미 해결했고 저도 나름대로 그것들을 기반으로 다음의 이슈들을 해결한 fork를 가지고 있습니다.

commit fc6b4eac7c37ff2d900bedcb3a0fdeedd26b6fe9 - x64에서 "UNKNOWN" 콜스택이 나오는 문제
commit 2535724f0aa95f70763592d35a8efba009fb9310 - PDB 파일 분석 시 "Unknown custom metadata item kind: 6" 예외 발생하는 문제
commit e699965a623635e3d246c03b1cfc6ec5bf9aac3f - private PDB 파일인 경우 PdbException 발생하는 문제
commit 3e6120d7f4505a4957550e4eace459353870fcf0 - PdbInfo 타입에 GetHashCode / Equals 메서드 구현
commit 1de3a2d1fd8ed3cf6dbada0b370213db8c0f60d2 - PEBuffer 클래스에 있는 메모리 누수 문제
commit 7eb4235a71929bbd7edcfc493465e96c253619da - PEFile.GetPdbSignature 메서드에 있는 메모리 누수 문제
commit d8dfb06ec6c11e90b14d6a9a13eb3168ad6e50fd - x64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Clrobject
commit c0940f9001e319c4ef22edff40a20eb2bfeb7806 - C# 2.0 컴파일러에서도 빌드가 가능하도록 C# 상위 버전의 문법 대체
commit 8aeae6e86292c838b2fc93b752b092b86479ade6 - C# 2.0 컴파일러에서도 빌드가 가능하도록 LINQ 의존성 제거

마이크로소프트 측의 원본 CLRMD repo는 현재 (오늘 기준으로) 마지막 업데이트가 지난 4월인데 그 이후로 더 이상의 개선이 없는 상태입니다. (즉, Pull Request도 병합되지 않고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한 다른 fork repo를 이용하거나 제 것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2021-01-04: 현재 기준 2.0.161401 버전까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첨부한 파일은 제가 clrmd를 변경한 소스 코드와 함께 이 글의 예제 프로젝트를 포함합니다.




Microsoft.Diagnostics.Runtime 패키지의 DataTarget.CreateSnapshotAndAttach 메서드를 호출 시 3가지 정도의 상황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만약, 64비트 프로세스에서 32비트 프로세스에 연결해 CreateSnapshotFromProcess 메서드를 호출하는 경우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The system detected an overrun of a stack-based buffer in this application. This overrun could potentially allow a malicious user to gain control of this application. 

Unhandled Exception: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Sequence contains no elements
   at System.Linq.ThrowHelper.ThrowNoElementsException() + 0x2b
   at System.Linq.Enumerable.First[TSource](IEnumerable`1) + 0x27
   at System.Linq.ImmutableArrayExtensions.First[T](ImmutableArray`1) + 0x19
...[생략]...

2) 리눅스 환경에서 .NET Core 3.0 이하의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이렇게 오류 발생하고,

Unhandled Exception: Microsoft.Diagnostics.NETCore.Client.ServerNotAvailableException: Unable to connect to Process 1. Please verify that /tmp/ is writable by the current user. If the target process has environment variable TMPDIR set, please set TMPDIR to the same directory. Please see https://aka.ms/dotnet-diagnostics-port for more information
at Microsoft.Diagnostics.NETCore.Client.PidIpcEndpoint.GetDefaultAddress(Int32) + 0x1f3
at Microsoft.Diagnostics.NETCore.Client.PidIpcEndpoint.Connect(TimeSpan) + 0x17
at Microsoft.Diagnostics.NETCore.Client.IpcClient.SendMessageGetContinuation(IpcEndpoint, IpcMessage) + 0x1c
at Microsoft.Diagnostics.NETCore.Client.IpcClient.SendMessage(IpcEndpoint, IpcMessage) + 0x1a
at Microsoft.Diagnostics.NETCore.Client.DiagnosticsClient.WriteDump(DumpType, String, WriteDumpFlags) + 0x36
at Microsoft.Diagnostics.Runtime.LinuxSnapshotTarget.CreateSnapshotFromProcess(Int32) + 0x7e
at Microsoft.Diagnostics.Runtime.DataTarget.CreateSnapshotAndAttach(Int32, TokenCredential) + 0xcb
...[생략]...


3) Windows Server 2008 R2 이하의 운영체제에서는 이렇게 오류 발생합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EntryPointNotFoundException: Unable to find an entry point named 'PssCaptureSnapshot' in native library 'kernel32.dll'.
   at Internal.Runtime.CompilerHelpers.InteropHelpers.FixupMethodCell(IntPtr, InteropHelpers.MethodFixupCell*) + 0x161
   at Internal.Runtime.CompilerHelpers.InteropHelpers.ResolvePInvokeSlow(InteropHelpers.MethodFixupCell*) + 0x3d
   at Microsoft.Diagnostics.Runtime.WindowsProcessDataReader.PssCaptureSnapshot(IntPtr, PSS_CAPTURE_FLAGS, Int32, IntPtr&) + 0x35
   at Microsoft.Diagnostics.Runtime.WindowsProcessDataReader..ctor(Int32, WindowsProcessDataReaderMode) + 0x85
   at Microsoft.Diagnostics.Runtime.DataTarget.CreateSnapshotAndAttach(Int32, TokenCredential) + 0x11a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3/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7-03-31 04시42분
정성태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529정성태11/5/201323334오류 유형: 192. SQL 서버 - The transaction log for database '...' is full due to 'LOG_BACKUP'.
1528정성태11/5/201328927디버깅 기술: 58. windbg 분석 사례 - WPF 응용 프로그램의 UI가 반응하지 않는 문제 [5]
1527정성태11/4/201326539VC++: 72. error MIDL2311 - mktyplib compatability mode 컴파일 오류
1526정성태11/3/201323259디버깅 기술: 57. C# - double 값에 대한 windbg 확인
1525정성태11/2/201329643.NET Framework: 391. C# - EXE/DLL로부터 추출한 이미지/아이콘의 배경색 투명 처리 [8]
1524정성태11/2/201330489기타: 37. 프로그램에 보여지는 리소스(예: 아이콘) 추출하는 방법 [1]
1523정성태11/2/201326821VS.NET IDE: 81. Visual Studio 확장 도구 AttachToW3WP - w3wp.exe에 대한 디버거 연결을 자동화하는 도구 [2]
1522정성태11/1/201323416VS.NET IDE: 80. IIS 8.0/8.5 - Global.asax.cs처럼 초기에 실행되는 코드에 Breakpoint를 잡는 방법
1521정성태11/1/201329300VS.NET IDE: 79. IIS 7.5 - Global.asax.cs처럼 초기에 실행되는 코드에 Breakpoint를 잡는 방법
1520정성태10/31/201323709오류 유형: 191. Visual Studio 2010 -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 시 "The project type is not supported by this installation." 오류 발생 해결
1519정성태10/31/201349225기타: 36. SYSTEM 또는 TrustedInstaller 소유로 되어 있는 폴더/파일을 삭제하는 방법 [5]
1518정성태10/30/201326882VS.NET IDE: 78. Visual Studio 확장으로 XmlCodeGenerator 제작하는 방법
1517정성태10/28/201326458디버깅 기술: 56. 덤프 파일에 핸들/스레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
1516정성태10/28/201331748.NET Framework: 390. FolderBrowserDialog보다 더 쓸만한 대화창이 필요하다면? [1]
1515정성태10/24/201334448VS.NET IDE: 77. Visual Studio 확장(VSIX) 만드는 방법 [5]
1514정성태10/24/201367802개발 환경 구성: 202. Internet Explorer 11을 7, 8, 9, 10 버전으로 인식시키는 방법 [9]파일 다운로드1
1513정성태10/23/201324341개발 환경 구성: 201. Azure Blob Storage의 DNS 경로를 사용자 DNS로 바꾸는 방법 [1]
1512정성태10/18/201327571개발 환경 구성: 200. IIS AppPool의 실행 계정을 변경하는 방법
1511정성태10/12/201325705.NET Framework: 389. The 3n + 1 problem의 C#/Java 버전 풀이 [2]
1510정성태10/8/201326599오류 유형: 190. 윈도우 서버 2012 R2 설치 후 인텔 NIC으로 인한 WMI 오류 발생
1509정성태10/8/201331786오류 유형: 189. Windows Server 8.1/2012 R2 - IME 비정상 종료 현상 [1]
1508정성태10/4/201326851.NET Framework: 388. 일반 닷넷 프로젝트에서 WinRT API를 호출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507정성태9/30/201324709오류 유형: 188. The key 'LocalizedPerfCounter' does not exist in the appSettings configuration section.
1506정성태9/30/201326858오류 유형: 187. Parameter "basePath" cannot be a relative path
1505정성태9/26/201375359기타: 35. Microsoft Office 2007 인증 생략하는 방법 [10]
1504정성태9/24/201330271.NET Framework: 387. UDP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해 서비스 측의 IP 주소를 구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