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67. 다른 스레드의 호출 스택 덤프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802

.NET Framework: 260.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2) - Managed Stack Explorer 소스 코드를 이용한 스택 덤프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62

.NET Framework: 261.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3) - MSE 소스 코드 개선
; https://www.sysnet.pe.kr/2/0/1163

.NET Framework: 262.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4) - .NET 4.0을 지원하지 않는 MSE 응용 프로그램 원인 분석
; https://www.sysnet.pe.kr/2/0/1164

.NET Framework: 311.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5) - ICorDebug 인터페이스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249

.NET Framework: 392.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6) - MDbg를 이용한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534

.NET Framework: 606.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7) - ClrMD(Microsoft.Diagnostics.Runtime)를 이용한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43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7) - ClrMD(Microsoft.Diagnostics.Runtime)를 이용한 방법

스레드 콜 스택 덤프 관련해 결국 한 번 더 쓰게 되는군요. ^^

외부 프로세스에서 디버거를 붙이는 MDbg 방법보다 더 나은 CLRMD가 있어서 소개해드립니다. ^^

github - Microsoft / clrmd
; https://github.com/Microsoft/clrmd

예제 코드까지 포함하고 있는 데다 실제로 사용 방법도 전형적이어서 쉽게 쓸 수 있습니다. 이렇게!

// Install-Package Microsoft.Diagnostics.Runtime -Version 1.1.142101

using (DataTarget target = DataTarget.AttachToProcess(Process.GetCurrentProcess().Id, 5000, AttachFlag.Passive))
{
    ClrRuntime runtime = target.ClrVersions.First().CreateRuntime();
    foreach (ClrThread thread in runtime.Threads)
    {
        if (_managed.Contains(thread.ManagedThreadId) != true)
        {
            continue;
        }

        IList<ClrStackFrame> stackFrames = thread.StackTrace;

        foreach (ClrStackFrame item in stackFrames)
        {
            if (item.Kind == ClrStackFrameType.ManagedMethod)
            {
                FileAndLineNumber info = item.GetSourceLocation();
                if (info.Line != 0)
                {
                    Console.WriteLine("0x{0:x} 0x{1:x} {2} in {3} at {4}", item.InstructionPointer, item.StackPointer, item.DisplayString, info.File, info.Line);
                }
                else
                {
                    Console.WriteLine("0x{0:x} 0x{1:x} {2}", item.InstructionPointer, item.StackPointer, item.DisplayString);
                }
            }
        }
    }

    runtime.Flush();
}

보시면 AttachToProcess 메서드의 3번째 인자인 AttachFlag가 Passive로 넘어가는데, 같은 프로세스에 디버거를 붙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Attach되는 어떠한 명시적인 동작은 없고 단지 mscoree.dll 측의 CLR 관련 인터페이스를 구하는 작업만 합니다.

CLRMD 라이브러리에 아쉬운 점이 있다면 버그가 좀 있다는 점입니다. 가령, 반복 호출하면 메모리 누수가 있고 x64 EXE인 경우 콜 스택이 "UNKNOWN"으로만 나옵니다. 몇몇 문제들은 ClrMd를 fork한 다른 github repo에서 이미 해결했고 저도 나름대로 그것들을 기반으로 다음의 이슈들을 해결한 fork를 가지고 있습니다.

commit fc6b4eac7c37ff2d900bedcb3a0fdeedd26b6fe9 - x64에서 "UNKNOWN" 콜스택이 나오는 문제
commit 2535724f0aa95f70763592d35a8efba009fb9310 - PDB 파일 분석 시 "Unknown custom metadata item kind: 6" 예외 발생하는 문제
commit e699965a623635e3d246c03b1cfc6ec5bf9aac3f - private PDB 파일인 경우 PdbException 발생하는 문제
commit 3e6120d7f4505a4957550e4eace459353870fcf0 - PdbInfo 타입에 GetHashCode / Equals 메서드 구현
commit 1de3a2d1fd8ed3cf6dbada0b370213db8c0f60d2 - PEBuffer 클래스에 있는 메모리 누수 문제
commit 7eb4235a71929bbd7edcfc493465e96c253619da - PEFile.GetPdbSignature 메서드에 있는 메모리 누수 문제
commit d8dfb06ec6c11e90b14d6a9a13eb3168ad6e50fd - x64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Clrobject
commit c0940f9001e319c4ef22edff40a20eb2bfeb7806 - C# 2.0 컴파일러에서도 빌드가 가능하도록 C# 상위 버전의 문법 대체
commit 8aeae6e86292c838b2fc93b752b092b86479ade6 - C# 2.0 컴파일러에서도 빌드가 가능하도록 LINQ 의존성 제거

마이크로소프트 측의 원본 CLRMD repo는 현재 (오늘 기준으로) 마지막 업데이트가 지난 4월인데 그 이후로 더 이상의 개선이 없는 상태입니다. (즉, Pull Request도 병합되지 않고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한 다른 fork repo를 이용하거나 제 것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2021-01-04: 현재 기준 2.0.161401 버전까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첨부한 파일은 제가 clrmd를 변경한 소스 코드와 함께 이 글의 예제 프로젝트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1/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7-03-31 04시42분
정성태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43정성태2/26/20219991VS.NET IDE: 158. C# - 디자인 타임(design-time)과 런타임(runtime)의 코드 실행 구분
12542정성태2/20/202112327개발 환경 구성: 544. github repo의 Release 활성화 및 Actions를 이용한 자동화 방법 [1]
12541정성태2/18/20219560개발 환경 구성: 543. 애저듣보잡 - Github Workflow/Actions 소개
12540정성태2/17/20219883.NET Framework: 1024. C# - Win32 API에 대한 P/Invoke를 대신하는 Microsoft.Windows.CsWin32 패키지
12539정성태2/16/20219786Windows: 189. WM_TIMER의 동작 방식 개요파일 다운로드1
12538정성태2/15/202110184.NET Framework: 1023. C# - GC 힙이 아닌 Native 힙에 인스턴스 생성 - 0SuperComicLib.LowLevel 라이브러리 소개 [2]
12537정성태2/11/202111222.NET Framework: 1022. UI 요소의 접근은 반드시 그 UI를 만든 스레드에서! - 두 번째 이야기 [2]
12536정성태2/9/202110199개발 환경 구성: 542. BDP(Bandwidth-delay product)와 TCP Receive Window
12535정성태2/9/20219348개발 환경 구성: 541. Wireshark로 확인하는 LSO(Large Send Offload), RSC(Receive Segment Coalescing) 옵션
12534정성태2/8/20219864개발 환경 구성: 540.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closesocket 동작 [1]파일 다운로드1
12533정성태2/8/20219568개발 환경 구성: 539.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shutdown 동작파일 다운로드1
12532정성태2/6/202110046개발 환경 구성: 538.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ReceiveBufferSize(SO_RCVBUF), SendBufferSize(SO_SNDBUF) [3]
12531정성태2/5/20219038개발 환경 구성: 537.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PSH flag와 Nagle 알고리듬파일 다운로드1
12530정성태2/4/202113268개발 환경 구성: 536.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Receive Window
12529정성태2/4/202110288개발 환경 구성: 535.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IN RTO [1]
12528정성태2/1/20219699개발 환경 구성: 534.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윈도우 환경
12527정성태2/1/20219881개발 환경 구성: 533.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리눅스 환경파일 다운로드1
12526정성태2/1/20217723개발 환경 구성: 532. Azure Devops의 파이프라인 빌드 시 snk 파일 다루는 방법 - Secure file
12525정성태2/1/20217430개발 환경 구성: 531. Azure Devops - 파이프라인 실행 시 빌드 이벤트를 생략하는 방법
12524정성태1/31/20218561개발 환경 구성: 530.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빌드 Pipeline에 연결하는 방법 [1]
12523정성태1/31/20218627개발 환경 구성: 529.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Board에 연결하는 방법
12522정성태1/31/202110142개발 환경 구성: 528. 오라클 클라우드의 리눅스 VM - 9000 MTU Jumbo Frame 테스트
12521정성태1/31/202110086개발 환경 구성: 527. 이더넷(Ethernet) 환경의 TCP 통신에서 MSS(Maximum Segment Size) 확인 [1]
12520정성태1/30/20218632개발 환경 구성: 526. 오라클 클라우드의 VM에 ping ICMP 여는 방법
12519정성태1/30/20217671개발 환경 구성: 525. 오라클 클라우드의 VM을 외부에서 접근하기 위해 포트 여는 방법
12518정성태1/30/202125138Linux: 37. Ubuntu에 Wireshark 설치 [2]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