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VS.NET IDE: 92. Visual Studio 2013을 지원하는 IL Support 확장 도구 ; https://www.sysnet.pe.kr/2/0/1714 VS.NET IDE: 106. Visual Studio 2015 확장 - INI 파일을 위한 사용자 정의 포맷 기능 (Syntax Highlighting) ; https://www.sysnet.pe.kr/2/0/10946 VS.NET IDE: 112. Visual Studio 확장 - 편집 화면 내에서 링크를 누르면 외부 웹 브라우저에서 열기 ; https://www.sysnet.pe.kr/2/0/11044 Visual Studio 확장 - 편집 화면 내에서 링크를 누르면 외부 웹 브라우저에서 열기 Visual Studio에서 소스 코드 내에 다음과 같이 "http://"로 시작하는 문자열이 있으면 자동으로 링크 처리를 해주는데요. 이 링크를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 클릭을 하면 해당 주소로 웹 브라우저를 Visual Studio 내에서 열어줍니다. 물론, 뭐 그것도 괜찮긴 한데... ^^ 기왕이면 외부 웹 브라우저로 열어주면 더 좋겠단 생각이 듭니다. 개인적으로는 그게 더 편한데요. 혹시나 하고 검색해 보니 ^^ How do I open links in Visual Studio in my web browser and not in Visual Studio?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1201570/how-do-i-open-links-in-visual-studio-in-my-web-browser-and-not-in-visual-studio 누군가 벌써 다음과 같은 확장 도구(vsix)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Open in External Browser ; https://visualstudiogallery.msdn.microsoft.com/46c0c49e-f825-454b-9f6a-48b216797eb5?SRC=VSIDE 아주 잘 동작합니다. ^^ 게다가 2010, 2012, 2013, 2015 버전까지 모두 지원하고.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Windows: 119. Windows 10 - bash 명령어 창을 실행했는데 바로 닫히는 경우[이전 글] .NET Framework: 606.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7) - ClrMD(Microsoft.Diagnostics.Runtime)를 이용한 방법 [최초 등록일: 9/15/2016] [최종 수정일: 1/20/2017]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587정성태3/27/202412215오류 유형: 900. Windows Update 오류 - 8024402C, 8007064313586정성태3/27/202417159Windows: 263. Windows - 복구 파티션(Recovery Partition) 용량을 늘리는 방법13585정성태3/26/202413525Windows: 262. PerformanceCounter의 InstanceName에 pid를 추가한 "Process V2"13584정성태3/26/202416364개발 환경 구성: 708. Unity3D - C# Windows Forms / WPF Application에 통합하는 방법 [9]113583정성태3/25/202412450Windows: 261. CPU Utilization이 100% 넘는 경우를 성능 카운터로 확인하는 방법13582정성태3/19/202415502Windows: 260. CPU 사용률을 나타내는 2가지 수치 - 사용량(Usage)과 활용률(Utilization)113581정성태3/18/202413645개발 환경 구성: 707. 빌드한 Unity3D 프로그램을 C++ Windows Application에 통합하는 방법13580정성태3/15/202412286닷넷: 2231. C# - ReceiveTimeout, SendTimeout이 적용되지 않는 Socket await 비동기 호출113579정성태3/13/202414246오류 유형: 899. HTTP Error 500.32 - ANCM Failed to Load dll13578정성태3/11/202415910닷넷: 2230. C# - 덮어쓰기 가능한 환형 큐 (Circular queue)113577정성태3/9/202414609닷넷: 2229. C# - 닷넷을 위한 난독화 도구 소개 (예: ConfuserEx)13576정성태3/8/202414530닷넷: 2228. .NET Profiler - IMetaDataEmit2::DefineMethodSpec 사용법13575정성태3/7/202416021닷넷: 2227. 최신 C# 문법을 .NET Framework 프로젝트에 쓸 수 있을까요?13574정성태3/6/202414980닷넷: 2226. C# - "Docker Desktop for Windows" Container 환경에서의 IPv6 DualMode 소켓13573정성태3/5/202412959닷넷: 2225. Windbg - dumasync로 분석하는 async/await 호출13572정성태3/4/202412532닷넷: 2224. C# - WPF의 Dispatcher Queue로 알아보는 await 호출의 hang 현상113571정성태3/1/202412574닷넷: 2223. C# - await 호출과 WPF의 Dispatcher Queue 동작 확인113570정성태2/29/202414558닷넷: 2222. C# - WPF의 Dispatcher Queue 동작 확인113569정성태2/28/202413730닷넷: 2221. C# - LoadContext, LoadFromContext 그리고 GAC113568정성태2/27/202414659닷넷: 2220. C# - .NET Framework 프로세스의 LoaderOptimization 설정을 확인하는 방법113567정성태2/27/202414269오류 유형: 898. .NET Framework 3.5 이하에서 mscoree.tlb 참조 시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113566정성태2/27/202413967오류 유형: 897. Windows 7 SDK 설치 시 ".NET Development" 옵션이 비활성으로 선택이 안 되는 경우13565정성태2/23/202411553닷넷: 2219. .NET CLR2 보안 모델에서의 개별 System.Security.Permissions 제어13564정성태2/22/202414819Windows: 259. Hyper-V Generation 1 유형의 VM을 Generation 2 유형으로 바꾸는 방법13563정성태2/21/202413732디버깅 기술: 196. windbg - async/await 비동기인 경우 메모리 덤프 분석의 어려움13562정성태2/21/202412372오류 유형: 896. ASP.NET - .NET Framework 기본 예제에서 System.Web에 대한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예외 발생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