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C++: 100. 전역 변수 유형별 실행 파일 크기 차이점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198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전역 변수 유형별 실행 파일 크기 차이점

다음과 같은 질문이 있군요. ^^

전역변수를 1.5GB 짜리 선언시 할당되는 Section에 따른 메모리 부족 LINK ERORR 발생하는데 왜그럴까요?
; https://social.msdn.microsoft.com/Forums/ko-KR/699bba21-6cb6-4e64-afdc-18a3b12f4d10/-15gb-section-link-erorr-?forum=vsko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전역 변수는 이렇습니다.

#include "stdafx.h"

char g_var1[1024 * 1024 * 10];

int main()
{
    return 0;
}

컴파일러는 이런 경우, 해당 전역 변수의 "크기 값"만을 섹션에 기록하고 실행 시 그 크기만큼 가상 메모리에 할당하는 방식으로 처리합니다.

하지만, 전역 변수에 '초깃값'을 부여하면 상황이 달라집니다.

#include "stdafx.h"

char g_var2[1024 * 1024 * 10] = { 7, };

int main()
{
    return 0;
}

컴파일러는 이렇게 초깃값이 부여되면 더 이상 가상 메모리의 크기를 조정하는 정도로만 다룰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개발자가 지정한 데이터 값이 있기 때문에 이를 처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초깃값을 담은 전역 변수의 경우, ".data" 섹션에 그 크기만큼 공간을 확보하고 초깃값을 지정해서 실행 파일을 만듭니다. 이런 경우, 실행 시에 Section을 로드하는 작업만으로 전역 변수의 사용 준비가 끝납니다.

마찬가지로 __declspec(allocate(...))로 명시한 전역 변수 역시 사용자 정의 섹션으로 할당되는데 초깃값이 없어도 그 크기만큼 크기를 확보합니다.

#include "stdafx.h"

#pragma data_seg(".zRVDS")

__declspec(allocate(".zRVDS")) char g_var3[1024 * 1024 * 10];

int main()
{
    return 0;
}

실제로 테스트를 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 g_var1을 선언하고 빌드하면 DEBUG 모드에서 40KB의 실행 파일(EXE)이 나옵니다. 반면, 10MB씩 크기를 잡은 g_var2, g_var3를 추가하면 각각 12MB의 실행 파일이 나옵니다.

dumpbin.exe를 이용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역 변수 없는 깨끗한 상태의 exe에 대한 Section 정보는 다음과 같고,

.textbss: Virtual Size == 0x10000, Size of Raw Data == 0
.text: Virtual Size == 0x4859, Size of Raw Data == 0x4a00
.rdata: Virtual Size == 0x201d, Size of Raw Data == 0x2200
.data: Virtual Size == 0x594, Size of Raw Data == 0x200
.idata: Virtual Size == 0xa22, Size of Raw Data == 0xc00
.gfids: Virtual Size == 0x13a, Size of Raw Data == 0x200
.00cfg: Virtual Size == 0x104, Size of Raw Data == 0x200
.rsrc: Virtual Size == 0x43c, Size of Raw Data == 0x600
.reloc: Virtual Size == 0x500, Size of Raw Data == 0x600

여기서 초깃값이 없는 전역 변수 선언을 추가하면,

char g_var1[1024 * 1024 * 10];

".data" 섹션의 내용이 다음으로 바뀝니다.

.data: Virtual Size == 0xc00594, Size of Raw Data == 0x200

초깃값이 없기 때문에 가상 메모리만 추가로 0xc00000만큼 늘어날 뿐 섹션 자체의 "Size of Raw Data"에는 0x200으로 변함이 없습니다. 하지만, 초깃값이 있는 전역 변수 선언을 하면,

char g_var2[1024 * 1024 * 10] = { 7, };

가상 메모리뿐만 아니라 Section 자체의 크기 또한 늘어납니다.

.data: Virtual Size == 0xc00594, Size of Raw Data == 0xc00200

예상할 수 있듯이, 사용자 정의 Section에 할당한 전역 변수의 선언은,

#pragma data_seg(".zRVDS")

__declspec(allocate(".zRVDS")) char g_var3[1024 * 1024 * 10];

해당 Section의 가상 메모리와 Section의 크기 모두 늘어납니다.

.zRVDS: Virtual Size == 0xc00100, Size of Raw Data == 0xc00200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4/2016]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2정성태12/21/201125993오류 유형: 144. The database '...' cannot be opened because it is version 661.
1201정성태12/14/201141083디버깅 기술: 47. .NET Reflector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어셈블리 디버깅 [4]
1200정성태12/11/201126945디버깅 기술: 46. Windbg 확장 DLL 만들기 (2) - Debugger Extension API 사용파일 다운로드1
1199정성태12/11/201128345VC++: 55. JNI DLL 컴파일 시 x86과 x64의 Export된 함수의 이름이 왜 다를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198정성태12/9/201132154디버깅 기술: 45. Windbg 확장 DLL 만들기 (1) - 스레드를 강제 종료시키는 명령어 [2]파일 다운로드1
1197정성태12/9/201129891.NET Framework: 282. Shader 강좌와 함께 배워보는 XNA Framework (2) - RenderMonkey의 Shader/Model 파일 연동파일 다운로드2
1196정성태12/9/201133106.NET Framework: 281. Shader 강좌와 함께 배워보는 XNA Framework (1) - 기초 프로그램 구조 [3]파일 다운로드2
1195정성태12/8/201147760오류 유형: 143. DXSDK_Jun10.exe 설치 시 "Error Code: S1023" 오류 해결하는 방법 [4]
1194정성태12/8/201135519개발 환경 구성: 137. Visual C++ 런타임 구성요소에 대한 디버그 버전 설치하는 방법
1193정성태12/8/201122577오류 유형: 142. Windows Phone SDK 7.1 설치 시 Expression Blend 제거를 요구하는 경우
1192정성태12/8/201125593개발 환경 구성: 136. Windows 7 SP1의 IIS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을 로드하는 방법
1191정성태12/6/201126704.NET Framework: 280. MVC3에서 JavaScriptSerializer 재정의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90정성태12/6/201129886오류 유형: 141. Visual C++ 컴파일 오류 - error C2275: 'xxxxx' : illegal use of this type as an expression [1]
1189정성태12/6/201136976VS.NET IDE: 70. Visual Studio에서 프로젝트 로드가 안된다면?
1188정성태12/3/201126082개발 환경 구성: 135. 마이크로소프트 TFS 호스팅 서비스 - Preview [3]
1187정성태12/2/201130725개발 환경 구성: 134. Robocopy 오류 및 종료 코드
1186정성태12/1/201132563.NET Framework: 279. WPF - 그리기 성능 및 Blurring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85정성태11/29/201123367.NET Framework: 278. WPF - Content의 Changed 이벤트에 해당하는게 뭔가요?파일 다운로드1
1184정성태11/29/201126154.NET Framework: 277. F#과 WPF가 어울리지 못하는 근본적인 이유 [2]
1183정성태11/26/201121630오류 유형: 140. Visual Studio 2010 - Floating된 에디트 윈도우가 사라지지 않는 경우 [2]
1182정성태11/25/201157379.NET Framework: 276. 중복 없는 숫자를 랜덤으로 배열하는 방법 [5]파일 다운로드1
1181정성태11/24/201127840디버깅 기술: 44.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
1180정성태11/23/201137653.NET Framework: 275. 레지스트리 등록 및 Interop DLL 없이 COM 개체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79정성태11/22/201128253.NET Framework: 274. ReaderWriterLockSlim은 언제 쓰는 걸까요? [4]파일 다운로드1
1178정성태11/19/201124733.NET Framework: 273. 설치된 .NET 버전에 민감한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다중으로 어셈블리를 만들어야 할까요?파일 다운로드1
1177정성태11/18/201129996.NET Framework: 272. 소켓 연결 시간 제한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