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360. IIS - 500.19 오류 (0x80070021)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479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5개 있습니다.)
오류 유형: 2. [COM+] CreateObject 와 HTTP 500 - Internal server error
; https://www.sysnet.pe.kr/2/0/242

오류 유형: 111. IIS - 500.19 오류 (0x8007000d)
; https://www.sysnet.pe.kr/2/0/976

오류 유형: 201. ASP.NET 웹 사이트를 IIS 7 이상의 환경에서 호스팅할 때 500 오류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563

오류 유형: 219.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Skydrive에 공유된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612

오류 유형: 232.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NTFS 암호화된 폴더에 웹 애플리케이션이 위치한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722

오류 유형: 340. HTTP Error 500.23 - Internal Server Error
; https://www.sysnet.pe.kr/2/0/10997

오류 유형: 360. IIS - 500.19 오류 (0x80070021)
; https://www.sysnet.pe.kr/2/0/11061

개발 환경 구성: 307.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120

오류 유형: 580.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 https://www.sysnet.pe.kr/2/0/12064

오류 유형: 631. .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 오류 - HTTP Error 500.35 - ANCM Multiple In-Process Applications in same Process
; https://www.sysnet.pe.kr/2/0/12268

오류 유형: 662. ASP.NET Core와 500.19, 500.21 오류 (0x8007000d)
; https://www.sysnet.pe.kr/2/0/12356

개발 환경 구성: 635.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실행하던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명령행에서 실행하는 방법 (2)
; https://www.sysnet.pe.kr/2/0/12955

.NET Framework: 1164. HTTP Error 500.31 - ANCM Failed to Find Native Dependencies
; https://www.sysnet.pe.kr/2/0/12982

오류 유형: 884. HTTP 500.0 - 명령행에서 실행한 ASP.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88

오류 유형: 899. HTTP Error 500.32 - ANCM Failed to Load dll
; https://www.sysnet.pe.kr/2/0/13579




IIS - 500.19 오류 (0x80070021)

신규 테스트 서버를 구성하는데, 웹 사이트가 다음과 같은 오류 화면이 뜨면서 동작하질 않습니다.

HTTP Error 500.19 - Internal Server Error

The requested page cannot be accessed because the related configuration data for the page is invalid.

Detailed Error Information:

Module
   IIS Web Core 

Notification
   BeginRequest 

Handler
   Not yet determined 

Error Code
   0x80070021 

Config Error
   This configuration section cannot be used at this path. This happens when the section is locked at a parent level. Locking is either by default (overrideModeDefault="Deny"), or set explicitly by a location tag with overrideMode="Deny" or the legacy allowOverride="false".  

Config File
   \\?\D:\WebSiteTest4\web.config 

Requested URL
   http://localhost:8010/ 

Physical Path
   D:\WebSiteTest4 

Logon Method
   Not yet determined 

Logon User
   Not yet determined 

Config Source:
   88:     <system.webServer>
   89:         <modules runAllManagedModulesForAllRequests="true">
   90:             <add name="DomainServiceModule" preCondition="managedHandler"

More Information:
This error occurs when there is a problem reading the configuration file for the Web server or Web application. In some cases, the event logs may contain more information about what caused this error. 

제 웹 사이트에서 검색해 보니 다음의 글들이 나오는데,

IIS - ISAPI 필터 제작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549

IIS - 500.19 오류 (0x8007000d)
; https://www.sysnet.pe.kr/2/0/976

이번 상황과는 다소 달랐습니다. 이제 웹 검색을 해야 할 시간. ^^

IIS - this configuration section cannot be used at this path (configuration locking?)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9794985/iis-this-configuration-section-cannot-be-used-at-this-path-configuration-lock

그렇군요. ^^ 테스트 서버 구성이다 보니, ASP.NET 개발 구성을 IIS에 추가하지 않아서 발생한 문제였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ASP.NET 4.6" 항목을 활성화시켜주는 것으로 해결했습니다. ^^

80070021_iis_1.png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2/2016]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92정성태11/11/200647427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6. 인증서 관리 (1) - 내보내기/가져오기
394정성태11/9/20063217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7. 인증서 관리 (2) - 개인키를 내보낼 수 있는 유형의 인증서 발급 [1]
395정성태11/9/20064411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8. 인증서 관리 (3) - 인증서 MMC 관리자 사용
414정성태12/23/200636221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9.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 관리
428정성태12/31/200648841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0. IIS 7 - SSL 사이트 설정하는 방법 [4]
429정성태12/31/200635513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1. 서비스를 위한 인증서 설치
352정성태10/2/200624711개발 환경 구성: 17. VPC에 Linux 설치하는 방법 [1]
351정성태10/8/200627286개발 환경 구성: 16. 성태의 무식한(!) 리눅스 탐방기. [4]
349정성태9/26/200625600디버깅 기술: 10. C++/CLI에서 제공되는 명시적인 파괴자의 비밀
347정성태10/6/200629710디버깅 기술: 9. .NET IDisposable 처리 정리 [1]
346정성태9/23/200622969개발 환경 구성: 15. 툴박스에 컨트롤이 자동으로 나타나도록 해주는 옵션 설정
345정성태9/20/200622266오류 유형: 12. WCF 오류 메시지 - Error while trying to reflect on attribute 'MessageContractAttribute'
343정성태10/18/200634124개발 환경 구성: 14. SandCastle 사용법 (NDoc을 대체하는 문서화 도구) [1]파일 다운로드1
344정성태9/20/200624089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4.1. 오류 유형 - GAC 에 등록된 DLL 에 대한 문서화 시 오류
340정성태9/15/200623412개발 환경 구성: 13. ISO 파일을 가상 CD-ROM으로 매핑해주는 프로그램
339정성태9/14/200622947오류 유형: 11. ProtocolsSection?
338정성태2/4/200731153개발 환경 구성: 12. BUG: 웹 서비스에서 DataTable 사용하기 [2]파일 다운로드1
350정성태10/2/200624542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2.1. ASMX 2.0 and SchemaImporterExtensions파일 다운로드1
335정성태8/20/200632007디버깅 기술: 8.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F5 디버깅 방법
334정성태8/20/200627191디버깅 기술: 7. VS.NET 2003/2005의 다중 프로젝트 디버깅
333정성태8/20/200627667개발 환경 구성: 11. COM+ 서버 활성화 보안 설정
331정성태8/27/200620758개발 환경 구성: 10. 최대 절전 모드와 VPC 네트워크 문제
330정성태8/20/200621115개발 환경 구성: 9. VPC로 구성하는 개인 환경
328정성태8/20/200639087개발 환경 구성: 8. AppVerifier 사용법 [1]
327정성태8/16/200635868개발 환경 구성: 7. ActiveX 서명 과정 자동화 [1]
326정성태8/16/200629787Team Foundation Server: 13. Sysnet 웹 사이트 TFS Migration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