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indows Server 2016 설치 CD에 있는 Convert-WindowsImage.ps1 사용 방법 정리

지난번 글에서 Nano 서버를 VHD 파일로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Windows Server 2016 Nano 서버 VHD 이미지 만드는 방법 - TP5 기준
; https://www.sysnet.pe.kr/2/0/11078

위의 글에서 실습한 Convert-WindowsImage.ps1 파일은 "Convert-WindowsImage.ps1 - WIM2VHD for Windows 10 (also Windows 8 and 8.1)"에서 제공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정식 버전의 Windows Server 2016 ISO 파일에는 Convert-WindowsImage.ps1 파일 자체를 \NanoServer\NanoServerImageGenerator 폴더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사용 방법도 약간 다른데요, gallery에서 받았던 Convert-WindowsImage.ps1 파일은 다음과 같이 사용했지만,

Convert-WindowsImage -WIM 'c:\temp\nanoserver\NanoServer.wim' -VHD 'c:\temp\vhd\nanoserver.vhd' -DiskType Fixed -VHDFormat VHD -SizeBytes 10GB -Edition 1 -VHDPartitionStyle MBR

정식 서버의 ISO 파일에 포함된 Convert-WindowsImage.ps1 파일에는 "-DiskType"과 "-VHDPartitionStyle" 옵션을 사용할 수 없고 대신 "DiskLayout"만 제공됩니다.

Convert-WindowsImage -WIM 'c:\temp\nanoserver\NanoServer.wim' -DiskLayout BIOS -VHD 'c:\temp\vhd\nanoserver.vhd' -VHDFormat VHD -SizeBytes 10GB -Edition 1

DiskLayout 인자로 BIOS를 주면 MBR 파티션이 생성됩니다. (자세한 사항은, Convert-WindowsImage.ps1 파일 안에 있는 주석을 참고!)

그 외에, VHD를 만든 이후의 패키지를 추가하는 방법은 같습니다.

Mount-DiskImage -ImagePath 'c:\temp\vhd\nanoserver.vhd'

Add-WindowsPackage -Path M:\ -PackagePath C:\temp\NanoServer\Packages\Microsoft-NanoServer-Compute-Package.cab
Add-WindowsPackage -Path M:\ -PackagePath C:\temp\NanoServer\Packages\Microsoft-NanoServer-FailoverCluster-Package.cab
Add-WindowsPackage -Path M:\ -PackagePath C:\temp\NanoServer\Packages\Microsoft-NanoServer-Guest-Package.cab
Add-WindowsPackage -Path M:\ -PackagePath C:\temp\NanoServer\Packages\Microsoft-NanoServer-OEM-Drivers-Package.cab
Add-WindowsPackage -Path M:\ -PackagePath C:\temp\NanoServer\Packages\Microsoft-NanoServer-Storage-Package.cab
Add-WindowsPackage -Path M:\ -PackagePath C:\temp\NanoServer\Packages\Microsoft-NanoServer-IIS-Package.cab

Dismount-DiskImage -ImagePath 'c:\temp\vhd\nanoserver.vhd'

또한, 이렇게 만든 VHD 파일을 VM에 붙여도 역시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Inbound Firewall Rules / Outbound Firewall Rules" 메뉴에 들어간들 선택할 수 있는 rule이 없고, WinRM 메뉴로 원격 관리를 활성화할 때 "Operation failed. Press ENTER or ESC to continue." 오류가 발생하는 것도 동일합니다.




참고로, VHD 파일에 패키지를 추가하는 것은 Add-WindowsPackage 명령어 외에, dism.exe를 직접 이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우선, "C:\temp\image\mount-windows"와 같은 임의의 폴더를 만들고 이곳에 만들어진 VHD 파일을 마운트 시킵니다.

dism.exe /Mount-Image /ImageFile:'C:\temp\vhd\nanoserver.vhd' /MountDir:'C:\temp\image\mount-windows' /Index:1

그다음, /Add-Capability, /Add-Package 옵션을 이용해 패키지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dism.exe /Add-Capability /CapabilityName:NanoServer.FailoverCluster~~~~0.0.1.0 /Source:C:\temp\NanoServer\Packages /Image:'C:\temp\image\mount-windows' 

dism.exe /Add-Capability /CapabilityName:NanoServer.Storage~~~~0.0.1.0 /Source:C:\temp\NanoServer\Packages /Image:'C:\temp\image\mount-windows' 

dism.exe /Add-Capability /CapabilityName:NanoServer.IIS~~~~0.0.1.0 /Source:C:\temp\NanoServer\Packages /Image:'C:\temp\image\mount-windows' 

dism.exe /Add-Package /PackagePath:'C:\temp\NanoServer\Packages\Microsoft-NanoServer-Guest-Package.cab' /Image:'C:\temp\image\mount-windows' 

완료 후, 잊지 말고 "/Commit" 옵션과 함께 마운트를 해제하면 변경 내용이 VHD 파일에 반영됩니다.

dism.exe /Unmount-Image /MountDir:'C:\temp\image\mount-windows' /Commit

위와 같은 명령을 내리려면 정확하게 어떤 Capability, Package가 있는지 확인해야 할 텐데요. 이는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dism.exe /Mount-Image /ImageFile:'C:\temp\NanoServer\NanoServer.wim' /MountDir:'C:\temp\image\mount-windows' /Index:2 /ReadOnly

dism.exe /Image:'C:\temp\image\mount-windows' /Get-Packages

dism.exe /Image:'C:\temp\image\mount-windows' /Get-Capabilities /Source:'C:\temp\NanoServer\Packages'

dism.exe /Unmount-Image /MountDir:'C:\temp\image\mount-windows' /Discard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1/2016]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416정성태12/21/201712633.NET Framework: 718. AsyncTaskMethodBuilder.Create() 메서드 동작 방식 [2]
11415정성태12/21/201714184.NET Framework: 717. Task를 포함하지 않는 async 메서드의 동작 방식 [6]
11414정성태12/21/201719680.NET Framework: 716. async 메서드의 void 반환 타입 사용에 대하여파일 다운로드2
11413정성태12/20/201714931개발 환경 구성: 344. 윈도우 10 - TTS 및 음성 인식을 위한 환경 설정
11412정성태12/20/201717105.NET Framework: 715. C# - Windows 10 운영체제의 데스크톱 앱에서 TTS(SpeechSynthesizer) 사용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411정성태12/20/201716424사물인터넷: 15. 라즈베리 파이용 C++ 프로젝트에 SSL Socket 적용
11410정성태12/20/201727837.NET Framework: 714. SSL Socket 예제 - C/C++ 서버, C# 클라이언트파일 다운로드1
11409정성태12/18/201733571VC++: 122.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를 쉽게 빌드해 주는 "C++ Package Manager for Windows: vcpkg" [7]
11408정성태12/18/201714306.NET Framework: 71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2)파일 다운로드1
11407정성태12/18/201716529.NET Framework: 712.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1]파일 다운로드1
11406정성태12/17/201737627.NET Framework: 711. C# - OpenCvSharp의 Mat 데이터 조작 방법 [5]파일 다운로드1
11405정성태12/17/201732951.NET Framework: 710. C# - OpenCvSharp을 이용한 Webcam 영상 처리 + Direct2D [1]파일 다운로드1
11404정성태12/16/201721984.NET Framework: 709. C# - OpenCvSharp을 이용한 동영상(avi, mp4, ...) 처리 + Direct2D [7]파일 다운로드1
11403정성태12/16/201724901.NET Framework: 708. C# - OpenCvSharp을 이용한 동영상(avi, mp4, ...) 처리 [3]파일 다운로드1
11402정성태12/15/201728979.NET Framework: 707. OpenCV 응용 프로그램을 C#으로 구현 - OpenCvSharp [2]파일 다운로드1
11401정성태12/15/201719100.NET Framework: 706.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2]파일 다운로드1
11400정성태12/14/201720847.NET Framework: 705.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9]파일 다운로드1
11399정성태12/13/201710995.NET Framework: 704. Win32 API의 UnionRect를 닷넷 BCL의 Rectangle.Union으로 바꿀 때 주의 사항
11398정성태12/13/201711211오류 유형: 442. ASP.NET Core Web Application (on .NET Framework) 프로젝트에서 외부 라이브러리 동적 로드 시 런타임 버전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397정성태12/12/201713137.NET Framework: 703. 양자 컴퓨팅을 위한 마이크로소프트의 Q# 언어
11396정성태12/8/201734677개발 환경 구성: 343. Visual Studio - 리눅스 용 프로젝트의 인텔리센스를 위한 헤더 파일 처리 방법 [3]
11395정성태12/8/201711922오류 유형: 441. 이벤트 로그 - Time Provider NtpClient: No valid response has been received from domain controller
11394정성태12/8/201711536개발 환경 구성: 342.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실행하던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명령행에서 실행하는 방법
11393정성태12/7/201715356Windows: 145. 윈도우 10 빌드 17046부터 WSL에서 백그라운드 작업 지원 [5]
11392정성태12/7/201711344개발 환경 구성: 341. openSUSE에 닷넷 코어 설치
11391정성태12/7/201713607개발 환경 구성: 340. WSL을 이용해 윈도우 PC 1대에서 openSUSE 응용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로 개발하는 방법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