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AForge.Video.FFMPEG를 최신 버전의 ffmpeg 파일로 의존성을 변경하는 방법

AForge.Video.FFMPEG.dll의 소스 코드는 AForge.NET Framework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다운로드하면 됩니다.

소스코드 - AForge.NET Framework-2.2.5.zip
; https://code.google.com/archive/p/aforge/downloads
; https://storage.googleapis.com/google-code-archive-downloads/v2/code.google.com/aforge/AForge.NET%20Framework-2.2.5.zip

압축 해제 후, AForge.Video.FFMPEG 빌드와 관련된 폴더는 다음과 같습니다.

\Externals\ffmpeg - 구 버전의 ffpeg bin, lib, includ 파일 포함
\Sources\Video.FFMPEG - Video.FFMPEG.sln 솔루션 파일까지 포함한 C++/CLI 프로젝트 (x86)

보는 바와 같이 Video.FFMPEG.vcxproj 프로젝트는 \Externals\ffmpeg 폴더 하위에 있는 ffmpeg 라이브러리에 의존성을 갖기 때문에 이 폴더의 내용을 최신으로 업데이트해 주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릴리스된) 2.2.5 버전의 AForge.NET Framework에 포함되어 있는 AForge.Video.FFMPEG 프로젝트는 다음의 ffmpeg 라이브러리에 의존성을 갖습니다.

  • avcodec-53.dll
  • avformat-53.dll
  • avutil-51.dll
  • swresample-0.dll
  • swscale-2.dll

그런데 현재(2016-10-29) ffmpeg 3.1.5 버전은,

Download FFmpeg for Windows
; https://ffmpeg.zeranoe.com/builds/

다음의 DLL들로 구성되므로,

  • avcodec-57.dll
  • avformat-57.dll
  • avutil-55.dll
  • swresample-2.dll
  • swscale-4.dll

이를 \Externals\ffmpeg\bin 폴더에 복사해야 할 뿐만 아니라 컴파일을 위해 include, lib 파일들을 구해야 합니다. 이 모든 것은 FFmpeg 라이브러리와, 개발자 용 버전을 통해 구할 수 있습니다.

  • ffmpeg-3.1.5-win32-shared.zip
  • ffmpeg-3.1.5-win32-dev.zip

따라서, AForge Framework의 \Externals\ffmpeg 폴더 내용을 모두 삭제하고, ffmpeg-3.1.5-win32-shared.zip의 압축을 \Externals\ffmpeg 폴더에 풀고, ffmpeg-3.1.5-win32-dev.zip 내용 중에서 "include", "lib" 폴더만 \Externals\ffmpeg 폴더에 넣어 주면 됩니다.



준비는 이것으로 끝났지만, 아쉽게도 하위 호환성이 깨진 부분이 있기 때문에 빌드 시에 맞춰주어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우선, 다음의 코드에서 오류가 발생할 텐데요.

int video_codecs[] =
{
    libffmpeg::CODEC_ID_MPEG4,
    libffmpeg::CODEC_ID_WMV1,
    libffmpeg::CODEC_ID_WMV2,
    libffmpeg::CODEC_ID_MSMPEG4V2,
    libffmpeg::CODEC_ID_MSMPEG4V3,
    libffmpeg::CODEC_ID_H263P,
    libffmpeg::CODEC_ID_FLV1,
    libffmpeg::CODEC_ID_MPEG2VIDEO,
    libffmpeg::CODEC_ID_RAWVIDEO
};

int pixel_formats[] =
{
    libffmpeg::PIX_FMT_YUV420P,
    libffmpeg::PIX_FMT_YUV420P,
    libffmpeg::PIX_FMT_YUV420P,
    libffmpeg::PIX_FMT_YUV420P,
    libffmpeg::PIX_FMT_YUV420P,
    libffmpeg::PIX_FMT_YUV420P,
    libffmpeg::PIX_FMT_YUV420P,
    libffmpeg::PIX_FMT_YUV420P,
    libffmpeg::PIX_FMT_BGR24,
};

CODEC_ID_???는 AV_CODEC_ID_???로 바꾸고, PIX_FMT_???은 AV_PIX_FMT_???로 바꿔주면 됩니다.

그 외의 함수들 변화는 다음의 글에 따라,

[ffmpeg.git / doc / APIchanges
; http://git.videolan.org/?p=ffmpeg.git;a=blob;f=doc/APIchanges;h=250088b24fd6597bcd3a2b50b53cbfe077d06cef;hb=1985c2e75c607ac51bfd8dc87d2957a5edf2b6f8

이런 식으로 적절하게 바꿔주면 됩니다.

av_open_input_file ==> avformat_open_input
av_find_stream_info ==> avformat_find_stream_info
avcodec_open ==> avcodec_open2
avcodec_alloc_frame ==> av_frame_alloc
av_close_input_file ==> avformat_close_input
av_write_header ==> avformat_write_header
avcodec_encode_video ==> avcodec_encode_video2
av_new_stream ==> avformat_new_stream
av_set_parameters ==> 호출 제거

그런데, 제가 ffmpeg 사용법을 잘 몰라 확신할 수 없는 것이 2가지 있습니다. 하나는 av_set_parameters 같은 경우 대응하는 함수가 없어 제거를 했다는 점과 나머지 하나는 avformat_open_input 함수가 사용법이 달라져서 (ffmpeg를 모르는 상태로) 고쳤다는 점입니다.

특히나 "av_open_input_file" 함수의 경우 "avformat_open_input"으로 대체하는데, 사용 전 반드시 다음과 같이 avformat_alloc_context를 이용해 할당을 해줘야 했습니다. (고맙게도 close 시에 avformat_free_context는 호출하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

static libffmpeg::AVFormatContext* open_file( char* fileName )
{
    libffmpeg::AVFormatContext* formatContext = libffmpeg::avformat_alloc_context();

    if ( libffmpeg::avformat_open_input( &formatContext, fileName, NULL, NULL) !=0 )
    {
        return NULL;
    }

    return formatContext;
}

이 정도 변경하고 빌드하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 같은) 바이너리를 얻을 수 있습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Video.FFMPEG.vcxproj 프로젝트를 포함합니다. 또한 github에도 올려두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2016]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685정성태9/6/201818511사물인터넷: 40. 이어폰 소리를 capacitor로 필터링파일 다운로드1
11684정성태9/6/201821120개발 환경 구성: 396. pagefile.sys를 비활성화시켰는데도 working set 메모리가 줄어드는 이유파일 다운로드1
11683정성태9/5/201818756개발 환경 구성: 395. Azure Web App의 이벤트 로그를 확인하는 방법
11682정성태9/5/201817720오류 유형: 484. Fakes를 포함한 단위 테스트 프로젝트를 빌드 시 CS1729 관련 오류 발생
11681정성태9/5/201820409Windows: 149. 다른 컴퓨터의 윈도우 이벤트 로그를 구독하는 방법 [2]
11680정성태9/2/201822584Graphics: 21. shader - _Time 내장 변수를 이용한 UV 변동 효과파일 다운로드1
11679정성태8/30/201820595.NET Framework: 792. C# COM 서버가 제공하는 COM 이벤트를 C++에서 받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678정성태8/29/201819031오류 유형: 483. 닷넷 - System.InvalidProgramException [1]
11677정성태8/29/201816750오류 유형: 482. TFS - Could not find a part of the path '...\packages\Microsoft.AspNet.WebApi.5.2.5\.signature.p7s'.
11676정성태8/29/201827597.NET Framework: 791. C# - ElasticSearch를 위한 Client 라이브러리 제작 [1]파일 다운로드1
11675정성태8/29/201817773오류 유형: 481. The located assembly's manifest definition does not match the assembly reference.
11674정성태8/29/201819753Phone: 12. Xamarin - 기존 리모컨 기능을 핸드폰의 적외선 송신으로 구현파일 다운로드1
11673정성태8/28/201817031오류 유형: 480. Fritzing 실행 시 Ordinal Not Found 오류
11672정성태8/28/201817459오류 유형: 479. 윈도우 - 시스템 설정에서 도메인 참가를 위한 "Change" 버튼이 비활성화된 경우
11671정성태8/28/201823841사물인터넷: 39. 아두이노에서 적외선 송신기 기본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1670정성태8/28/201822071사물인터넷: 38. 아두이노에서 적외선 수신기 기본 사용법 [1]파일 다운로드1
11669정성태8/24/201820859개발 환경 구성: 394. 윈도우 환경에서 elasticsearch의 한글 블로그 검색 인덱스 구성
11668정성태8/24/201831883오류 유형: 478. 윈도우 업데이트(KB4458842) 이후 SQL Server 서비스 시작 오류
11667정성태8/24/201818656오류 유형: 477. "Use Unicode UTF-8 for worldwide language support" 옵션 설정 시 SQL Server 2016 설치 오류 [1]
11666정성태8/22/201818557사물인터넷: 37. 아두이노 - 코딩으로 대신하는 오실레이터 회로의 소리 출력파일 다운로드1
11665정성태8/22/201821250사물인터넷: 36. 오실레이터 회로 동작을 아두이노의 코딩으로 구현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64정성태8/22/201820879개발 환경 구성: 393. 윈도우 환경에서 elasticsearch의 한글 형태소 분석기 설치 [1]
11663정성태8/22/201823606개발 환경 구성: 392. 윈도우 환경에서 curl.exe를 이용한 elasticsearch 6.x 기본 사용법
11662정성태8/21/201817261사물인터넷: 35. 병렬 회로에서의 커패시터파일 다운로드1
11661정성태8/21/201819563사물인터넷: 34. 트랜지스터 동작 - 컬렉터-이미터 간의 저항 측정파일 다운로드1
11660정성태8/19/201818650사물인터넷: 33. 세라믹 커패시터의 동작 방식파일 다운로드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