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134. OLE/COM Object Viewer - DllRegisterServer in IVIEWERS.DLL failed.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129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OLE/COM Object Viewer - DllRegisterServer in IVIEWERS.DLL failed.

oleview.exe를 실행시키자 마자 다음과 같은 오류창이 뜨더군요.

iviewers_error_1.png

DllRegisterServer in IVIEWERS.DLL failed.

OLEViewer will operate correctly without this DLL, however you will not be able to use the interface viewers.


경험상, 실행 시 뜨는 것은 별 문제가 안되어서 Type Library 쪽을 살펴보려고 하는데 그 때에도 위와 같은 메시지를 뿌리면서 자세한 형식 정보를 보여주는 창이 뜨지 않았습니다.

등록 실패 오류로 봐서는 'oleview.exe'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면 해결될 것 같은데, 그건 좀 아닌 것 같고. ^^

oleview.exe가 실행된 경로를 작업 관리자에서 찾아보니 다음과 같았습니다.

"C:\Program Files\Microsoft SDKs\Windows\v7.0\Bin\OleView.Exe"
그래서,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행을 실행한 다음 아래와 같이 수작업으로 등록을 해주었습니다.

regsvr32.exe "C:\Program Files\Microsoft SDKs\Windows\v7.0\Bin\IViewers.Dll"
iviewers_error_2.png

다시 OleView.exe를 실행하는데 역시나 이번에도 처음 실행 시에는 오류창이 떴지만 Type Library를 보는 데에서는 이상 없이 해결되었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1/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8-02-20 06시57분
[FlowChart] OleViewer를 관리자 권한으로 한 번 실행 해주면 에러 메시지가 사라집니다.
[gues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675정성태7/13/20249527C/C++: 166. C/C++ - DLL에서 template 함수를 export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3674정성태7/13/20248322오류 유형: 915. Unhandled Exception: Microsoft.Diagnostics.NETCore.Client.ServerNotAvailableException: Unable to connect to Process
13673정성태7/11/20248927닷넷: 2275. C# 13 - (1) 신규 이스케이프 시퀀스 '\e'파일 다운로드1
13672정성태7/10/20247485닷넷: 2274. IIS - (프로세스 종료 없는) AppDomain Recycle
13671정성태7/10/20247634오류 유형: 914. Package ca-certificates is not installed.
13669정성태7/9/20247766오류 유형: 913. C# - AOT StaticExecutable 정적 링킹 시 빌드 오류
13668정성태7/8/20247861개발 환경 구성: 716. Hyper-V - Ubuntu 22.04 Generation 2 유형의 VM 설치
13667정성태7/7/20246918닷넷: 2273. C# - 리눅스 환경에서의 Hyper-V Socket 연동 (AF_VSOCK)파일 다운로드1
13666정성태7/7/20248147Linux: 74. C++ - Vsock 예제 (Hyper-V Socket 연동)파일 다운로드1
13665정성태7/6/20248393Linux: 73. Linux 측의 socat을 이용한 Hyper-V 호스트와의 vsock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3663정성태7/5/20247861닷넷: 2272.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의 VMID Wildcards 유형파일 다운로드1
13662정성태7/4/20247852닷넷: 2271. C# - WSL 2 VM의 VM ID를 알아내는 방법 - Host Compute System API파일 다운로드1
13661정성태7/3/20247721Linux: 72. g++ - 다른 버전의 GLIBC로 소스코드 빌드
13660정성태7/3/20248040오류 유형: 912. Visual C++ - Linux 프로젝트 빌드 오류
13659정성태7/1/20248200개발 환경 구성: 715. Windows - WSL 2 환경의 Docker Desktop 네트워크
13658정성태6/28/20248651개발 환경 구성: 714. WSL 2 인스턴스와 호스트 측의 Hyper-V에 운영 중인 VM과 네트워크 연결을 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3657정성태6/27/20248225닷넷: 2270.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을 위한 EndPoint 사용자 정의
13656정성태6/27/20248580Windows: 264. WSL 2 VM의 swap 파일 위치
13655정성태6/24/20248301닷넷: 2269. C# - Win32 Resource 포맷 해석파일 다운로드1
13654정성태6/24/20248142오류 유형: 911. shutdown - The entered computer name is not valid or remote shutdown is not supported on the target computer.
13653정성태6/22/20248306닷넷: 2268. C# 코드에서 MAKEINTREOURCE 매크로 처리
13652정성태6/21/20249642닷넷: 2267. C# - Linux 환경에서 (Reflection 없이) DLL AssemblyFileVersion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2
13651정성태6/19/20248953닷넷: 2266. C# - (Reflection 없이) DLL AssemblyFileVersion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650정성태6/18/20248930개발 환경 구성: 713. "WSL --debug-shell"로 살펴보는 WSL 2 VM의 리눅스 환경
13649정성태6/18/20248284오류 유형: 910. windbg - !py 확장 명령어 실행 시 "failed to find python interpreter" (2)
13648정성태6/17/20248722오류 유형: 909. C# - DynamicMethod 사용 시 System.TypeAccessException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