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C++: 104. std::call_once를 이용해 thread-safe한 Singleton 객체 생성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621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2개 있습니다.)
Windows: 13. InitOnceExecuteOnce API 소개
; https://www.sysnet.pe.kr/2/0/432

VC++: 104. std::call_once를 이용해 thread-safe한 Singleton 객체 생성
; https://www.sysnet.pe.kr/2/0/11091




std::call_once를 이용해 thread-safe한 Singleton 객체 생성

"thread-safe한 Singleton 객체 생성"에 대해 전에도 한번 글을 쓴 적이 있는데요.

C++에서 싱글톤 구현하기
; https://www.sysnet.pe.kr/2/0/846

마침 gamecodi에서 이와 관련된 글이 나오면서,

Double checked locking pattern is Fixed in C++11 
; http://www.gamecodi.com/board/zboard-id-GAMECODI_Talkdev-no-4347-z-16.htm
; http://preshing.com/20130930/double-checked-locking-is-fixed-in-cpp11/

Implementing a Thread-safe Singleton with C++11 
; http://www.nuonsoft.com/blog/2012/10/21/implementing-a-thread-safe-singleton-with-c11/comment-page-1/

C++ 11부터는 call_once로,

call_once Function
; https://docs.microsoft.com/en-us/cpp/standard-library/mutex-functions#call_once

안전하게 구현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그러니까, 다음과 같이 Singleton 클래스를 만들어 주면 됩니다.

#include "stdafx.h"
#include <mutex>

using namespace std;

class MySingleton
{
private:
    static MySingleton* _inst;
    static std::once_flag _flag1;

    static MySingleton* getInstance()
    {
        std::call_once(_flag1, 
            []() { _inst = new MySingleton(); });

        return _inst;
    }
};

memory barrier니, lock이니, volatile이니... 신경 쓸 필요 없이 딱 저 한 줄이면 됩니다. ^^




쓰다 보니, call_once가 왠지 예전에 소개했던 InitOnceExecuteOnce와 기능이 겹칩니다.

Vista & Longhorn: 13. InitOnceExecuteOnce API 소개
; https://www.sysnet.pe.kr/2/0/432

혹시, 윈도우에서는 call_once 내부적으로 InitOnceExecuteOnce Win32 API를 이용해 구현되지 않았을까요? ^^ 확인 방법은 다음과 같이 코드를 구성하고,

#include "stdafx.h"
#include <mutex>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std::once_flag flag1;

void print_out()
{
    std::cout << "Simple example: called once\n";
    getchar();
}

int main()
{
    std::call_once(flag1, print_out);

    return 0;
}

print_out에 BP(Breakpoint)를 걸어두면 됩니다. Visual Studio 디버깅으로 콜 스택을 확인해 보니,

>    ConsoleApplication1.exe!print_out() Line 14 C++
    ConsoleApplication1.exe!std::_Invoker_functor::_Call<void (__cdecl&)(void)>(void(*)() _Obj) Line 1375 C++
    ConsoleApplication1.exe!std::invoke<void (__cdecl&)(void)>(void(*)() _Obj) Line 1443  C++
    ConsoleApplication1.exe!std::_Invoke_stored_explicit<void (__cdecl&)(void),std::exception_ptr &,0>(std::tuple<void (__cdecl&)(void),std::exception_ptr &> && _Tuple, std::integer_sequence<unsigned int,0> __formal) Line 470 C++
    ConsoleApplication1.exe!std::_Callback_once<std::tuple<void (__cdecl&)(void),std::exception_ptr &>,std::integer_sequence<unsigned int,0>,1>(void * __formal, void * _Pv, void * * __formal) Line 497  C++
    ntdll.dll!RtlRunOnceExecuteOnce()   Unknown
    KernelBase.dll!_InitOnceExecuteOnce@16()   Unknown
    msvcp140d.dll!__crtInitOnceExecuteOnce(_RTL_RUN_ONCE * InitOnce, int(__stdcall*)(_RTL_RUN_ONCE *, void *, void * *) InitFn, void * Parameter, void * * Context) Line 262    C++
    msvcp140d.dll!std::_Execute_once(std::once_flag & _Flag, int(__stdcall*)(void *, void *, void * *) _Lambda_fp, void * _Pv) Line 12  C++
    ConsoleApplication1.exe!std::call_once<void (__cdecl&)(void)>(std::once_flag & _Flag, void(*)() _Fx) Line 519 C++
    ConsoleApplication1.exe!main() Line 20  C++
    ConsoleApplication1.exe!invoke_main() Line 64   C++
    ConsoleApplication1.exe!__scrt_common_main_seh() Line 253   C++
    ConsoleApplication1.exe!__scrt_common_main() Line 296   C++
    ConsoleApplication1.exe!mainCRTStartup() Line 17    C++
    kernel32.dll!@BaseThreadInitThunk@12() Unknown
    ntdll.dll!__RtlUserThreadStart()    Unknown
    ntdll.dll!__RtlUserThreadStart@8() Unknown

오호~~~ 정말 ^^ InitOnceExecuteOnce를 호출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Vista 이전의 운영체제에서는 InitOnceExecuteOnce가 없는데 어떻게 구현이 되는 걸까요? 테스트를 위해 "Platform Toolset"을 "Visual Studio 2013 - Windows XP (v120_xp)"로 맞추고 빌드하면 print_out의 콜 스택이 다음과 같이 바뀝니다.

>    ConsoleApplication1.exe!print_out() Line 14 C++
    ConsoleApplication1.exe!std::_Bind<1,void,void (__cdecl*const)(void)>::_Do_call<>(std::tuple<> _Myfargs, std::_Arg_idx<> __formal) Line 1149    C++
    ConsoleApplication1.exe!std::_Bind<1,void,void (__cdecl*const)(void)>::operator()<>() Line 1138 C++
    ConsoleApplication1.exe!std::_Once_target<std::_Bind<1,void,void (__cdecl*const)(void)> >::_Call() Line 445 C++
    msvcp120d.dll!_Do_call(void * _Tgt) Line 76 C++
    msvcp120d.dll!_Call_onceEx(int * cntrl, void(*)(void *) func, void * arg) Line 42   C++
    ConsoleApplication1.exe!std::_Call_it<std::_Bind<1,void,void (__cdecl*const)(void)> >(std::once_flag & _Flag, std::_Bind<1,void,void (__cdecl*const)(void)> _Tgt) Line 473    C++
    ConsoleApplication1.exe!std::call_once<void (__cdecl&)(void)>(std::once_flag & _Flag, void(*)() _Fx) Line 482 C++
    ConsoleApplication1.exe!main() Line 20  C++
    ConsoleApplication1.exe!__tmainCRTStartup() Line 626    C
    ConsoleApplication1.exe!mainCRTStartup() Line 466   C
    kernel32.dll!@BaseThreadInitThunk@12() Unknown
    ntdll.dll!__RtlUserThreadStart()    Unknown
    ntdll.dll!__RtlUserThreadStart@8() Unknown

안 보이는 걸로 봐서는, msvcp120.dll 자체에서 구현하는 식으로 우회하는 것 같습니다.

(첨부한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5/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713정성태7/16/202117202.NET Framework: 1077. C# - 동기 방식이면서 비동기 규약을 따르게 만드는 Task.FromResult파일 다운로드1
12712정성태7/15/202116128개발 환경 구성: 579. Azure - 리눅스 호스팅의 Site Extension 제작 방법
12711정성태7/15/202116132개발 환경 구성: 578. Azure - Java Web App Service를 위한 Site Extension 제작 방법
12710정성태7/15/202118770개발 환경 구성: 577. MQTT - emqx.io 서비스 소개
12709정성태7/14/202114291Linux: 42. 실행 중인 docker 컨테이너에 대한 구동 시점의 docker run 명령어를 확인하는 방법
12708정성태7/14/202118508Linux: 41. 리눅스 환경에서 디스크 용량 부족 시 원인 분석 방법
12707정성태7/14/202185738오류 유형: 734. MySQL - Authentication method 'caching_sha2_password' not supported by any of the available plugins.
12706정성태7/14/202116924.NET Framework: 1076. C# - AsyncLocal 기능을 CallContext만으로 구현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705정성태7/13/202117314VS.NET IDE: 168. 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 두 번째 이야기
12704정성태7/12/202116102개발 환경 구성: 576. Azure VM의 서비스를 Azure Web App Service에서만 접근하도록 NSG 설정을 제한하는 방법
12703정성태7/11/202121470개발 환경 구성: 575. Azure VM에 (ICMP) ping을 허용하는 방법
12702정성태7/11/202117195오류 유형: 733. TaskScheduler에 등록된 wacs.exe의 Let's Encrypt 인증서 업데이트 문제
12701정성태7/9/202116734.NET Framework: 1075. C# - ThreadPool의 스레드는 반환 시 ThreadStatic과 AsyncLocal 값이 초기화 될까요?파일 다운로드1
12700정성태7/8/202117165.NET Framework: 1074. RuntimeType의 메모리 누수? [1]
12699정성태7/8/202115698VS.NET IDE: 167. Visual Studio 디버깅 중 GC Heap 상태를 보여주는 "Show Diagnostic Tools" 메뉴 사용법
12698정성태7/7/202119959오류 유형: 732. Windows 11 업데이트 시 3% 또는 0%에서 다운로드가 멈춘 경우
12697정성태7/7/202115028개발 환경 구성: 574. Windows 11 (Insider Preview) 설치하는 방법
12696정성태7/6/202115973VC++: 146. 운영체제의 스레드 문맥 교환(Context Switch)을 유사하게 구현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2
12695정성태7/3/202116013VC++: 145. C 언어의 setjmp/longjmp 기능을 Thread Context를 이용해 유사하게 구현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94정성태7/2/202117953Java: 24. Azure - Spring Boot 앱을 Java SE(Embedded Web Server)로 호스팅 시 로그 파일 남기는 방법 [1]
12693정성태6/30/202114894오류 유형: 731. Azure Web App Site Extension - Failed to install web app extension [...]. {1}
12692정성태6/30/202115376디버깅 기술: 180. Azure - Web App의 비정상 종료 시 남겨지는 로그 확인
12691정성태6/30/202115627개발 환경 구성: 573. 테스트 용도이지만 테스트에 적합하지 않은 Azure D1 공유(shared) 요금제
12690정성태6/28/202116643Java: 23. Azure - 자바(Java)로 만드는 Web App Service - Tomcat 호스팅
12689정성태6/25/202118343오류 유형: 730. Windows Forms 디자이너 - The class Form1 can be designed, but is not the first class in the file. [1]
12688정성태6/24/202117658.NET Framework: 1073. C# - JSON 역/직렬화 시 리플렉션 손실을 없애는 JsonSrcGen [2]파일 다운로드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