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저 같은 경우에. VS.NET 2005와 SQL 2005에 관심이 많아서 제가 직접 쓰는 컴퓨터와 집에 있는 웹 서버를 틈틈이 업그레이드된 베타가 나올 때마다 설치를 해보고 있습니다.

물론, ^^; 그렇다고 해서 해당 제품들과 관계된 공부를 많이 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베타를 쓰면서 먼저 익숙해진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 그렇게 해보는데요.

아직 베타 버전이다 보니 설치/제거가 다소 미숙한 부분도 있습니다. 더군다나, VS.NET 2005와 SQL Server 2005에서 쓰이는 .NET Framework 2.0 자체도 베타 버전인데다 2가지 제품에서 서로 다른 빌드의 .NET 2.0을 쓰는 관계로 설치/제거 작업이 더더욱 어려운 상황인데요.

암튼... 저 같은 경우, 기존 베타를 제거하고 새로운 베타를 설치할 때 다음과 같은 오류를 종종 만나곤 합니다.


SQL 2005 베타에서는, 기존 베타 버전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경우,
"The follwing compnents that you chose to install are already installed on the machine. To view a report of available options and alternatives click on Details" 위의 메시지가 나오면서 새로 나온 베타의 기능 중에서 위의 메시지와 함께 나열되지 않은 제품들만 설치되게 됩니다. 설치 전에, 기존 베타 버전의 유무를 판단해 주기 때문에 설치 중간에 오류가 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반면에, VS.NET 2005 베타 제품 설치 시에는 사정이 좀 다릅니다. 거의 대부분 설치 오류가 중간에 발생하죠. ^^; 부가적으로, 짜증까지 나게 되는데요. 다음의 오류를 예로 들면 좋을 것 같습니다.

***EndOfSession*** [03/04/05,10:01:23] Microsoft .NET Framework 2.0 Beta 2: [2] Error code 1638 for this component means "Another version of this product is already installed. Installation of this version cannot continue. To configure or remove the existing version of this product, use Add/Remove Programs on the Control Panel.
참고로, 위의 내용은 설치 도중 에러가 났을 때 설치 화면에서 제공되는 "View Error Log" 링크를 통해서 본 내용인데, 제가 권해드리고 싶은 것은 해당 로그 파일과 동일한 폴더에 있는 다른 에러 로그 파일들을 꼭 살펴보시라는 점입니다. 왜냐면, 실제로 위의 로그에서는 .NET 2.0의 다른 버전이 설치되었다는 보고인데, 실제로 좀 더 상세한 로그 파일을 살펴보면,

[03/04/05,11:48:02] Microsoft Visual J# .NET Redistributable Package 2.0 Beta: [2] Error code 1638 for this component means "Another version of this product is already installed. Installation of this version cannot continue. To configure or remove the existing version of this product, use Add/Remove Programs on the Control Panel. "
[03/04/05,11:48:03] Microsoft Visual J# .NET Redistributable Package 2.0 Beta: [2] Setup Failed on component Microsoft Visual J# .NET Redistributable Package 2.0 Beta ***EndOfSession***

위와 같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J# Runtime 2.0이 설치되어 있었다는 것이죠.


어쨌든, 위의 2가지 경우에서처럼... 기존에 설치된 베타 버전으로 인해 새로운 베타 버전이 정상적으로 설치가 안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런 경우, "프로그램 추가/삭제"에서 해당 제품을 제거해 주시면 좋겠지만, 문제는 ... 베타 버전의 설치/제거 쪽이 완벽하지 않아서 프로그램 추가/삭제에는 없는 경우도 있다는 것입니다.

그럼...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

VS.NET 2003/2005에서 MSI 프로젝트 파일을 다뤄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설치 조건(condition)을 지정하는 방법으로 특정 레지스트리 노드로 판단하는 것을 아실 것입니다. 음.... 대답이 너무 간단한가요?

그렇다고 해서 어떤 값인지는 msi 파일을 분석하면 알 수 있겠지만... 제가 택한 방법은 그냥 레지스트리에서 관련 항목을 찾아서 모두 삭제하는 것이었습니다.
다음 화면에서 보시는 것처럼.

클릭하시면 큰 그림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어떤 키값으로 검색해야 할지는 ... ^^ 개인의 감각에 맡기겠습니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5-03-04 03시45분
참고로, Install 관련 Product 관련 레지스트리 키를 삭제하면 되는 것도 있고... 그렇지 않고 Software 쪽 레지스트리 키를 지워야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techsharer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86정성태1/23/200522946.NET Framework: 21. Code Snippet - Enum과 관련된 다양한 형변환 [1]
85정성태1/23/200521138스크립트: 4. Windows 2003에서 BHO(Browser Helper Objects) 동작 안하는 현상 [1]
83정성태1/18/200526264.NET Framework: 20.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 예외가 발생한 한 예.
82정성태1/3/200519744VS.NET IDE: 17. Windows 운영 - 특정 사용자 또는 그룹에 대해서 파일 공유 접근 금지
79정성태1/20/200527680기타: 8. DELL Latitude D800 노트북 컴퓨터의 PC Beep 소음(!) 문제.
78정성태12/27/200420042VS.NET IDE: 16. MS 제품 관련 사용되는 TCP/IP 포트 열거파일 다운로드1
77정성태12/27/200420309VS.NET IDE: 15. Virtual CD-ROM Control Panel - ISO 이미지를 CD-ROM 드라이브처럼 접근하게 해주는 EXE 프로그램 [1]파일 다운로드1
76정성태12/27/200421353VS.NET IDE: 14. VPN 접속시 IP를 고정적으로 할당받는 방법 [1]
75정성태12/27/200417583VS.NET IDE: 13. VS.NET 2005 Beta 1 - Portfolio Explorer 에 등록된 Team Server 항목 삭제 방법
84정성태1/19/200518407    답변글 VS.NET IDE: 13.1. VS.NET 2005 Beta 1 : Team Server 에 등록된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삭제 방법
74정성태12/26/200419007VS.NET IDE: 12. [시나리오] VS.NET 2005 Team Foundation Server을 Virtual Server에 설치 [1]
80정성태12/31/200418339    답변글 VS.NET IDE: 12.1. Client Tier, 즉 VS.NET 2005가 설치된 컴퓨터도 ActiveDirectory에 참여를 해야 합니다.
81정성태12/31/200420224    답변글 VS.NET IDE: 12.2. Tier 컴퓨터를 모두 영문으로 재구성
109정성태3/4/200515488    답변글 VS.NET IDE: 12.3. [보완] MS 공식 아티클 - Installing the December CTP Release of Visual Studio Team System
73정성태11/14/200517313.NET Framework: 19. VS.NET 2005 Team Foundation Server 설치오류 - 26204 예외
72정성태12/26/200418764.NET Framework: 18. .NET Framework 2.0 Beta 설치 후에 Windows SharePoint Service 오류 [1]
136정성태3/31/200518627    답변글 .NET Framework: 18.1. Windows Sharepoint Services 를 설치한 이후 ASP.NET 오류 문제
71정성태12/26/200416983VS.NET IDE: 11. SQL Server 2005 Beta 2 를 네트워크 드라이브로부터 설치시 오류
70정성태12/26/200419809VS.NET IDE: 10. WSS 설치 후 localhost 접근 보안 오류
69정성태12/5/200416897VS.NET IDE: 9. 다른 컴퓨터(방화벽 설치)에 설치된 SQL Server에 통합 인증을 할 때 필요한 포트
68정성태10/31/200421868.NET Framework: 17. Win32_NTLogEvent를 c#에서 wmi 쿼리할 때..에러..
67정성태10/22/200419028COM 개체 관련: 12. Microsoft.XMLHTTP 개체에서 Microsoft.XMLDOM 개체를 전송할 때 charset 지정 문제?
66정성태10/16/200420205.NET Framework: 16. [닷넷 리모팅] 프록시가 죽은 것을 원격 개체가 알 수 있는 방법은?
65정성태10/16/200419173VS.NET IDE: 8. Windows 가상 메모리 사용 해제
64정성태10/3/200422864.NET Framework: 15. ASP.NET에서 .NET COM+ 개체 등록 시 "Local System"이어야 하는 이유.
63정성태10/3/200422977.NET Framework: 14. Response.Cookies.Clear는 기존 설정된 Cookie 헤더를 삭제하는 것이 아닙니다.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