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621. 닷넷 프로파일러의 오류 코드 - 0x80131363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199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닷넷 프로파일러의 오류 코드 - 0x80131363

CORPROF_E_UNSUPPORTED_CALL_SEQUENCE (0x80131363) 오류에 대한 좀 더 상세한 정보가 있어서 소개합니다. ^^

Why we have CORPROF_E_UNSUPPORTED_CALL_SEQUENCE
; https://blogs.msdn.microsoft.com/davbr/2008/12/23/why-we-have-corprof_e_unsupported_call_sequence/

정리해 보면, 0x80131363 오류는 CLR 2.0부터 반환하도록 추가되었습니다. 이전에도 언급했지만,

닷넷 프로파일러의 오류 코드 정보
; https://www.sysnet.pe.kr/2/0/10880

0x80131363 오류는 ICorProfilerInfo 관련 메서드를 호출할 때 응용 프로그램이 불안정한 상태로 빠질 경우에 해당하면 반환됩니다. 이 오류는 주로 "hijacking profiler"에서 볼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non-hijacking profiler에서도 발생할 수 있음.) hijacking profiler란? 프로파일러 관련 코드에 진입하기 위해 임의의 시점에 스레드의 레지스터 컨텍스트를 강제로 재설정하거나, 보통 그렇게 진입한 프로파일링 코드에서 ICorProfilerInfo를 이용해 CLR 내부로 재진입하는 종류의 프로파일러입니다.

왜 이것이 문제가 되냐면? 프로파일러가 스레드를 제어하기 시작했을 때 하필 CLR 내부의 자료 구조에 대한 lock을 소유할 경우도 있는데, 이 스레드에서 CLR 내부로 다시 재진입을 하게 되면 또 다른 lock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게 되고 결국 deadlock이나 AV(Access Violation)에 쉽게 빠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CLR 1.x까지는, 위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면 '운에 따라' ICorProfilerInfo가 잘 호출될 수도 있고, 또는 deadlock/AV가 발생할 수도 있었지만 CLR 2.0부터는 아예 0x80131363을 반환해서 그런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합니다.

일반적으로 ICorProfilerCallback으로 호출되는 메서드 내에서 실행되는 코드로 이뤄진 non-hijacking profiler라면 ICorProfilerInfo 메서드를 호출하는 것은 문제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ICorProfilerCallback::ClassLoadFinished 콜백 함수 내에서 클래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것은 괜찮습니다. 사실 이 시점에 클래스 정보가 완전하지 않아서 구할 수 없는 경우도 있는데 그럼 CORPROF_E_DATAINCOMPLETE를 반환할 뿐 deadlock이나 AV 오류가 발생할 염려는 없습니다. 이런 식으로 안전하게 ICorProfilerInfo를 호출하는 것을 "동기화(synchronous)"되었다고 합니다. 즉, ICorProfilerCallback 콜백 함수 내에서 호출되는 모든 유형은 synchronous에 해당하기 때문에 안전합니다.

반면, ICorProfilerCallback 콜백 함수가 아닌, 관리 스레드 상에서 ICorProfilerInfo가 제공하는 메서드를 호출하면 이를 "비동기화(asynchronous)"되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asynchronous 유형의 호출은 위험하며 CLR 2.0이후부터는 무조건 0x80131363 오류를 반환합니다.

asynchronous 상황에서 ICorProfilerInfo에서 제공하는 메서드들이 대체로 위험하긴 하지만, 다음의 메서드들은 허용된다고 합니다.

  • GetEventMask/SetEventMask
  • GetCurrentThreadID
  • GetThreadContext
  • GetThreadAppDomain
  • GetFunctionFromIP
  • GetFunctionInfo/GetFunctionInfo2
  • GetCodeInfo/GetCodeInfo2
  • GetModuleInfo
  • GetClassIDInfo/GetClassIDInfo2
  • IsArrayClass
  • SetFunctionIDMapper
  • DoStackSnapshot

그 외에 알아둘 점은?

  1. fast-path 방식의 Enter/Leave 콜백 내에서 ICorProfilerInfo 호출은 asynchronous로 간주합니다. (fast-path인지 slow-path인지에 대해서는 "https://blogs.msdn.microsoft.com/davbr/2007/03/22/enter-leave-tailcall-hooks-part-1-the-basics/?WT.mc_id=DT-MVP-4038148" 글을 참조) 반면 slow-path 방식의 Enter/Leave 콜백 내에서는 synchronous로 간주.
  2. 가로채기 된 메서드 내에서 ICorProfilerInfo 호출은 asynchronous로 간주. (예를 들어, 프로파일러가 정의한 함수를 호출하도록 IL 코드를 변경해서 호출되는 경우가 있다면, 프로파일러가 제공한 함수 내에서 ICorProfilerInfo의 함수를 호출하면 안 됨)
  3. FunctionIDMapper 후킹 코드 내에서 ICorProfilerInfo 호출하는 것은 asynchronous로 간주.
  4. 프로파일러 모듈이 직접 만든 스레드가 ICorProfilerInfo를 호출하는 것은 안전하게 synchronous로 간주. 왜냐하면, 그 스레드 상에서 CLR 내부로 재진입하는 등의 작업은 아무런 충돌 위험이 없기 때문.
  5. DoStackSnapshot을 호출한 상황이 synchronous였다면, 그것의 StackSnapshotCallback 콜백 함수 내에서의 ICorProfilerInfo 호출은 안전하게 synchronous로 간주.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8/2016]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2정성태4/14/200517916    답변글 VS.NET IDE: 36.1. 메모리 구성에 대한 추가 내용
137정성태3/31/200522247.NET Framework: 35. XP SP2 팝업 뚫은 소스
135정성태3/31/200520983VS.NET IDE: 26. SQL Server 2000구성이 실패
134정성태3/31/200518184COM 개체 관련: 16. Microsoft.XMLHTTP 개체에서 Microsoft.XMLDOM 개체를 전송할 때 charset 지정 문제? [2]
128정성태3/30/200516580.NET Framework: 34. VC++에서 Managed 타입의 메서드에 BSTR을 넘기는 경우의 오류(!)
129정성태3/30/200518696    답변글 .NET Framework: 34.1. 위의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나온 것입니다.
130정성태3/30/200515984        답변글 .NET Framework: 34.2. 다시... 제가 질문한 내용입니다. ^^
131정성태3/30/200516531            답변글 .NET Framework: 34.3. 다시... 정봉겸님이 하신... 명확한 답변입니다.
126정성태3/26/200516343.NET Framework: 33. Proxy 환경에서의 Smart Client 업데이트 문제 [1]
133정성태3/31/200517480    답변글 .NET Framework: 33.1. [추가]: Proxy 환경에서의 Smart Client 업데이트 문제 [2]
125정성태3/26/200516409VC++: 15. VC++ Keyword
124정성태3/25/200516962.NET Framework: 32. 네트워크 공유 없이 상대 컴퓨터에 프로그램 설치
119정성태3/21/200516518.NET Framework: 31.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웹 프로젝트를 열수 없습니다.
120정성태3/21/200517865    답변글 .NET Framework: 31.1.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PDB 파일이 잠기는 문제
121정성태3/21/200517913    답변글 .NET Framework: 31.2.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VS.NET 2003 IDE 와 연동되는 소스세이프 버전 문제
122정성태3/21/200516619    답변글 .NET Framework: 31.3. 소스세이프 관련 사이트
160정성태11/14/200519530    답변글 VS.NET IDE: 31.4.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시 "_1"을 붙여서 묻는 경우. [1]
196이문석12/23/200516330        답변글 .NET Framework: 31.8. [답변]: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시 "_1" 을 붙여서 묻는 경우.
167정성태10/10/200515877    답변글 .NET Framework: 31.5. [추가]: 삭제한 웹 가상 디렉터리에 대해 동일한 이름으로 웹 공유를 설정할 때 - 이미 있다고 오류발생
190정성태12/11/200515191    답변글 VC++: 31.6. ASP.NET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한 것을 또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가능!
191정성태12/11/200517668    답변글 VC++: 31.7. 소스 세이프 사용 시, 특정 프로젝트의 빌드 체크가 솔루션 로드할 때마다 해제되는 경우
118정성태3/30/200623499VC++: 14. TCP through HTTP tunneling: 기업 내 Proxy 서버 제한에서 벗어나는 방법 [2]
117정성태3/19/200524572.NET Framework: 30. Process.Start에서의 인자 길이 제한 [4]
116정성태3/14/200517063.NET Framework: 29. [.NET WebService] 자동생성되는 WSDL 을 막는 방법.
115정성태3/13/200517658VS.NET IDE: 25. [IIS 서버] ODBC 로그 남기기 [1]
195정성태12/21/200516896    답변글 VC++: 25.1. ODBC 로그를 못 남길 때의 오류 화면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