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305. PeerFinder로 Wi-Fi Direct 연결 시 방화벽 문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263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PeerFinder로 Wi-Fi Direct 연결 시 방화벽 문제

테스트해보니, 일단 PeerFinder.Role == PeerRole.Host인 측은 특별히 방화벽을 열 필요가 없었습니다. 단지, 응용 프로그램 실행할 때 열겠냐고 물어보는 데 OK를 선택하면 됩니다. 물론 현실적으로 보면 제품 설치 시 해당 EXE에 대해 방화벽을 열어주는 처리를 해줘야 합니다.

그런데 특이하게도, PeerFinder.Role == PeerRole.Client 측에서는 명시적으로 방화벽을 열어줘야 하는 항목이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다음의 코드에서,

Task<Windows.Networking.Sockets.StreamSocket> task = PeerFinder.ConnectAsync(info).AsTask();
task.Wait();

Wait 호출 시 대기가 되며 접속되지 않습니다. 그러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음과 같이 예외가 발생합니다.

Peer found: PeerFinderConsoleApp - D65FE18CA021FFEA4981570F4E14FCA3B04D22A9270DA2BA77088EFB5DA87B81
System.AggregateException: One or more errors occurred. ---> System.Exception: This operation returned because the timeout period expired. (Exception from HRESULT: 0x800705B4)
   --- End of inner exception stack trace ---
   at System.Threading.Tasks.Task.ThrowIfExceptional(Boolean includeTaskCanceledExceptions)
   at System.Threading.Tasks.Task.Wait(Int32 millisecondsTimeout, CancellationToken cancellationToken)
   at System.Threading.Tasks.Task.Wait()
   at PeerClient.PeerClient.<Start>d__2.MoveNext() in C:\Users\SeongTae Jeong\Dropbox\articles\wifi_direct\ConsoleApplication1\PeerClient\Program.cs:line 76
---> (Inner Exception #0) System.Exception: This operation returned because the timeout period expired. (Exception from HRESULT: 0x800705B4)<---

이런 경우를 위해 방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코딩할 수 있습니다.

Task<Windows.Networking.Sockets.StreamSocket> task = PeerFinder.ConnectAsync(info).AsTask();
if (task.Wait(5000) == false)
{
    Console.WriteLine("timeout");
    return;
}

어쨌든, 방화벽으로 인해 이런 오류가 발생한다면 윈도우 방화벽에서 "Windows Peer to Peer Collaboration Foundation" 항목을 활성화시켜줘야 합니다.

wifi_direct_firewall_1.png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8/2016]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75정성태3/8/202010567개발 환경 구성: 477. "Docker Desktop for Windows"의 "Linux Container" 모드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12174정성태3/7/202010121개발 환경 구성: 476. DockerDesktopVM의 파일 시스템 접근 [3]
12173정성태3/7/202011102개발 환경 구성: 475. docker - SQL Server 2019 컨테이너 실행 [1]
12172정성태3/7/202015994개발 환경 구성: 474. docker - container에서 root 권한 명령어 실행(sudo)
12171정성태3/6/202010918VS.NET IDE: 143. Visual Studio -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의 "Enable Docker Support" 옵션으로 달라지는 점 [1]
12170정성태3/6/20209570오류 유형: 599. "Docker Desktop is switching..." 메시지와 DockerDesktopVM CPU 소비 현상
12169정성태3/5/202011595개발 환경 구성: 473. Windows nanoserver에 대한 docker pull의 태그 사용 [1]
12168정성태3/5/202012284개발 환경 구성: 472. 윈도우 환경에서의 dockerd.exe("Docker Engine" 서비스)가 Linux의 것과 다른 점
12167정성태3/5/202011500개발 환경 구성: 471.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DB2 Express-C 데이터베이스 사용 (3) - ibmcom/db2express-c 컨테이너 사용
12166정성태3/4/202011165개발 환경 구성: 470. Windows Server 컨테이너 - DockerMsftProvider 모듈을 이용한 docker 설치
12165정성태3/2/202010851.NET Framework: 900.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네 번째 이야기(Monitor.Enter 후킹)파일 다운로드1
12164정성태2/29/202011720오류 유형: 598. Surface Pro 6 - Windows Hello Face Software Device가 인식이 안 되는 문제
12163정성태2/27/202010149.NET Framework: 899. 익명 함수를 가리키는 delegate 필드에 대한 직렬화 문제
12162정성태2/26/202012911디버깅 기술: 166. C#에서 만든 COM 객체를 C/C++로 P/Invoke Interop 시 메모리 누수(Memory Leak) 발생 [6]파일 다운로드2
12161정성태2/26/20209576오류 유형: 597. manifest - The value "x64" of attribute "processorArchitecture" in element "assemblyIdentity" is invalid.
12160정성태2/26/202010269개발 환경 구성: 469. Reg-free COM 개체 사용을 위한 manifest 파일 생성 도구 - COMRegFreeManifest
12159정성태2/26/20208469오류 유형: 596. Visual Studio - The project needs to include ATL support
12158정성태2/25/202010263디버깅 기술: 165. C# - Marshal.GetIUnknownForObject/GetIDispatchForObject 사용 시 메모리 누수(Memory Leak) 발생파일 다운로드1
12157정성태2/25/202010147디버깅 기술: 164. C# - Marshal.GetNativeVariantForObject 사용 시 메모리 누수(Memory Leak) 발생 및 해결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156정성태2/25/20209467오류 유형: 595. LINK : warning LNK4098: defaultlib 'nafxcw.lib' conflicts with use of other libs; use /NODEFAULTLIB:library
12155정성태2/25/20208803오류 유형: 594. Warning NU1701 - This package may not be fully compatible with your project
12154정성태2/25/20208648오류 유형: 593. warning LNK4070: /OUT:... directive in .EXP differs from output filename
12153정성태2/23/202011321.NET Framework: 898. Trampoline을 이용한 후킹의 한계파일 다운로드1
12152정성태2/23/202011041.NET Framework: 897.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세 번째 이야기(Trampoline 후킹)파일 다운로드1
12151정성태2/22/202011568.NET Framework: 896.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원본 함수 호출)파일 다운로드1
12150정성태2/21/202011424.NET Framework: 895.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