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RDP 접속이 불연속적으로 끊기는 문제 RDP 연결(mstsc.exe)을 했는데 자꾸만 연결이 끊기는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끊기고 나서 다시 접속하면, 조금 있다가 또 끊기고. 문제는, 이런 경우는 딱히 검색을 해봐도 그다지 도움되는 글들이 검색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다행히, 그동안의 경험으로 만만하게 떠오르는 것이 하나 있긴 했는데요. Unable to connect to the Microsoft Visual Studio Remote Debugging Monitor ... Access is denied. ; https://www.sysnet.pe.kr/2/0/1093 어느 순간 갑자기 접속이 안되는 TFS 서버 ; https://www.sysnet.pe.kr/2/0/1099 어느 순간 Active Directory 접속이 안되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109 당연히, 잦은 RDP 접속 끊김이 발생하는 대상 윈도우 서버의 IPv6 기능을 꺼버리고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결과는? 문제 해결!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제니퍼 .NET: 16. 적용 사례 (1) - DB Connection Pooling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성능 저하를 알려주다.[이전 글] 오류 유형: 135. 어느 순간 Active Directory 접속이 안되는 문제 [최초 등록일: 8/26/2011] [최종 수정일: 6/21/2021]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660정성태8/19/201818671사물인터넷: 33. 세라믹 커패시터의 동작 방식111659정성태8/19/201818645사물인터넷: 32. 9V 전압에서 테스트하는 PN2222A 트랜지스터111658정성태8/18/201822064사물인터넷: 31. 커패시터와 RC 회로311657정성태8/18/201820122사물인터넷: 30. 릴레이(Relay) 제어311656정성태8/16/201815812사물인터넷: 29. 트랜지스터와 병렬로 연결한 LED111655정성태8/16/201818029사물인터넷: 28. 저항과 병렬로 연결한 LED111654정성태8/15/201819336사물인터넷: 27. 병렬 회로의 저항, 전압 및 전류111653정성태8/14/201820178사물인터넷: 26. 입력 전압에 따른 LED의 전압/저항 변화 [1]111652정성태8/14/201817627사물인터넷: 25. 컬렉터 9V, 베이스에 5V와 3.3V 전압으로 테스트하는 C1815 트랜지스터111651정성태8/14/201822693사물인터넷: 24. 9V 전압에서 테스트하는 C1815 트랜지스터 [1]311650정성태8/14/201817123사물인터넷: 23. 가변저항으로 분압111649정성태8/12/201819468사물인터넷: 22. 저항에 따른 전류 테스트111648정성태8/12/201820887사물인터넷: 21. 퓨즈를 이용한 회로 보호311647정성태8/8/201821012오류 유형: 476. 음수의 음수는 여전히 음수가 되는 수(절대값이 음수인 수)11646정성태8/8/201817025오류 유형: 475. gacutil.exe 실행 시 "Failure initializing gacutil" 오류 발생11645정성태8/8/201819281오류 유형: 474. 닷넷 COM+ - Failed to load the runtime. [1]11644정성태8/6/201822149디버깅 기술: 118. windbg - 닷넷 개발자를 위한 MEX Debugging Extension 소개11643정성태8/6/201821835사물인터넷: 20. 아두이노 레오나르도 R3 호환 보드의 3.3v 핀의 LED 전압/전류 테스트 [1]111642정성태8/3/201820544Graphics: 20. Unity - LightMode의 ForwardBase에 따른 _WorldSpaceLightPos0 값 변화11641정성태8/3/201826063Graphics: 19.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10) - 빌보드 구현 [1]111640정성태8/3/201822306Graphics: 18. Unity - World matrix(unity_ObjectToWorld)로부터 Position, Rotation, Scale 값을 복원하는 방법111639정성태8/2/201819863디버깅 기술: 117.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추출한 DLL을 참조하는 방법11638정성태8/2/201818248오류 유형: 473.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추출한 DLL 참조 시 "Resolved file has a bad image, no metadata, or is otherwise inaccessible." 빌드 오류11637정성태8/1/201822702Graphics: 17. Unity - World matrix(unity_ObjectToWorld)로부터 TRS(이동/회전/크기) 행렬로 복원하는 방법111636정성태8/1/201830071Graphics: 16. 3D 공간에서 두 점이 이루는 각도 구하기111635정성태8/1/201818755오류 유형: 472. C# 컴파일 오류 - Your project is not referencing the ".NETFramework,Version=v3.5" framework.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