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ICOMAdminCatalog::GetCollection에서 CO_E_ISOLEVELMISMATCH(0x8004E02F) 오류 발생

제가 만든 코드에서 다음과 같이 COM+ Admin 객체를 사용합니다.

HRESULT hr = ::CoCreateInstance(CLSID_COMAdminCatalog, NULL, CLSCTX_INPROC_SERVER, IID_IUnknown, (LPVOID *)&pUnknown);
if (hr != S_OK)
{
    break;
}

CComQIPtr<ICOMAdminCatalog> pComAdminCatalog = pUnknown;
if (pComAdminCatalog == NULL)
{
    break;
}

CComPtr<ICatalogCollection> pAppColl = NULL;
CComBSTR ApplicationName = Value_Applications;
hr = pComAdminCatalog->GetCollection(ApplicationName, (IDispatch **)&pAppColl);

그런데 특정 COM+ 객체에서 저 코드가 호출되는 경우 hr 반환값이 0x8004E02F로 나옵니다. 이 오류 코드의 의미는,

0x8004E02F (CO_E_ISOLEVELMISMATCH)

Failed to get ICatalogCollection
The TxIsolation Level property for the COM+ component being created is stronger than the TxIsolationLevel for the "root" component for the transaction. The creation failed.


이렇다고 하는데... 흠~~~ ^^;

일단, 이론적으로 문제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재현 코드를 만들어 보는 것이 좋겠지요? ^^ TxIsolation 레벨에 따라 이런 오류가 발생하려면 COM+ 객체가 2개 있어야 합니다. 그중에서 첫 번째 활성화되는 (A라고 하는) COM+ 객체가 트랜잭션에 대한 '문맥(context)'을 생성합니다. 그리고, 그 트랜잭션을 따르는 (B라고 하는) COM+ 객체가 TxIsolationLevel을 A 객체가 생성한 문맥보다 더 높은 안정성을 요구해야 합니다.

일례로 다음과 같은 문맥 설정이 됩니다.

A COM+: TransactionOption.Required, TransactionIsolationLevel.ReadCommitted
B COM+: TransactionOption.Required, TransactionIsolationLevel.Serializable

또는 이런 식입니다.

A COM+: TransactionOption.Required, TransactionIsolationLevel.ReadCommitted
B COM+: TransactionOption.Supported, TransactionIsolationLevel.Serializable

이런 설정으로 구성된 경우, A COM+의 메서드 내에서 B COM+의 메서드를 호출하면 CO_E_ISOLEVELMISMATCH 오류가 발생합니다.

반면 다음과 같은 식에서는 문제가 없습니다. (테스트는 안 해봤습니다. 아마도! ^^)

A COM+: TransactionOption.Disabled, TransactionIsolationLevel.ReadCommitted
B COM+: TransactionOption.Required, TransactionIsolationLevel.Serializable

A COM+: TransactionOption.NotSupported, TransactionIsolationLevel.ReadCommitted
B COM+: TransactionOption.Required, TransactionIsolationLevel.Serializable

A COM+: TransactionOption.Required, TransactionIsolationLevel.ReadCommitted
B COM+: TransactionOption.RequiresNew, TransactionIsolationLevel.Serializable

왜냐하면, A COM+ 객체가 생성한 문맥의 트랜잭션 환경을 B COM+ 객체에서 따르지 않기 때문에 TransactionIsolationLevel의 영향이 없습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제 경우에 COM+ 메서드 내에서 활성화되긴 하지만 제가 활성화하려는 ICOMAdminCatalog는 COM+에 직접적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위의 상황과 별개로 보입니다. 그래서 좀 혼란스러웠는데요, 다행히 다음의 문서에서 문제의 원인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Accessing the COM+ Catalog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in32/cossdk/accessing-the-com--catalog

When you initiate programmatic administration by instantiating a COMAdminCatalog object, this object opens a session with the local catalog server. Requests for collections or collection items on the local catalog are handled by the local catalog server. When you connect to a remote machine, you are communicating with the catalog server on that machine.


즉, COMAdminCatalog는 내부적으로 "the local catalog server"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것은 "COM+ Applications"에서 늘 활성화되어 있는 "System Application"의 "Catsrv.CatalogServer"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예상할 수 있듯이, 이는 Serializable로 되어 있습니다.

complus_getcatalog_error_0.png

실제로 이 코드가 문제를 일으키는지 테스트를 해봐야 할 텐데요. 이를 위해 예전에 만들어 두었던 COM+를,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작업을 COM+에 대행
; https://www.sysnet.pe.kr/2/0/1290

문제가 되었던 COM+ 객체의 환경처럼 TransactionIsolationLevel을 ReadCommitted로 설정한 후,

complus_getcatalog_error_1.png

테스트해보면 정확히 ICOMAdminCatalog::GetCollection 호출에서 "0x8004E02F (CO_E_ISOLEVELMISMATCH)" 예외가 발생합니다.

(첨부 파일은 ReadCommitted로 설정된 COM+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2016-12-19 추가] 제가 요즘 정신이 없군요. ^^; 위의 글에 대한 우회 해결책을 적는다는 것을 깜빡했습니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Catalog 객체를 정상적으로 접근하고 싶다면 해당 코드 자체를 별도의 스레드 위에서 실행하면 됩니다. 대충 이런 식으로. ^^

std::thread t([&]()
{
    CoInitializeEx(nullptr, COINIT_APARTMENTTHREADED);
    
    // ... Catalog 코드

    CoUninitialize();
});

t.join();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1/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234정성태1/28/20235762개발 환경 구성: 661. dnSpy를 이용해 소스 코드가 없는 .NET 어셈블리의 코드를 변경하는 방법 [1]
13233정성태1/28/20237143오류 유형: 840. C# - WebClient로 https 호출 시 "The request was aborted: Could not create SSL/TLS secure channel" 예외 발생
13232정성태1/27/20234895스크립트: 43. uwsgi의 --processes와 --threads 옵션
13231정성태1/27/20233857오류 유형: 839. python - TypeError: '...' object is not callable
13230정성태1/26/20234212개발 환경 구성: 660. WSL 2 내부로부터 호스트 측의 네트워크로 UDP 데이터가 1개의 패킷으로만 제한되는 문제
13229정성태1/25/20235213.NET Framework: 2090. C# - UDP Datagram의 최대 크기
13228정성태1/24/20235312.NET Framework: 2089. C# - WMI 논리 디스크가 속한 물리 디스크의 정보를 얻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3227정성태1/23/20235006개발 환경 구성: 659. Windows - IP MTU 값을 바꿀 수 있을까요? [1]
13226정성태1/23/20234720.NET Framework: 2088. .NET 5부터 지원하는 GetRawSocketOption 사용 시 주의할 점
13225정성태1/21/20233924개발 환경 구성: 658. Windows에서 실행 중인 소켓 서버를 다른 PC 또는 WSL에서 접속할 수 없는 경우
13224정성태1/21/20234310Windows: 221. Windows - Private/Public/Domain이 아닌 네트워크 어댑터 단위로 방화벽을 on/off하는 방법
13223정성태1/20/20234506오류 유형: 838. RDP 연결 오류 - The two computers couldn't connect in the amount of time allotted
13222정성태1/20/20234197개발 환경 구성: 657. WSL - DockerDesktop.vhdx 파일 위치를 옮기는 방법
13221정성태1/19/20234386Linux: 57. C# - 리눅스 프로세스 메모리 정보파일 다운로드1
13220정성태1/19/20234494오류 유형: 837. NETSDK1045 The current .NET SDK does not support targeting .NET ...
13219정성태1/18/20234047Windows: 220. 네트워크의 인터넷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
13218정성태1/17/20233992VS.NET IDE: 178. Visual Studio 17.5 (Preview 2) - 포트 터널링을 이용한 웹 응용 프로그램의 외부 접근 허용
13217정성태1/13/20234589디버깅 기술: 185. windbg - 64비트 운영체제에서 작업 관리자로 뜬 32비트 프로세스의 덤프를 sos로 디버깅하는 방법
13216정성태1/12/20234818디버깅 기술: 184. windbg - 32비트 프로세스의 메모리 덤프인 경우 !peb 명령어로 나타나지 않는 환경 변수
13215정성태1/11/20236420Linux: 56. 리눅스 - /proc/pid/stat 정보를 이용해 프로세스의 CPU 사용량 구하는 방법 [1]
13214정성태1/10/20235955.NET Framework: 2087. .NET 6부터 SourceGenerator와 통합된 System.Text.Json [1]파일 다운로드1
13213정성태1/9/20235460오류 유형: 836. docker 이미지 빌드 시 "RUN apt install ..." 명령어가 실패하는 이유
13212정성태1/8/20235210기타: 85. 단정도/배정도 부동 소수점의 정밀도(Precision)에 따른 형변환 손실
13211정성태1/6/20235238웹: 42. (https가 아닌) http 다운로드를 막는 웹 브라우저
13210정성태1/5/20234331Windows: 219. 윈도우 x64의 경우 0x00000000`7ffe0000 아래의 주소는 왜 사용하지 않을까요?
13209정성태1/4/20234244Windows: 218. 왜 윈도우에서 가상 메모리 공간은 64KB 정렬이 된 걸까요?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