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306. Visual Studio Code에서 Python 개발 환경 구성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4925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Visual Studio Code에서 Python 개발 환경 구성

당연히, Visual Studio Code를 다운로드해야겠지요! ^^

Download Visual Studio Code
; https://code.visualstudio.com/download

그다음, 아무 파이썬 파일이나 열어주면 Visual Studio Code가 알아서 다음과 같이 "Python" 확장을 설치할 거냐고 물어봐 줍니다.

vscode_python_1.png

It is recommended to install the 'Python' extension.

"Show recommendations" 버튼을 누르면 관련 '확장 도구' 목록들이 뜨고,

vscode_python_2.png

그중에서 (Don Jayamanne의) "Python"을 선택(물론, 취향에 따라 다른 Python 확장을 선택해도 됩니다.)하고 "Install" 버튼을 누르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그 후 "Install" 버튼이 "Reload"로 바뀌는 데, 이를 눌러주면 Visual Studio Code가 다시 실행되면서 해당 확장을 함께 로드해 사용할 준비가 됩니다.




당연히, 편집 중인 파이썬 코드를 실행해봐야겠지요? ^^ 그전에 Visual Studio 개발 환경의 전통적인 "F5 (Start Debugging)"을 해보겠습니다. 파이썬 소스 코드가 열린 상태에서 "F5" 키를 누르면 최초 한 번은 해당 소스 코드가 어떤 환경에서 실행되어야 하는지를 묻는 창이 뜹니다.

vscode_python_3.png

위처럼, "Python"을 선택하면 현재 파이썬 소스 코드 파일의 경로 하위에 ".vscode" 폴더 및 그 내부에 "launch.json" 파일이 생성되고 동시에 Visual Studio Code 내의 편집 파일로 로드가 됩니다.

"launch.json"은 그냥 대충 훑어보시고, 다시 파이썬 소스 코드로 가서 "F5" 키를 누릅니다.

이 단계에서, 파이썬 확장 도구는 해당 컴퓨터에 설치된 "python.exe"를 이용하게 됩니다. 당연하겠지만, 해당 PC에 한 번도 python을 설치하지 않았다면 "F5" 키 실행은 되지 않고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가 뜹니다.

vscode_python_4.png

Failed to launch the Python Process, please validate the path 'python'

Error: spawn python ENOENT

만약 설치한 적이 없다면 해주고, (여기서는 3.5.2 버전을 다운로드한 것으로 가정하겠습니다.)

Python Releases for Windows
; https://www.python.org/downloads/windows/

Windows x86-64 executable installer (설치 방법)
; https://www.python.org/ftp/python/3.5.2/python-3.5.2-amd64.exe

설치했는데도 동일한 오류가 발생한다면 시스템 환경 변수의 "PATH"에 python 설치 경로가 있는지 확인하고 없으면 등록해야 합니다. (이미 실행된 Visual Studio Code는 변경된 PATH 환경 변수를 인식하지 않으므로 새로 실행해야 합니다.)

여기까지 준비가 잘 되어 "F5" 키를 눌러 실행하면 디버그 환경으로 파이썬 코드가 실행되고, 원하는 코드에 "F9" 키로 정지점(Breakpoint)를 걸어 테스트해 볼 수 있습니다.




Visual Studio 사용자들은, "F5" 실행뿐만 아니라 "Ctrl + F5(Start Without Debugging)" 기능도 당연히 바라게 됩니다. Visual Studio Code의 경우에는 그와 비슷한 걸로 "Ctrl+Shift+B" 키가 제공됩니다.

그런데, "Ctrl+Shift+B" 키를 누르면 "No task runner configured." 메시지가 나오고 우측에 "Configure Task Runner", "Close" 버튼이 보입니다.

vscode_run_1.png

"Configure Task Runner"를 누르면 다음과 같이 빌드 도구를 선택하는 메뉴가 뜨는데, 여기서 맨 아래인 "Others"를 선택합니다. (만약, 메뉴에 있는 환경이라면 그걸 선택해도 되지만, Python의 경우에는 없으므로.)

vscode_run_2.png

그럼, ".vscode" 폴더에 "tasks.json" 파일이 생성되며 Visual Studio Code에 로드됩니다.

{
    // See https://go.microsoft.com/fwlink/?LinkId=733558
    // for the documentation about the tasks.json format
    "version": "0.1.0",
    "command": "echo",
    "isShellCommand": true,
    "args": ["Hello World"],
    "showOutput": "always"
}

"command"에 "python"을 입력하면, Visual Studio Code가 환경 변수 PATH에 연결된 python.exe를 실행시켜 줍니다. 그리고 "args"에는 실행될 파일의 .py 이름을 넣어주면 됩니다. 이 글에서는 "helloworld.py"이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해 줄 수 있습니다.

{
    // See https://go.microsoft.com/fwlink/?LinkId=733558
    // for the documentation about the tasks.json format
    "version": "0.1.0",
    "command": "python",
    "isShellCommand": true,
    "args": ["helloworld.py"],
    "showOutput": "always"
}

그런데, 위와 같이 해주면 Visual Studio Code에서 다른 소스 코드 파일을 편집 중일 때도 Ctrl+Shift+B 키를 누르면 "helloworld.py" 소스 코드가 실행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편집 중인 파일"을 실행하라는 의미로 다음과 같이 "${file}"이라고 명시해주는 것이 더 낫습니다.

{
    // See https://go.microsoft.com/fwlink/?LinkId=733558
    // for the documentation about the tasks.json format
    "version": "0.1.0",
    "command": "python",
    "isShellCommand": true,
    "args": ["${file}"],
    "showOutput": "always"
}

이후로 아무 편집 파일이나 열어놓고 실행하고 싶을 때 Ctrl+Shift+B 키를 눌러주면 됩니다.

tasks.json에 관한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 문서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Integrate with External Tools via Tasks
; http://code.visualstudio.com/docs/editor/tasks




Python 확장 도구를 선택한 이후부터, .py 소스 코드를 편집해 저장할 때마다 다음과 같이 Linter가 설치되지 않았다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vscode_pylint_1.png

Linter pylint is not installed.

그래서 "Install pylint"를 눌러 pylint를 설치할 텐데, 그래도 계속해서 저렇게 linter가 설치되지 않았다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이런 경우 pylint.exe에 대해 Visual Studio Code가 찾을 수 없기 때문인데, 이를 해결하려면 pylint.exe가 있는 폴더를 환경 변수인 PATH에 등록시켜 주거나, ".vscode" 폴더에 "settings.json" 파일을 만들고 그 안에 다음과 같이 pylintPath를 명시해 주면 됩니다.

vscode_pylint_2.png

{
    "python.linting.pylintPath": "${env.USERPROFILE}/AppData/Local/Programs/Python/Python35/Scripts/pylint.exe"
}

이런 식으로 pylint가 함께 사용되는 것은 이 글에서 설치한 (Don Jayamanne의) "Python" 확장 도구에 한해서입니다. 즉, 다른 확장 도구를 설치하면 lint 기능이 없을 수도 있고 lint 경로를 제공해주는 방법도 다를 수 있습니다. (Don Jayamanne의) "Python" 확장 도구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설명은 다음의 문서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DonJayamanne/pythonVSCode 
; https://github.com/DonJayamanne/pythonVSCode/wiki




이 정도면... python을 Visual Studio Code에서 실습하는 데 크게 어려움은 없을 것입니다. ^^



db 연동 코드 조각과,

# pip install pymysql

import pymysql

dbURL = '...'
dbPort = 3306
dbUser = '..'
dbPass = '...'

conn = pymysql.connect(host=dbURL, port=dbPort, user=dbUser, passwd=dbPass, db='testdb',
    charset='utf8', use_unicode=True)

sql = "INSERT INTO test(name, age, addr) VALUES (%s, %s, %s);"
cur = conn.cursor()
cur.execute(sql, ("홍길동", "25", "서울"))
conn.commit()

sql = "SELECT * FROM testdb.test"
cur = conn.cursor()
cur.execute(sql)
result = cur.fetchall()
conn.commit()

print(result)
print(type(result))

conn.close()

크롤링 코드 조각!

# pip install beautifulsoup4

import urllib.request
import bs4

web_page = urllib.request.urlopen('https://www.naver.com')
result = bs4.BeautifulSoup(web_page, 'html.parser')
news_list = result.find_all('img', class_='news_logo')

for news in news_list:
    print(news['alt'], end=',')

/* 출력 결과
뉴시스,한겨레,스포탈코리아,헤럴드경제,뉴스타파,국민일보,KBS World,JTBC,지지통신,아이뉴스24,머니투데이,디지털타임스,노컷뉴스,문화일보,지디넷코리아,중부일보,기호일보,경인일보,법률신문,국방일보,머니에스,뉴스엔,법률방송뉴스,인벤,
*/



Django 기본 실습
// 설치
c:\temp> pip install Django

c:\temp> cd d:\mywork

// 기본 프로젝트 코드 생성
d:\mywork> django-admin startproject myapp

d:\mywork> cd myapp

// 실행
d:\mywork\myapp> python manage.py runserver 8000
Watching for file changes with StatReloader
Performing system checks...

System check identified no issues (0 silenced).

You have 18 unapplied migration(s). Your project may not work properly until you apply the migrations for app(s): admin, auth, contenttypes, sessions.
Run 'python manage.py migrate' to apply them.
August 05, 2021 - 10:35:17
Django version 3.2.6, using settings 'myapp.settings'
Starting development server at http://127.0.0.1:8000/
Quit the server with CTRL-BREAK.

// Django 환경의 shell
// d:\mywork\myapp> python manage.py shell

// 프로젝트 내에 또 다른 app 생성
d:\mywork\myapp> python manage.py startapp bbs

/*
./myapp/settings.py에 "INSTALLED_APPS"에 "bbs" 추가

INSTALLED_APPS = [
    'django.contrib.admin',
    'django.contrib.auth',
    'django.contrib.contenttypes',
    'django.contrib.sessions',
    'django.contrib.messages',
    'django.contrib.staticfiles',
    'bbs'
]
*/

// model 및 view(Generic View - View, TemplateView, RedirectView, DetailView, ListView) 추가하고,

// 추가된 model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scheme 만드는 python 스크립트 파일 생성 (nnnn_initial.py)
d:\mywork\myapp> python manage.py makemigrations

// /migrations 디렉터리에 있는 스크립트를 기반으로 한 물리적인 데이터베이스 scheme 동기화(settings.py에 지정된 DB 연결 문자열 정보 기반)
d:\mywork\myapp> python manage.py migrate

// 관리자 계정 설정
d:\mywork\myapp> python manage.py createsuperuser
Username (leave blank to use 'testusr'): testusr
Email address: testusr@test.com
Password:
Password (again):
Superuser created successfully.

// 관리자 계정 확인
// http://127.0.0.1:8000/admin

// virtualenv 설치
c:\temp> pip install virtualenv

// 새로운 virtualenv 생성
c:\temp> virtualenv myapp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20/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9-04-02 05시48분
[송상훈] vscode 에 대한 궁금증이 많이 해결되었습니다.
잘 보았습니다.
다른 것도 찾아 봐야겠습니다. ^^
[guest]
2021-01-07 09시05분
[손님2] 와 이 글 덕분에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앞으로 적게 일하고 많이 버시길 바랍니다
[guest]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83정성태12/4/201723381디버깅 기술: 110. 비동기 코드 실행 중 예외로 인한 ASP.NET 프로세스 비정상 종료 현상 [1]
11382정성태12/4/201721921오류 유형: 436. System.Data.SqlClient.SqlException (0x80131904): Connection Timeout Expired 예외 발생 시 "[Pre-Login] initialization=48; handshake=1944;" 값의 의미
11381정성태11/30/201718403.NET Framework: 702. 한글이 포함된 바이트 배열을 나눈 경우 한글이 깨지지 않도록 다시 조합하는 방법(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1380정성태11/30/201718433디버깅 기술: 109. windbg - (x64에서의 인자 값 추적을 이용한) Thread.Abort 시 대상이 되는 스레드를 식별하는 방법
11379정성태11/30/201719133오류 유형: 435. System.Web.HttpException - Session state has created a session id, but cannot save it because the response was already flushed by the application.
11378정성태11/29/201720604.NET Framework: 701. 한글이 포함된 바이트 배열을 나눈 경우 한글이 깨지지 않도록 다시 조합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377정성태11/29/201719868.NET Framework: 700. CommonOpenFileDialog 사용 시 사용자가 선택한 파일 목록을 구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1376정성태11/28/201724263VS.NET IDE: 123. Visual Studio 편집기의 \r\n (crlf) 개행을 \n으로 폴더 단위로 설정하는 방법
11375정성태11/28/201719052오류 유형: 434. Visual Studio로 ASP.NET 디버깅 중 System.Web.HttpException - Could not load type 오류
11374정성태11/27/201724148사물인터넷: 14. 라즈베리 파이 - (윈도우의 NT 서비스처럼) 부팅 시 시작하는 프로그램 설정 [1]
11373정성태11/27/201723135오류 유형: 433. Raspberry Pi/Windows 다중 플랫폼 지원 컴파일 관련 오류 기록
11372정성태11/25/201726130사물인터넷: 13. 윈도우즈 사용자를 위한 라즈베리 파이 제로 W 모델을 설정하는 방법 [4]
11371정성태11/25/201719791오류 유형: 432. Hyper-V 가상 스위치 생성 시 Failed to connect Ethernet switch port 0x80070002 오류 발생
11370정성태11/25/201719805오류 유형: 431. Hyper-V의 Virtual Switch 생성 시 "External network" 목록에 특정 네트워크 어댑터 항목이 없는 경우
11369정성태11/25/201721769사물인터넷: 12.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 및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상대 좌표, 휠) [1]
11368정성태11/25/201727396.NET Framework: 699. UDP 브로드캐스트 주소 255.255.255.255와 192.168.0.255의 차이점과 이를 고려한 C# UDP 서버/클라이언트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367정성태11/25/201727478개발 환경 구성: 337. 윈도우 운영체제의 route 명령어 사용법
11366정성태11/25/201719127오류 유형: 430. 이벤트 로그 - Cryptographic Services failed while processing the OnIdentity() call in the System Writer Object.
11365정성태11/25/201721373오류 유형: 429. 이벤트 로그 - User Policy could not be updated successfully
11364정성태11/24/201723324사물인터넷: 11.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2]
11363정성태11/23/201723319사물인터넷: 10.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두 번째 이야기)
11362정성태11/22/201719739오류 유형: 428. 윈도우 업데이트 KB4048953 - 0x800705b4 [2]
11361정성태11/22/201722517오류 유형: 427. 이벤트 로그 - Filter Manager failed to attach to volume '\Device\HarddiskVolume??' 0xC03A001C
11360정성태11/22/201722383오류 유형: 426. 이벤트 로그 - The kernel power manager has initiated a shutdown transition.
11359정성태11/16/201721869오류 유형: 425. 윈도우 10 Version 1709 (OS Build 16299.64) 업그레이드 시 발생한 문제 2가지
11358정성태11/15/201726676사물인터넷: 9. Visual Studio 2017에서 Raspberry Pi C++ 응용 프로그램 제작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