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Linux: 1. 리눅스 <-> 윈도우 원격 접속 프로그램 사용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5098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리눅스 <-> 윈도우 원격 접속 프로그램 사용

VNC 이외에 괜찮은 원격 접속 방법이 리눅스에 있다는 것은 처음 알았군요. 단지, 리눅스 종류가 워낙 다양하다 보니 모든 버전이 지원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일단, 무료로 쓸 수 있는 FreeNX라는 프로그램이 있는데요.

편리한 리눅스 원격 접속프로그램 NX
; http://www.ubuntuk.com/tip/23864

X Window 원격 접속 -- FreeNX
; http://pplane.net/entry/자동-저장-문서-5

우분투에서 원격제어 (FreeNX) 사용하기
; http://xepi.tistory.com/tag/NX

마침, 회사에 아무도 쓰지 않는 노트북이 있어서 "우분투"를 설치하고 FreeNX를 설치해 보았습니다.

아래의 웹 사이트에서 NX 제품의 무료 버전을 설치할 수 있는데,

NX 3.5.0 Download
; http://www.nomachine.com/download.php

위의 웹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링크 중에서 "NX Free Edition for Linux"를 선택해서 들어가면, x86 / x64에 따라 각각 RPM i386, DEP i386, Compressed TAR i386의 3가지 분류로 다운로드가 제공됩니다. 이 중에서 자신의 Linux 환경에 맞는 것을 고르면 되는데, 제 경우에는 Ubuntu여서 "NX Free Edition for Linux DEB i386"을 선택했습니다.

NX Free Edition for Linux DEB i386
; http://www.nomachine.com/download-package.php?Prod_Id=3501

그럼, client/node/server에 대해 각각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링크를 제공하는데 모두 다운로드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의존관계가 있어서 client, node, server 순으로 우분투에 전부 설치해 주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또 한 가지 놀랐는데요. ^^ 해당 파일들을 그냥 Firefox 웹 브라우저에서 다운로드 해서 더블 클릭해주면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가 뜨면서 설치까지 자연스럽게 되었습니다. 이 정도면, 윈도우에서 EXE 설치 파일 실행하는 것과 다름없는데 - RPM 설치를 별도로 명령행에서 해주어야 한다고 생각했었기 때문에 - 정말 편해진 것을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참고로, 저는 리눅스를 거의 사용해 본 적이 없는 개발자입니다. ^^)

하지만, 이렇게만 설치했다고 접속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의 명령어를 통해서 SSH 서비스를 마저 실행해 주어야 합니다. (아래는, ssh 설치 및 마지막 확인을 22번 포트가 열려있는지 검사하기 위한 콘솔 출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root@LinuxX86:~# sudo apt-get install ssh
패키지 목록을 읽는 중입니다... 완료
의존성 트리를 만드는 중입니다 
상태 정보를 읽는 중입니다... 완료
다음 패키지를 더 설치할 것입니다:
  openssh-server ssh-import-id
제안하는 패키지:
  rssh molly-guard openssh-blacklist openssh-blacklist-extra
다음 새 패키지를 설치할 것입니다:
  openssh-server ssh ssh-import-id
0개 업그레이드, 3개 새로 설치, 0개 제거 및 205개 업그레이드 안 함.
318 k바이트 아카이브를 받아야 합니다.
이 작업 후 954 k바이트의 디스크 공간을 더 사용하게 됩니다.
계속 하시겠습니까 [Y/n]? y
받기:1 http://kr.archive.ubuntu.com/ubuntu/ natty/main openssh-server i386 1:5.8p1-1ubuntu3 [311 kB]
받기:2 http://kr.archive.ubuntu.com/ubuntu/ natty/main ssh all 1:5.8p1-1ubuntu3 [1,280 B]
받기:3 http://kr.archive.ubuntu.com/ubuntu/ natty/main ssh-import-id all 2.4-0ubuntu1 [5,934 B]
내려받기 318 k바이트, 소요시간 1초 (278 k바이트/초)
패키지를 미리 설정하는 중입니다...
전에 선택하지 않은 openssh-server 패키지를 선택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읽는중 ...현재 131759개의 파일과 디렉터리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openssh-server 패키지를 푸는 중입니다 (.../openssh-server_1%3a5.8p1-1ubuntu3_i386.deb에서) ...
전에 선택하지 않은 ssh 패키지를 선택합니다.
ssh 패키지를 푸는 중입니다 (.../ssh_1%3a5.8p1-1ubuntu3_all.deb에서) ...
전에 선택하지 않은 ssh-import-id 패키지를 선택합니다.
ssh-import-id 패키지를 푸는 중입니다 (.../ssh-import-id_2.4-0ubuntu1_all.deb에서) ...
ureadahead에 대한 트리거를 처리하는 중입니다 ...
ureadahead will be reprofiled on next reboot
ufw에 대한 트리거를 처리하는 중입니다 ...
man-db에 대한 트리거를 처리하는 중입니다 ...
openssh-server (1:5.8p1-1ubuntu3) 설정하는 중입니다 ...
Creating SSH2 RSA key; this may take some time ...
Creating SSH2 DSA key; this may take some time ...
Creating SSH2 ECDSA key; this may take some time ...
ssh start/running, process 2269
ssh (1:5.8p1-1ubuntu3) 설정하는 중입니다 ...
ssh-import-id (2.4-0ubuntu1) 설정하는 중입니다 ...

root@LinuxX86:~# netstat -an | grep 22
tcp        0      0 0.0.0.0:22              0.0.0.0:*               LISTEN     
tcp6       0      0 :::22                   :::*                    LISTEN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12233    /tmp/orbit-root/linc-560-0-1518fc7536d6f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12512    /tmp/orbit-root/linc-565-0-4f2232506ca1d
unix  3      [ ]         STREAM     CONNECTED     95922    
unix  3      [ ]         STREAM     CONNECTED     89422    
unix  3      [ ]         STREAM     CONNECTED     89227    @/tmp/dbus-fOkFW0NrVY
unix  3      [ ]         STREAM     CONNECTED     89226    
unix  3      [ ]         STREAM     CONNECTED     14229    @/tmp/dbus-Sak9TTKEjZ
unix  3      [ ]         STREAM     CONNECTED     14228    
unix  3      [ ]         STREAM     CONNECTED     13422    @/tmp/dbus-Sak9TTKEjZ
unix  3      [ ]         STREAM     CONNECTED     13229    @/dbus-vfs-daemon/socket-gfqq0cYX
unix  3      [ ]         STREAM     CONNECTED     13228    
unix  3      [ ]         STREAM     CONNECTED     13227    @/dbus-vfs-daemon/socket-WorU5Rtl
unix  3      [ ]         STREAM     CONNECTED     13226    
unix  3      [ ]         STREAM     CONNECTED     13223    @/tmp/dbus-Sak9TTKEjZ
unix  3      [ ]         STREAM     CONNECTED     13222    
unix  3      [ ]         STREAM     CONNECTED     12822    @/tmp/dbus-Sak9TTKEjZ
unix  3      [ ]         STREAM     CONNECTED     12722    
unix  3      [ ]         STREAM     CONNECTED     12514    /tmp/orbit-root/linc-565-0-4f2232506ca1d
unix  3      [ ]         STREAM     CONNECTED     12282    @/tmp/dbus-Sak9TTKEjZ
unix  3      [ ]         STREAM     CONNECTED     12281    
unix  3      [ ]         STREAM     CONNECTED     12279    @/tmp/.X11-unix/X0
unix  3      [ ]         STREAM     CONNECTED     12278    
unix  3      [ ]         STREAM     CONNECTED     12237    @/tmp/dbus-D8SLrW5Y4G
unix  3      [ ]         STREAM     CONNECTED     12236    
unix  3      [ ]         STREAM     CONNECTED     12235    /tmp/orbit-root/linc-560-0-1518fc7536d6f
unix  3      [ ]         STREAM     CONNECTED     12234    
unix  3      [ ]         STREAM     CONNECTED     12232    /tmp/orbit-root/linc-52a-0-383f5f20ef551
unix  3      [ ]         STREAM     CONNECTED     12231    
unix  3      [ ]         STREAM     CONNECTED     12217    @/tmp/.X11-unix/X0
unix  3      [ ]         STREAM     CONNECTED     12216    
unix  3      [ ]         STREAM     CONNECTED     9229     /var/run/dbus/system_bus_socket
unix  3      [ ]         STREAM     CONNECTED     9228     
unix  3      [ ]         STREAM     CONNECTED     7722     /var/run/dbus/system_bus_socket
root@LinuxX86:~# 

여기까지 했으면, 우분투 쪽의 서버 설치는 완료된 것입니다. 이제 윈도우 같으면 mstsc.exe와 같은 클라이언트 측 접속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는데요. 저는 윈도우 7에서 우분투 쪽으로 접속할 것이기 때문에 다음의 경로에서 "NX Client for Windows"를 다운로드했습니다.

NX Client for Windows  
; http://www.nomachine.com/download-package.php?Prod_Id=3565

설치 후 "NX Client for Windows"를 실행해서 우분투가 설치된 PC의 IP를 지정해서 연결하면 정상적으로 원격 접속이 이뤄집니다. 비록 윈도우의 RDP 만큼은 아니지만, 확실히 VNC에 비해서는 좋아진 것을 체감할 수 있었는데... 음... 리눅스가 점점 더 편리해지는 것 같습니다. ^^




개인적으로, 위의 우분투 이외에 Hyper-V의 가상 머신에 CentOS 6까지 설치를 해놓았는데요. 아쉽게도 FreeNX 제품이 CentOS 6은 지원하지를 않았습니다. 찾아보니 다음과 같은 글이 나오는데요.

How to install FreeNX on Centos 6 and connect from intel mac
; http://www.centos.org/modules/newbb/viewtopic.php?topic_id=32959&forum=56

위의 글에 따라 아래와 같이 실행하고,

# yum groupinstall "GNOME Desktop Environment" "X Window System"

FreeNX를 설치하라는 아래의 구문은 그런 패키지가 없다고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 yum groupinstall "FreeNX and NX" 

댓글에 보면, 현재 개발중이라면서 아래의 2가지 모듈을 소개하는데요.


설치는 그런대로 잘 진행이 되었으나 아래의 명령어 실행 단계에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 nxsetup --install --clean --purge --setup-nomachine-key

참고로, CentOS의 경우 OpenSSH는 다음의 자료를 이용해서 설치를 했습니다.

CentOS SSH Installation And Configuration
; http://www.cyberciti.biz/faq/centos-ssh/

암튼, 이렇게 해보았지만 "NX Client for Windows" 프로그램에서 연결을 할 때 "Authentication failed."라는 오류만 발생할 뿐이었습니다.

Linux Terminal Services using NX and FreeNX - Troubleshooting
; http://alien.slackbook.org/dokuwiki/doku.php?id=slackware:nx 

NX> 203 NXSSH running with pid: 6721
NX> 285 Enabling check on switch command
NX> 285 Enabling skip of SSH config files
NX> 200 Connected to address: 192.168.2.21 on port: 22
NX> 202 Authenticating user: nx
NX> 208 Using auth method: publickey
NX> 204 Authentication failed.

오류 메시지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데, 해결책으로 제시된 "/var/lib/nxserver/nxhome" 폴더 자체가 없어서 포기했습니다. 오류 추적은 일단 여기까지 하고 포기! ^^ 혹시 CentOS 6 운영체제에서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성공하신 분은 공유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이외에, 반대로 리눅스에서 윈도우로 원격 데스크톱 연결하는 것도 찾을 수 있었습니다.

리눅스 컴퓨터에서 윈도우즈 컴퓨터로 원격 데스크톱 연결하는 방법 (rdesktop 사용법) 
; http://kldp.org/node/99781

iPad에서도 윈도우로의 원격 데스크톱이 되므로 별로 놀랄 일은 아니지만, 암튼 ^^ 리눅스의 상호 운영성이 편해진 것만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그 외에 freerdp라는 것도 있는데요.

freerdp 0.8.2 RPM Download
; http://pkgs.org/centos-6-rhel-6/epel-i386/freerdp-0.8.2-1.el6.i686.rpm.html

위의 RPM을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하니 다음과 같이 의존성 오류가 발생합니다.

linux_rdp_1.png

내용을 잘 보면 해결해야 할 의존성 목록이 보이는데, 동일한 웹 페이지의 하단에서 아래와 같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링크가 제공됩니다.

freerdp-libs = 0.8.2-1.el6
; http://pkgs.org/download/freerdp-libs

libfreerdpchanman.so.0
; http://pkgs.org/download/libfreerdpchanman.so.0

libfreerdpkbd.so.0
; http://pkgs.org/download/libfreerdpkbd.so.0   

freerdp-plugins = 0.8.2-1.el6
; http://pkgs.org/download/freerdp-plugins

libfreerdp.so.0
; http://pkgs.org/download/libfreerdp.so.0

직접 해보니, "freerdp-plugins = 0.8.2-1.el6", "libfreerdp.so.0" 2가지 정도만 다운로드해서 설치를 해도 의존성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리눅스의 원격 데스크톱 이야기는 여기서 끝!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4-01-12 04시31분
정성태
2017-01-10 12시58분
정성태
2020-08-03 01시15분
정성태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65정성태6/9/202117523.NET Framework: 1066. Wslhub.Sdk 사용으로 알아보는 CoInitializeSecurity 사용 제약파일 다운로드1
12664정성태6/9/202115333오류 유형: 723. COM+ PIA 참조 시 "This operation failed because the QueryInterface call on the COM component" 오류
12663정성태6/9/202117706.NET Framework: 1065. Windows Forms - 속성 창의 디자인 설정 지원: 문자열 목록 내에서 항목을 선택하는 TypeConverter 제작파일 다운로드1
12662정성태6/8/202115422.NET Framework: 1064. C# COM 개체를 PIA(Primary Interop Assembly)로써 "Embed Interop Types" 참조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61정성태6/4/202127428.NET Framework: 1063. C# - MQTT를 이용한 클라이언트/서버(Broker) 통신 예제 [4]파일 다운로드1
12660정성태6/3/202118153.NET Framework: 1062. Windows Forms - 폼 내에서 발생하는 마우스 이벤트를 자식 컨트롤 영역에 상관없이 수신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659정성태6/2/202119054Linux: 40. 우분투 설치 후 MBR 디스크 드라이브 여유 공간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 - Logical Volume Management
12658정성태6/2/202116835Windows: 194. Microsoft Store에 있는 구글의 공식 Youtube App
12657정성태6/2/202117640Windows: 193. 윈도우 패키지 관리자 - winget 설치
12656정성태6/1/202115959.NET Framework: 1061. 서버 유형의 COM+에 적용할 수 없는 Server GC
12655정성태6/1/202114603오류 유형: 722. windbg/sos - savemodule - Fail to read memory
12654정성태5/31/202115271오류 유형: 721. Hyper-V - Saved 상태의 VM을 시작 시 오류 발생
12653정성태5/31/202118513.NET Framework: 1060. 닷넷 GC에 새롭게 구현되는 DPAD(Dynamic Promotion And Demotion for GC)
12652정성태5/31/202115978VS.NET IDE: 164. Visual Studio - Web Deploy로 Publish 시 암호창이 매번 뜨는 문제
12651정성태5/31/202116193오류 유형: 720. PostgreSQL - ERROR: 22P02: malformed array literal: "..."
12650정성태5/17/202115533기타: 82. OpenTabletDriver의 버튼에 더블 클릭을 매핑 및 게임에서의 지원 방법
12649정성태5/16/202117712.NET Framework: 1059. 세대 별 GC(Garbage Collection) 방식에서 Card table의 사용 의미 [1]
12648정성태5/16/202116480사물인터넷: 66. PC -> FTDI -> NodeMCU v1 ESP8266 기기를 UART 핀을 연결해 직렬 통신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47정성태5/15/202116729.NET Framework: 1058. C# - C++과의 연동을 위한 구조체의 fixed 배열 필드 사용파일 다운로드1
12646정성태5/15/202115539사물인터넷: 65. C# - Arduino IDE의 Serial Monitor 기능 구현파일 다운로드1
12645정성태5/14/202115596사물인터넷: 64. NodeMCU v1 ESP8266 - LittleFS를 이용한 와이파이 접속 정보 업데이트파일 다운로드1
12644정성태5/14/202116862오류 유형: 719. 윈도우 - 제어판의 "프로그램 및 기능"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오류 0x800736B3
12643정성태5/14/202116833오류 유형: 718. 서버 유형의 COM+ 사용 시 0x80080005(Server execution failed) 오류 발생
12642정성태5/14/202118520오류 유형: 717. The 'Microsoft.ACE.OLEDB.12.0' provider is not registered on the local machine.
12641정성태5/13/202117330디버깅 기술: 179. 윈도우용 .NET Core 3 이상에서 Windbg의 sos 사용법
12640정성태5/13/202120943오류 유형: 716. RDP 연결 - Because of a protocol error (code: 0x112f), the remote session will be disconnected.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