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프로젝트 생성 시부터 "Enable the Visual Studio hosting process" 옵션을 끄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vshost.exe에 대한 글이 나왔군요. ^^

Visual Studio Debugging and 64 Bit .NET Applications 
; https://weblog.west-wind.com/posts/2016/Dec/19/Visual-Studio-Debugging-and-64-Bit-NET-Applications

위의 글에 보면, vshost.exe가 하는 일은 AppDomain을 생성 후 사용자가 작성한 EXE 어셈블리를 그 안에 로드해 Main 함수를 호출한다는 것입니다. 이와 함께 Visual Studio Team에 문의한 결과를 공개하고 있는데, 현재 vshost.exe가 있는 목적은 (사용되고 있지도 않는) "VB zoning feature"라는 것과 프로세스가 실행 중이지 않을 때에도 "Immediate 윈도우"에서 관련 명령어를 내려볼 수 있는 정도를 위해서라고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봤을 때 실제 디버깅을 위한 아무런 도움도 주고 있지 않으므로 vshost.exe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해도 거의 불편함이 없는 상황인 것입니다.

하지만, 반대로 기존처럼 사용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는 종종 있습니다. 위의 글에서도 나오지만, 64비트 운영체제에서 "AnyCPU"로 빌드했음에도 불구하고 vshost.exe는 32비트 프로세스가 뜬다는 점입니다. 이 때문에 vshost.exe를 64비트 프로세스로 띄우고 싶다면 명시적으로 "AnyCPU"가 아닌 "x64"로 지정해야 합니다.

사실, 개인적으로도 vshost.exe를 안 좋아해서 항상 끄고 있는데요.

프로젝트 생성시 부터 "Enable the Visual Studio hosting process" 옵션을 끄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30

이참에 Visual Studio 2015의 경우, 어떤 csproj 파일을 변경해야 할지 정리해 봤습니다.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14.0\Common7\IDE\ProjectTemplates\CSharp\Windows Root\Windows\1033\ConsoleApplication
- consoleapplication.csproj (콘솔 응용 프로그램)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14.0\Common7\IDE\ProjectTemplates\CSharp\Windows Root\Windows\1033\WindowsApplication
- windowsapplication.csproj (Windows Forms 응용 프로그램)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14.0\Common7\IDE\ProjectTemplates\CSharp\Windows Root\Windows\1033\WPFApplication
- WPFApplication.csproj (WPF 응용 프로그램)

위의 csproj 파일을 (관리자 권한의 메모장에서) 열어 PropertyGroup에 다음의 라인을 추가해 주면 됩니다.

<UseVSHostingProcess>false</UseVSHostingProcess>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7-01-21 08시19분
[spowner] 감사합니다 ^^
[guest]
2017-01-29 01시52분
[guest] 최근 업데이트로 변경된건지 경로중 이제 1033이 아니라 1042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guest]
2017-01-31 12시42분
1033은 영문 Visual Studio이고, 1042는 한글 Visual Studio에 해당합니다.
정성태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05정성태1/23/201421181개발 환경 구성: 212. Visual Studio Online과 "Monaco" 서비스 연동
1604정성태1/23/201421500오류 유형: 216. 윈도우 서버 백업 - Hyper-V 가상 머신이 백업되지 않는 경우 (2)
1603정성태1/23/201433599개발 환경 구성: 211. Hyper-V - Generation 2 유형의 VM 생성 시 ISO 부팅이 안된다면? [1]
1602정성태1/22/201423799디버깅 기술: 62. windbg - 사용자 모드 원격 디버깅
1601정성태1/22/201427420오류 유형: 215. windbg - Symbol file could not be found. Defaulted to export symbols
1600정성태1/19/201424068.NET Framework: 410.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을 Paralle.For와 함께? [1]파일 다운로드1
1599정성태1/18/201432187.NET Framework: 409.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598정성태1/17/201425509디버깅 기술: 61. NT 서비스 시작 단계에서 닷넷 메서드에 BP를 걸어 디버깅하는 방법
1597정성태1/17/201424107Phone: 9. Xamarin Android에 구글 AdMob 사용하는 방법 [1]
1596정성태1/17/201423044오류 유형: 214. Local SYSTEM 계정으로 실행된 IE에서 다운로드가 안 되는 문제
1595정성태1/16/201420038오류 유형: 213. attrib - Not resetting system file
1594정성태1/15/201422187오류 유형: 212. 마이크로소프트 라이브 계정 로그인 실패하는 경우
1593정성태1/14/201420812오류 유형: 211. ASP.NET 응용 프로그램을 IIS Express에서 디버깅할 때 "Requested registry access is not allowed" 오류 발생
1592정성태1/14/201421108오류 유형: 210. 2대의 AD가 있는 경우 도메인에 컴퓨터 추가를 실패한다면? [1]
1591정성태1/14/201423277오류 유형: 209. DebugDiag: Unable to find mscordacwks_x86_x86_[...version...].dll
1590정성태1/14/201423938오류 유형: 208. VSS Writer - NTDS 오류
1589정성태1/14/201432879Windows: 85. 컴퓨터를 껐는데도 어느 순간 자동으로 켜진다면? [2]
1588정성태1/14/201429659Windows: 84. 윈도우 7/8 - 메뉴 항목이 잔상으로 남는 문제
1587정성태1/14/201425577디버깅 기술: 60.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2)
1586정성태1/14/201427293디버깅 기술: 59.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1) [1]
1585정성태1/14/201430191VS.NET IDE: 84. Visual Studio를 이용한 파일 비교(diff)
1584정성태1/13/201432490Windows: 83. 윈도우 8 - UI가 있는 프로그램을 Local SYSTEM 권한의 세션 0 데스크톱에서 실행하는 방법
1583정성태1/13/201430485Windows: 82. 윈도우 8 - "Interactive Services Detection" 서비스 시작하는 방법 [1]
1582정성태1/12/201428958개발 환경 구성: 210. 원격 데스크톱(RDP) 접속 프로그램 - Royal TS [1]
1581정성태1/12/201430300.NET Framework: 408. 자바와 닷넷의 제네릭 차이점 - 중간 언어 및 공변/반공변 처리 [8]
1580정성태1/12/201440326.NET Framework: 407.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