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indbg - SOS 디버깅 사례 System.NullReferenceException 예외 추적

Release 모드로 빌드된 Windows Forms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 별다른 콜스택 정보 없이 예외가 발생했다면서 비정상 종료 메시지만 나오는 상황이었습니다.

메시지 창이 뜬 시점에 프로세스 풀 덤프를 남긴 후 windbg에서 살펴봤습니다.

CLR 2.0이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sos를 로드하고,

0:000> .loadby sos mscorjit

예외 정보를 확인(!PrintException)하려 했지만,

0:000> !pe
There is no current managed exception on this thread

다른 스레드에서 발생한 듯싶군요. ^^ 그럼, !threads를 이용해 예외가 발생한 스레드를 확인해 보면 됩니다.

0:000> !threads
ThreadCount: 771
UnstartedThread: 0
BackgroundThread: 770
PendingThread: 0
DeadThread: 0
Hosted Runtime: no
                                              PreEmptive                                                Lock
       ID OSID        ThreadOBJ     State   GC     GC Alloc Context                  Domain           Count APT Exception
   0    1 2544 0000000000694bb0      6020 Enabled  0000000003b10b90:0000000003b113c0 000000000068c370     0 STA
   2    2 1cac 00000000006a0630      b220 Enabled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68c370     0 MTA (Finalizer)
   5    4  2e8 000000001b3ec740      b220 Enabled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68c370     2 MTA System.NullReferenceException (0000000002a87b58)
   6    f 27bc 000000001b41f690   380b220 Enabled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68c370     0 MTA (Threadpool Worker)

(Managed 환경 기준으로) 5번 스레드임을 알았으니 문맥 전환을 해주고 다시 예외 정보를 확인합니다.

0:000> ~5s
ntdll!NtWaitForSingleObject+0x14:
00007ff9`82ba6154 c3

0:005> !pe
Exception object: 0000000002a87b58
Exception type: System.NullReferenceException
Message: Object reference not set to an instance of an object.
InnerException: <none>
StackTrace (generated):
    SP               IP               Function
    000000001E2CE820 00007FF9128C862B MyTestEXE!MyTestEXE.SampleType.CallMyMethod(MyTestEXE.SampleType, System.Text.StringBuilder)+0x4cb
    000000001E2CEBB0 00007FF9128C335D MyTestEXE!MyTestEXE.MainForm.SecondThreadFunc(System.Object)+0x8ad
    000000001E2CEF10 00007FF96CEF2C8B mscorlib_ni!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 System.Threading.ContextCallback, System.Object)+0x9b
    000000001E2CEF60 00007FF96D598C6D mscorlib_ni!System.Threading.ThreadHelper.ThreadStart(System.Object)+0x5d

물론, !clrstack 명령을 이용하셔도 됩니다.

0:005> !clrstack
OS Thread Id: 0x2e8 (5)
Child-SP         RetAddr          Call Site
000000001e2ce820 00007ff9128c335d MyTestEXE.SampleType.CallMyMethod(MyTestEXE.SampleType, System.Text.StringBuilder)
000000001e2cebb0 00007ff96cef2c8b MyTestEXE.MainForm.SecondThreadFunc(System.Object)
000000001e2cef10 00007ff96d598c6d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 System.Threading.ContextCallback, System.Object)
000000001e2cef60 00007ff972148f32 System.Threading.ThreadHelper.ThreadStart(System.Object)

그런데, 아쉽게도 소스 코드 위치를 알 수가 없습니다. 이런 경우 문제 추적을 위해 도움이 되는 방법이 해당 상황을 재현시켜 보는 것입니다. 즉, 메서드가 수행된 시점에 관련 객체들의 상태 정보와 메서드에 들어온 인자 값들의 상태 정보를 알아내면 높은 확률로 재현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

이를 위해 clrstack 명령에 -a 옵션을 주면 다음과 같이 인자 값(이 코드에서는 current와 log)과 객체(this)의 주소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0:005> !clrstack -a
OS Thread Id: 0x2e8 (5)
Child-SP         RetAddr          Call Site
000000001e2ce820 00007ff9128c335d MyTestEXE.SampleType.CallMyMethod(MyTestEXE.SampleType, System.Text.StringBuilder)
    PARAMETERS:
        this = 0x00000000029c63f0
        current = 0x00000000029f90a8
        log = 0x0000000002a87250
    LOCALS:
        0x000000001e2ce840 = 0x0000000000000000
        0x000000001e2ce848 = 0x0000000000000000
        0x000000001e2ce850 = 0x0000000000000000
        0x000000001e2ce858 = 0x0000000000000000
        0x000000001e2ce859 = 0x0000000000000001
        0x000000001e2ce860 = 0x0000000000000000
        0x000000001e2ce868 = 0x0000000000000000

...[이하 생략]...

첫 번째 인자인 "MyTestEXE.SampleType current" 값을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0:005> !dumpobj 0x00000000029f90a8
Name: MyTestEXE.SampleType
MethodTable: 00007ff912768818
EEClass: 00007ff912894250
Size: 224(0xe0) bytes
 (D:\MyTestEXE\bin\debug\MyTestEXE.exe)
Fields:
              MT    Field   Offset                 Type VT     Attr            Value Name
00007ff96d03f130  4000012       90         System.Int32  1 instance            51964 Position
00007ff96d037ec0  4000013        8        System.String  0 instance 00000000029f9188 RawData
00007ff96d025cb0  4000014       10      System.Object[]  0 instance 00000000029f9ef0 Lines
0000000000000000  4000015       18                       0 instance 00000000029f9fb8 Values
00007ff96d03f130  4000016       94         System.Int32  1 instance               70 Count
00007ff96d03f130  4000017       98         System.Int32  1 instance                0 Limit
00007ff96d037ec0  4000018       20        System.String  0 instance 000000000386aea8 MachineName
...[이하 생략]...

위의 출력은 SampleType 클래스의 멤버들을 "Value" 값과 함께 보여줍니다. 이 중에서 System.Int32와 같이 기본 자료형인 경우 "Value" 칼럼에 나온 값을 그대로 필드 값이라고 보면 됩니다. 반면 System.String, System.Object[]와 같은 참조형들은 Value에 대해 다시 한번 dumpobj를 호출해 그 객체의 내부 값을 확인해 봐야 합니다.

0:005> !dumpobj 000000000386aea8
Name: System.String
MethodTable: 00007ff96d037ec0
EEClass: 00007ff96cc3e560
Size: 46(0x2e) bytes
 (C:\WINDOWS\assembly\GAC_64\mscorlib\2.0.0.0__b77a5c561934e089\mscorlib.dll)
String: WIN2008X86
Fields:
              MT    Field   Offset                 Type VT     Attr            Value Name
00007ff96d03f130  4000096        8         System.Int32  1 instance               11 m_arrayLength
00007ff96d03f130  4000097        c         System.Int32  1 instance               10 m_stringLength
00007ff96d039908  4000098       10          System.Char  1 instance               57 m_firstChar
00007ff96d037ec0  4000099       20        System.String  0   shared           static Empty
                                 >> Domain:Value  000000000068c370:0000000002931308 <<
00007ff96d0397b8  400009a       28        System.Char[]  0   shared           static WhitespaceChars
                                 >> Domain:Value  000000000068c370:0000000002931b08 <<

위에서 보는 것처럼, MyTestEXE.SampleType의 MachineName 필드의 값은 "WIN2008X86"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운이 좋다면, 문제가 발생한 환경을 재현하는 데 성공할 것입니다. 이 방법은 간혹, CPU 100% 현상을 보일 때에도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습니다. 같은 구간을 무한 반복해서 실행하는 코드의 경우, 해당 메서드의 수행 환경만 잘 살펴봐도 왜 그런 현상에 빠졌는지를 유추해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외에, !pe 출력의 결과로 나온 offset 값을 통해 System.NullReferenceException 예외가 발생한 코드를 대략적으로 찾아낼 수도 있습니다.

0:005> !pe
Exception object: 0000000002a87b58
Exception type: System.NullReferenceException
Message: Object reference not set to an instance of an object.
InnerException: <none>
StackTrace (generated):
    SP               IP               Function
    000000001E2CE820 00007FF9128C862B MyTestEXE!MyTestEXE.SampleType.CallMyMethod(MyTestEXE.SampleType, System.Text.StringBuilder)+0x4cb
    000000001E2CEBB0 00007FF9128C335D MyTestEXE!MyTestEXE.MainForm.SecondThreadFunc(System.Object)+0x8ad
    000000001E2CEF10 00007FF96CEF2C8B mscorlib_ni!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 System.Threading.ContextCallback, System.Object)+0x9b
    000000001E2CEF60 00007FF96D598C6D mscorlib_ni!System.Threading.ThreadHelper.ThreadStart(System.Object)+0x5d

이에 대해서는 예전 글에서 한번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Windbg - 비정상 종료된 닷넷 프로그램의 StackTrace에서 보이는 offset 값 의미
; https://www.sysnet.pe.kr/2/0/1095

문제가 발생한 CallMyMethod의 jitted code address를 알아내고,

0:005> !name2ee MyTestEXE!MyTestEXE.SampleType.CallMyMethod
Module: 00007ff912762e38 (MyTestEXE.exe)
Token: 0x0000000006000008
MethodDesc: 00007ff9127687e8
Name: MyTestEXE.SampleType.CallMyMethod(MyTestEXE.SampleType, System.Text.StringBuilder)
JITTED Code Address: 00007ff9128c8160

그 값에 !pe 출력 결과에서 얻은 IP 주소(00007FF9128C862B)와 0x4cb 오프셋 값을 더한 위치(= 7FF9128C8AF6)를 계산하고, 그 위치를 JITTED Code Address 주소를 역어셈블한 코드에서 찾아내면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3/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941정성태11/6/201025098.NET Framework: 186. windbg로 확인하는 .NET CLR LCG 메서드(DynamicMethod) [1]파일 다운로드1
940정성태11/6/201025968.NET Framework: 185. windbg로 확인하는 .NET CLR 메서드파일 다운로드1
939정성태10/24/201032974Windows: 51. RDP로 접속한 Windows Server 2008 R2 환경에서 Aero Glass 활성화 [1]
938정성태10/23/201024722디버깅 기술: 29. Windbg - Hyper-V 윈도우 7 원격 디버깅 구성 [1]
937정성태10/22/201030842DDK: 5. NT Legacy 드라이버: 프로세스(EXE) 생성/제거 모니터링 [3]파일 다운로드1
936정성태10/21/201029866DDK: 4. Device Driver 응용 프로그램의 빌드 스크립트 - 두 번째 이야기 [2]파일 다운로드1
935정성태10/17/201030459디버깅 기술: 28. Windbg - 윈도우 핸들 테이블 [3]
934정성태10/11/201033469디버깅 기술: 27. Windbg - Local Kernel Debug 모드 [2]
933정성태10/10/201025631.NET Framework: 184. 닷넷에서 호출 스택의 메서드에 대한 인자 값 확인이 가능할까? [2]파일 다운로드1
932정성태10/10/201028881DDK: 3. NT Legacy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C#에서 Port 입출력파일 다운로드1
931정성태9/30/201023424오류 유형: 108. Net.Tcp Listener Adapter 서비스 시작 실패
930정성태9/30/201022722웹: 16.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 일시 정지/시작을 스크립트에서 감지
929정성태9/17/201024004웹: 15. IE 9 - 작업 표시줄의 웹 사이트 바로가기 사용자 정의 - JumpLists [3]파일 다운로드1
928정성태9/16/201028193VC++: 42. 쓰기 전용 파일(예: 로그 파일)의 동기화 방법파일 다운로드1
927정성태9/14/201038055VC++: 41. UTF-8 포맷의 INI 파일에 대한 GetPrivateProfile... API 사용 불가 [2]
926정성태9/9/201027321Team Foundation Server: 41. 빌드 스크립트에 Code Coverage 추가 [1]파일 다운로드1
925정성태9/8/201031255Team Foundation Server: 40. Visual Studio 2010 - Code Coverage 결과를 외부 XML 파일로 출력하는 명령행 도구 제작 [1]파일 다운로드1
924정성태9/6/201021490개발 환경 구성: 88. SCVMM이 설치된 도메인에 참여하지 않은 Hyper-V 호스트 추가
923정성태9/5/201027526오류 유형: 107. SCVMM Agent 설치 오류 - Failed to configure the WS-Management service.
922정성태9/4/201036110오류 유형: 106. Hyper-V 가상 머신의 네트워크 끊김 현상
921정성태9/2/201030171DDK: 2. Device Driver 응용 프로그램의 빌드 스크립트 [2]파일 다운로드1
920정성태9/1/201034633오류 유형: 105. WMI - The RPC server is unavailable [2]
919정성태8/30/201040681DDK: 1. Visual Studio 2010 - Device Driver 제작- Hello World 예제 [3]파일 다운로드1
918정성태8/28/201026822개발 환경 구성: 87. Hyper-V의 네트워크 유형 (3)
917정성태8/26/201021791개발 환경 구성: 86. "Routing and Remote Access"의 "Routing" 기능 활성화 방법
916정성태8/25/201021110개발 환경 구성: 85. 가상 네트워크에 LAN 어댑터 보이거나 감추는 방법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