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Java: 1. 닷넷 개발자가 처음 실습해 본 서블릿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463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닷넷 개발자가 처음 실습해 본 서블릿

서블릿 테스트를 하려면 개발환경을 구축해야 겠지요. ^^ 아래의 항목들을 다운로드 해서 설치하고,

JDK (제 경우에는 JDK 6 설치)
; http://www.oracle.com/technetwork/java/javase/downloads/index.html

Eclipse IDE for Java Developers
; http://www.eclipse.org/downloads

아파치 톰캣
; http://tomcat.apache.org/
; https://www.sysnet.pe.kr/2/0/798

준비가 되었으면, Eclipse를 실행해서 예제 프로젝트를 생성한 후, HelloWorld.java 파일을 하나 추가해야 겠지요. ^^

그런데, import 구문 코드 작성하는 단계부터 다음과 같이 오류가 발생할텐데요.

how_to_test_servlet_1.png
"
The import javax.servlet cannot be resolved
"


해답은 다음의 글에 나오더군요.

[java]import javax.servlet.jsp.* can not be resolved 
; http://arima603.tistory.com/entry/javaimport-javaxservletjsp-can-not-be-resolved

즉, 기본적으로 서블릿 관련한 jar 파일이 JDK에 제공되지 않아서 그런 것인데, 이 파일들은 서블릿을 구동할 수 있는 웹 서버 측에서 보통 함께 제공되는 것 같습니다. 이 때문에 Tomcat의 압축을 해제한 '[설치폴더]\lib'에 있는 servlet-api.jar, jsp-api.jar 2개의 파일을 이클립스에 알려줘야 합니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폴더를 오른쪽 버튼을 눌러 "Build Path" / "Configure Build Path..." 메뉴를 선택해서 톰캣에 있는 jar 파일들을 알려주면 됩니다.

how_to_test_servlet_2.png

그다음, 마저 서블릿 예제를 완성시키고 "Ctrl + B (Build All)" 키를 눌러 컴파일 시킵니다.

import java.io.*;
import javax.servlet.*;
import javax.servlet.http.*;

public class HelloWorld extends HttpServlet
{
    private static final long serialVersionUID = 1L;
    
    public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res.setContentType("text/html");
        PrintWriter out = res.getWriter();
        
        out.println("<html><body>Hello World</body></html>");
        
            }
}

그럼, 해당 프로젝트의 하위 /bin 폴더에 HelloWorld.class 파일이 생성되는데 이것을 웹 서버(톰캣)가 설치된 하위 "\webapps\ROOT\WEB-INF"에 "classes" 폴더를 생성하고 복사합니다.

"...[톰캣 압축 해제 폴더]\webapps\ROOT\WEB-INF\classes\HelloWorld.class"

아직 끝이 아닙니다. ^^ 아쉽게도 톰캣에서는 기본적으로 servlet을 활성화 해놓지 않고 있어서, 이에 대한 설정을 변경해 주어야 합니다.

JSP 0708 - TOMCAT Servlet을 돌리기위한 기본설정 2
; http://dandyboys.tistory.com/entry/JSP-0708-TOMCAT-Servlet-을-돌리기위한-기본설정-2

위의 글에 따라서 /conf/web.xml 파일을 편집기로 열고, invoker 관련 서블릿 구성(servlet, servlet-mapping)에 대해 주석을 해제합니다.

<servlet>
    <servlet-name>invoker</servlet-name>
    <servlet-class>
        org.apache.catalina.servlets.InvokerServlet
    </servlet-class>
    <init-param>
        <param-name>debug</param-name>
        <param-value>0</param-value>
    </init-param>
    <load-on-startup>2</load-on-startup>
</servlet>

<servlet-mapping>
    <servlet-name>invoker</servlet-name>
    <url-pattern>/servlet/*</url-pattern>
</servlet-mapping>

위의 설정만 해제하고 Tomcat 6에서 웹서버를 구동하면 콘솔 화면에서 다음과 같은 오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Error deploying web application directory docs
java.lang.SecurityException: Servlet of class org.apache.catalina.servlets.InvokerServlet is privileged and cannot be loaded by this web application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Wrapper.loadServlet(StandardWrapper.java:1146)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Wrapper.load(StandardWrapper.java:993)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Context.loadOnStartup(StandardContext.java:4421)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Context.start(StandardContext.java:4734)
        at org.apache.catalina.core.ContainerBase.addChildInternal(ContainerBase.java:799)
        at org.apache.catalina.core.ContainerBase.addChild(ContainerBase.java:779)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Host.addChild(StandardHost.java:601)
        at org.apache.catalina.startup.HostConfig.deployDirectory(HostConfig.java:1079)
        at org.apache.catalina.startup.HostConfig.deployDirectories(HostConfig.java:1002)
        at org.apache.catalina.startup.HostConfig.deployApps(HostConfig.java:506)
        at org.apache.catalina.startup.HostConfig.start(HostConfig.java:1317)
        at org.apache.catalina.startup.HostConfig.lifecycleEvent(HostConfig.java:324)
        at org.apache.catalina.util.LifecycleSupport.fireLifecycleEvent(LifecycleSupport.java:142)
        at org.apache.catalina.core.ContainerBase.start(ContainerBase.java:1065)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Host.start(StandardHost.java:840)
        at org.apache.catalina.core.ContainerBase.start(ContainerBase.java:1057)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Engine.start(StandardEngine.java:463)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Service.start(StandardService.java:525)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Server.start(StandardServer.java:754)
        at org.apache.catalina.startup.Catalina.start(Catalina.java:595)
        at sun.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0(Native Method)
        at sun.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NativeMethodAccessorImpl.java:39)
        at sun.reflect.DelegatingMethodAccessorImpl.invoke(DelegatingMethodAccessorImpl.java:25)
        at 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97)
        at org.apache.catalina.startup.Bootstrap.start(Bootstrap.java:289)
        at org.apache.catalina.startup.Bootstrap.main(Bootstrap.java:414)

찾아보니, ^^ 다음과 같은 글이 나옵니다.

1.톰캣 6.0 서블릿 로딩 설정(context.xml)
; http://jaehwacho.springnote.com/pages/2499106.xhtml

따라서, /conf/context.xml 파일을 열어서 Context노드에 reloadable, privileged 속성을 다음과 같이 추가해 주면 됩니다.

<Context reloadable="true" privileged="true">

휴~~~, 이제 끝입니다. ^^ 마지막으로 '/bin/startup.bat' 파일을 실행하면 톰캣 웹 서버가 구동되고, "http://localhost:8080/servlet/HelloWorld" 주소를 웹 브라우저로 방문하면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1/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755정성태8/6/200924599.NET Framework: 154. 이벤트 2중 구독
754정성태7/16/200937158VS.NET IDE: 64. Visual Studio 2010 - 64bit 혼합 모드 디버깅 지원
753정성태7/15/200935717.NET Framework: 153. WPF와 WinForm의 Shown 이벤트 시점
752정성태7/14/200931371개발 환경 구성: 46. .NET Service Bus 응용 사례: SocketShifter [2]파일 다운로드1
751정성태7/9/200932123.NET Framework: 152. 순환 참조와 XmlSerializer파일 다운로드1
750정성태7/7/200932789.NET Framework: 151. Team Explorer가 설치되지 않은 PC에서 System.InvalidProgramException 예외 발생파일 다운로드1
748정성태7/2/200931343.NET Framework: 150. WPF - Property Element 사용 의미파일 다운로드2
747정성태7/1/200950159.NET Framework: 149. WPF - UI 업데이트를 바로 반영하고 싶다면? [3]파일 다운로드1
746정성태6/25/200937329.NET Framework: 148. WPF - 데이터 바인딩 시의 예외 처리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745정성태6/22/200929049.NET Framework: 147. WPF - Binding에 Sibling 요소 지정 [2]파일 다운로드1
744정성태6/21/200927497.NET Framework: 146. WPF - 중첩된 ScrollViewer의 크기 제어 [2]파일 다운로드1
743정성태6/17/200931879.NET Framework: 145. Unity Container 개체 풀이
742정성태6/17/200931289.NET Framework: 144. WPF - FrameworkElement.Parent 속성이 null이라면? [3]
740정성태6/12/200928683.NET Framework: 143. WPF - Transform의 역변환파일 다운로드1
739정성태6/8/200942018.NET Framework: 142. WPF - Grid 컨트롤의 ShowGridLine 개선 [5]파일 다운로드1
737정성태6/6/200948849.NET Framework: 141. Win32 Interop - 크기가 정해지지 않은 배열을 C++에서 C#으로 전달하는 경우파일 다운로드2
734정성태6/4/200930457.NET Framework: 140. WPF - CellPadding 속성을 구현하는 Grid Layout [2]파일 다운로드1
733정성태5/29/200935874.NET Framework: 139. WPF - "M/d/yyyy h:mm:ss tt" 형식으로만 날짜를 출력하는 문제
732정성태5/27/200930864Team Foundation Server: 32. 팀 빌드 오류 확인 방법
731정성태5/27/200925818Team Foundation Server: 31. 팀 빌드 스케줄 확인 방법
730정성태5/26/200931972VS.NET IDE: 63. Visual Studio 2010 - Parallel Stacks [1]
729정성태5/25/200931282.NET Framework: 138. InternalsVisibleTo와 Public Key 값
728정성태5/23/200941654.NET Framework: 137. C#에서 Union 구조체 다루기파일 다운로드1
727정성태5/22/200926242오류 유형: 82. 메서드가 많은 경우 프록시 클래스 생성 실패
726정성태5/21/200925599VS.NET IDE: 62. Visual Studio 2010 Beta1 버그 피드백 - EnC기능 오류 [1]
725정성태5/21/200929614VS.NET IDE: 61. Visual Studio 2010 베타1과 Visual Studio 2008의 혼합 개발 [2]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