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C++: 113. C++ 클래스 상속 관계의 vtable 생성 과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400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VC++: 112. C++의 가상 함수 테이블 (vtable)은 언제 생성될까요?
; https://www.sysnet.pe.kr/2/0/11167

VC++: 113. C++ 클래스 상속 관계의 vtable 생성 과정
; https://www.sysnet.pe.kr/2/0/11168

VC++: 114. C++ vtable의 가상 함수 호출 가로채기
; https://www.sysnet.pe.kr/2/0/11169




C++ 클래스 상속 관계의 vtable 생성 과정

지난 글에서 클래스 상속 관계의 메모리 구조와,

C++ 클래스의 상속에 따른 메모리 구조
; https://www.sysnet.pe.kr/2/0/11164

vtable이 언제 어느 곳에 생성되는지에 대해 이야기를 했었는데요.

C++의 가상 함수 테이블 (vtable)은 언제 생성될까요?
; https://www.sysnet.pe.kr/2/0/11167

기왕 살펴본 김에, vtable의 내용까지 마저 파헤쳐 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습 예제는 아래의 소스 코드로 시작합니다.

#include "stdafx.h"

class A
{
public:
    int n1 = 1;

    void func1() { n1++; }

    virtual void vfunc1() { }
};

class BonA : A
{
public:
    int n2 = 2;

    void func2() { n2++; }

    virtual void vfunc2() { }
};

class ConBonA : BonA
{
public:
    int n3 = 2;

    void func3() { n3++; }

    virtual void vfunc3() { }
};

int main()
{
    ConBonA *table1 = new ConBonA();

    return 0;
}

new ConBonA 코드로 메모리가 할당되고 그 위치를 ecx 포인터에 this 값으로 전달하면서 생성자를 호출합니다.

    38:     ConBonA *table1 = new ConBonA();
00CE1A29 8B 8D 20 FF FF FF    mov         ecx,dword ptr [table1]  
00CE1A40 E8 CE F6 FF FF       call        ConBonA::ConBonA (0CE1113h)  

ConBonA의 생성자를 가보면, 자신의 클래스에서 해야 하는 일보다 먼저 기반 클래스의 생성자를 호출합니다.

ConBonA::ConBonA:
00CE18E6 E8 12 FA FF FF       call        BonA::BonA (0CE12FDh)  
...[생략: 초기화 코드]...
00CE1914 C3                   ret  

다시 BonA 생성자로 가면 마찬가지로 자신의 클래스를 위한 초기화 코드보다는 기반 클래스의 생성자를 호출합니다.

BonA::BonA:
00CE1876 E8 28 FA FF FF       call        A::A (0CE12A3h)  
...[생략: 초기화 코드]...
00CE18A4 C3                   ret  

가장 상단에 위치한 기반 클래스 A는 메모리가 할당된 위치에 "class A"를 컴파일하면서 구성해놓았던 "vtable"의 주소를 new로 할당된 메모리의 첫 번째 4바이트에 씁니다.

A::A:
00CE1823 8B 45 F8             mov         eax,dword ptr [this]  
00CE1826 C7 00 34 7B CE 00    mov         dword ptr [eax],offset A::`vftable' (0CE7B34h)  
...[생략: n1 = 1과 같은 생성자 함수의 초기화 코드]...
00CE183F C3                   ret  

A::A() 생성자가 반환되면 이후 BonA::BonA() 생성자 이후의 코드가 실행되는데,

BonA::BonA:
00CE1873 8B 4D F8             mov         ecx,dword ptr [this]  
00CE1876 E8 28 FA FF FF       call        A::A (0CE12A3h)  
00CE187B 8B 45 F8             mov         eax,dword ptr [this]  
00CE187E C7 00 40 7B CE 00    mov         dword ptr [eax],offset BonA::`vftable' (0CE7B40h)  
...[생략: n2 = 2와 같은 생성자 함수의 초기화 코드]
00CE18A4 C3                   ret  

보는 바와 같이, 기반 클래스에서 썼던 vtable 주소를 다시 자신의 vtable 위치로 덮어쓰고 있습니다. 이후 다시 ConBonA::ConBonA 생성자의 남은 코드로 넘어가면,

ConBonA::ConBonA:
00CE18E6 E8 12 FA FF FF       call        BonA::BonA (0CE12FDh)  
00CE18EB 8B 45 F8             mov         eax,dword ptr [this]  
00CE18EE C7 00 50 7B CE 00    mov         dword ptr [eax],offset ConBonA::`vftable' (0CE7B50h)  
...[생략: n3 = 3과 같은 생성자 함수의 초기화 코드]
00CE1914 C3                   ret  

결국, 마지막 클래스의 생성자 실행이 완료된 시점에는 vtable을 가리키는 [this + 0] 항목의 값이 ConBonA의 vtable 주소로 바뀌게 됩니다.




그럼, 컴파일러가 생성한 vtable의 구조를 한번 들여다볼까요?

우선, class A의 정의를 통해 컴파일러는 다음과 같은 vtable 주소를 하나 마련할 수 있습니다.

[오프셋 0: A::vfunc1 가상 함수의 주소]

그다음, class BonA를 컴파일하면서 이것이 A 클래스를 상속받고 있음을 알기 때문에 BonA의 vtable에는 A 클래스의 가상 함수 목록이 병합됩니다.

[오프셋 4: BonA::vfunc2 가상 함수의 주소]
[오프셋 0: A::vfunc1 가상 함수의 주소]

마찬가지로 class ConBonA의 vtable 구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오프셋 8: ConBonA::vfunc3 가상 함수의 주소]
[오프셋 4: BonA::vfunc2 가상 함수의 주소]
[오프셋 0: A::vfunc1 가상 함수의 주소]

이쯤에서 약간 구조를 바꿔보겠습니다. 가령, 상속받은 클래스에서 기반 클래스의 virtual 함수를 재정의했다면 어떻게 될까요?

class ConBonA : BonA
{
public:
    int n3 = 2;

    void func3() { n3++; }

    virtual void vfunc2() { n3++; } // BonA::vfunc2의 가상 함수를 재정의
};

당연히 C++ 컴파일러 입장에서는 이 사실을 인지하게 되고, vtable을 병합하는 과정에서 이 주소를 반영해,

[오프셋 4: ConBonA::vfunc2 가상 함수의 주소]
[오프셋 0: A::vfunc1 가상 함수의 주소]

ConBonA의 vtable을 위와 같이 생성해 줍니다. 컴파일러의 이런 수고로움 덕분에 다음과 같이 OOP의 전형적인 polymorphism이 가능하게 된 것입니다.

ConBonA *table1 = new ConBonA();
BonA *bInst = (BonA *)table1;
bInst->vfunc2();

위에서 table1 포인터는 ConBonA의 생성자가 실행된 이후 다음과 같은 내용의 주소를 가리키게 되고,

ConBonA table1 객체 (16바이트)

    [오프셋12: 필드 ConBonA::n3]
    [오프셋 8: 필드 BonA::n2]  
    [오프셋 4: 필드 A::n1]     
    [오프셋 0: ConBonA::vtable 포인터]

예전 글의 내용에 따라, "BonA *bInst = (BonA *)table1;"처럼 형 변환을 해도 bInst 포인터는 여전히 [오프셋 0] 위치의 값을 가리키는 포인터이므로, ConBonA::vtable의 내용으로는 vfunc2 가상 함수의 주소가 ConBonA 클래스에 정의된 것을 가리키기 때문에 다형성이 C++ 언어에서 구현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하위 클래스에서 새로운 가상 함수를 정의하지도 않고 기반 클래스의 가상 함수를 재정의하지도 않았다면 어떻게 될까요?

class ConBonA : BonA
{
public:
    int n3 = 2;

    void func3() { n3++; }
};

얼핏 생각해 보면, 굳이 ConBonA 클래스가 BonA 클래스와 동일한 vtable을 가질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또는 BonA의 것을 그대로 재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텐데요.

Visual C++의 경우, 이런 상황에서도 무조건 ConBonA의 vtable을 전용으로 생성하고 (물론 BonA의 vtable과 내용은 같습니다.) 심지어 ConBonA 생성자에서 vtable을 초기화하는 코드도 여전히 넣어두도록 처리합니다. (사실, 이런 부분은 구현하는 측에서 임의 재량으로 해결할 문제입니다.)




마지막으로 추상 함수(abstract function)에 대한 처리를 잠깐 짚어보겠습니다.

기반 클래스에서 추상 함수를 가진 클래스를 정의하면,

class AbstractA
{
public:
    int n1 = 1;

    virtual void vfunc1() = 0;
};

class BonAbstractA
{
public:
    int n2 = 2;

    virtual void vfunc1() { };
};

Visual C++ 컴파일러는 AbstractA의 vtable을 다음과 같이 구성합니다.

01331876  mov         dword ptr [eax],offset AbstractA::`vftable' (01337C90h)  

0x01337C90  0b 14 33 01  // 0x0133140b

BonAbstractA 클래스 역시 1개의 항목을 가진 vtable을 구성하는데 당연히 첫 번째 항목의 주소가 BonAbstractA::vfunc1의 시작 코드로 바뀝니다.

0133192E  mov         dword ptr [eax],offset BonAbstractA::`vftable' (01337C80h)  

0x01337C80  06 14 33 01  // 0x01331406 == BonAbstractA::vfunc1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AbstractA의 vtable에 있는 첫 번째 항목의 주소 값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에 자세하게 나오는데요.

__purecall이 무엇일까?
; http://www.jiniya.net/tt/597

실제로 Visual C++로 컴파일된 경우 abstract 함수의 주소로 채워진 주소(위의 예에서는 0x0133140b)를 가보면, (Visual C++ 런타임이 만들어 넣어준) __purecall 함수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__purecall:
01331840  jmp         dword ptr [__imp___purecall (0133B0BCh)]  

이 정도면 대충 vtable 정리는 끝난 것 같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가상 함수 호출을 가로채는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28/2017]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999정성태2/28/201146590개발 환경 구성: 108. RemoteFX - Windows 7 가상 머신에서 DirectX 9c 환경을 제공 [5]
998정성태2/27/201120292Team Foundation Server: 42. TFS Application-Tier만 재설치
996정성태2/12/201137739디버깅 기술: 35. windbg - 분석 예: 시작하자마자 비정상 종료하는 프로세스 - NullReferenceException
995정성태2/11/201156259.NET Framework: 205. 코드(C#)를 통한 풀 덤프 만드는 방법 [4]
994정성태2/10/201136218디버깅 기술: 34. Windbg - ERROR: Unable to load DLL mscordacwks_x86_x86_2.0.50727.4200.dll, Win32 error 0n2 [1]
993정성태2/10/201128526개발 환경 구성: 107. 하나의 WPF 프로젝트를 WinExe / Library로 빌드하는 방법
992정성태10/15/201129383개발 환경 구성: 106. VSS(Volume Shadow Service)를 이용한 Hyper-V VM 백업/복원 [2]
991정성태2/6/201148859개발 환경 구성: 105. 풀 덤프 파일을 남기는 방법 [4]
990정성태2/2/201134003개발 환경 구성: 104. Visual C++ Custom Build Tool 사용예 [1]파일 다운로드1
989정성태2/1/201130518개발 환경 구성: 103. DOS batch - 동기 방식으로 원격 서비스 제어
988정성태1/30/201126711개발 환경 구성: 102. MSBuild - DefineConstants에 다중 전처리 값 설정
987정성태1/29/201139866디버깅 기술: 33. PDB Symbol 로드 오류 - Cannot find or open the PDB file. [2]
986정성태1/26/201131318.NET Framework: 204. 분리된 ThreadPool 사용 - Smart Thread Pool
985정성태1/25/201127954디버깅 기술: 32. 인증서로 서명된 닷넷 어셈블리의 실행 지연 현상
984정성태1/25/201122664개발 환경 구성: 101. SharePoint 2010 - Form Design
983정성태1/23/201127727제니퍼 .NET: 15. 눈으로 확인하는 maxWorkerThreads, minFreeThreads 설정값 [1]
982정성태1/22/201125025개발 환경 구성: 100. SharePoint 2010 - iPad 친화적인 게시판 만들기 (사용자 지정 목록) [1]
981정성태1/19/201120892개발 환경 구성: 99. SharePoint 2010 -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 시 고려해야 할 점. [1]
980정성태1/19/201132406개발 환경 구성: 98. SharePoint 2010 - Office Web Apps 설치
979정성태1/18/201125006개발 환경 구성: 97. SharePoint 2010 팀 사이트 구성
978정성태1/16/201131973.NET Framework: 203. VPN 자동 연결 및 Router 설정 추가
977정성태1/12/201131313개발 환경 구성: 96. SharePoint 2010 설치 [5]
976정성태1/11/201153960오류 유형: 111. IIS - 500.19 오류 (0x8007000d)
975정성태1/10/201128224.NET Framework: 202. CLR JIT 컴파일러가 생성한 기계어 코드 확인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974정성태1/8/201126994.NET Framework: 201. 윈폼 TreeView - Bold 폰트 설정 후 텍스트가 잘리는 문제 [1]파일 다운로드1
973정성태1/7/201126322.NET Framework: 200. IIS Metabase와 ServerManager 개체 활용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