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Java: 2. 자바에서 "Microsoft SQL Server JDBC Driver" 사용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5676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자바에서 "Microsoft SQL Server JDBC Driver" 사용하는 방법

요즘 제가 ^^ 자바 진영을 이해하기 위해서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나름 자바와 닷넷이 비슷한 면도 있고, 언어적인 면에서도 때로는 자바가 나은 면도 있고 반대인 경우도 있더군요.

어쨌든... ^^ 이번에는 자바에서 DB 연결하는 방법을 살펴보기 위해 가장 친숙한 MS-SQL 서버 먼저 접속을 해보았습니다. 관련해서 검색해 보니, 한글로 된 블로그 게시물도 꽤 되는군요. ^^

MSSQL jdbc 드라이버 sqljdbc.jar 와 sqljdbc4.jar 의 차이점
; http://www.yunsobi.com/blog/514

HOWTO: Microsoft JDBC 시작하기
; http://support.microsoft.com/kb/313100/ko

JDBC(MS SQL) 드라이버 사용
; http://angelprogramming.tistory.com/28

현재, "Microsoft SQL Server JDBC Driver" 버전이 3.0까지 나와 있으니 다음의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고,

Microsoft SQL Server JDBC Driver 3.0
; http://www.microsoft.com/download/en/details.aspx?displaylang=en&id=21599

압축을 해제하면 sqljdbc.jar, sqljdbc4.jar 파일을 얻을 수 있는데, 어느 것을 사용할 지는 "MSSQL jdbc 드라이버 sqljdbc.jar와 sqljdbc4.jar의 차이점" 글을 보시면 쉽게 결정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제가 구성한 테스트 환경이 JRE 1.6을 사용할 것이므로 sqljdbc4.jar를 선택했습니다.)

예제 실습을 하기 전에, 여기서 잠시 닷넷과 자바의 차이점을 이해해야 할 부분이 있는데, 바로 모듈을 찾는 규칙입니다. 닷넷의 경우에는 EXE와 동일한 폴더(또는, 웹 App의 경우 /bin)이거나 GAC(Global Assembly Cache)가 대표적인데, 자바는 여러 환경을 지원하다 보니 제각각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Microsoft SQL Server JDBC Driver 3.0" 설치 후 "\sqljdbc_3.0\enu\help\default.htm" 문서의 "Overview of the JDBC Driver" / "Using the JDBC Driver"에 언급되어 있으니 생략하고, 여기서는 지난번에 실습해 보았던 Servlet 내용에서 했던 대로 다음과 같이 구성했습니다.

  1. sqljdbc4.jar를 '[톰캣 설치폴더]\lib' 폴더에 복사 (실행을 위해!)
  2. Eclipse IDE에서 Java Build Path / Libraries / Add External JARs를 통해 sqljdbc4.jar를 지정 (컴파일을 위해!)
    (만약, sqljdbc4.jar 내부의 클래스를 직접 사용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참조 생략 가능)

예제 코드는, 지난번 서블릿 코드를 재사용해서 다음과 같이 DB 관련 코드만 넣어보았습니다. (아래의 예제 코드는 "\sqljdbc_3.0\enu\help\default.htm" 문서의 "Sample JDBC Driver Applications" / "Connecting and Retrieving Data" / "Connection URL Sample"을 가져온 것입니다.)

import java.io.*;
import javax.servlet.*;
import javax.servlet.http.*;
import java.sql.*;

public class HelloWorld extends HttpServlet
{
    private static final long serialVersionUID = 1L;
    
    public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res.setContentType("text/html");
        PrintWriter out = res.getWriter();
        
        String connectionString = "jdbc:sqlserver://mydb2:1433;" +
            "databaseName=TestDB;user=testdbuser;password=testdbuser2008";
        
        Connection con = null;
        Statement stmt = null;
        ResultSet rs = null;
          
        try {
            Class.forName("com.microsoft.sqlserver.jdbc.SQLServerDriver");
            con = DriverManager.getConnection(connectionString);

            String SQL = "SELECT * FROM TestTable";
            stmt = con.createStatement();
            rs = stmt.executeQuery(SQL);

            while (rs.next()) {
                out.println(rs.getInt(1));
            }
        }
        catch (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finally {
            if (rs != null) try { rs.close(); } catch(Exception e) {}
            if (stmt != null) try { stmt.close(); } catch(Exception e) {}
            if (con != null) try { con.close(); } catch(Exception e) {}
        }
    }
}

DB 접근에 대한 추상화는 자바가 더 나은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닷넷의 경우에는 물론 인터페이스가 있다고는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DB 제공자마다 다르게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SQL Server - SqlConnection, Oracle - OracleConnection, Postgre - NpgsqlConnection, ...)

RDB라는 것이 SQL 쿼리로 인해 정형화되어 있는 접근 방식을 제공하므로, 닷넷에서 DB를 다루던 경험이 있다면 자바의 DB 접근 방법을 배우는 것이 그다지 어려운 문제는 아니더군요. ^^

참고로, 딱 한 가지... 닷넷 개발자 입장에서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면 ResultSet의 get... 메서드에 전달되는 인덱스가 0이 아닌 1부터 시작한다는 예외(?) 사항이 존재합니다. 만약 rs.getInt(0)처럼 접근한다면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합니다.

com.microsoft.sqlserver.jdbc.SQLServerException: Index 0 is out of range (인덱스 0이(가) 범위를 벗어났습니다.)
        at com.microsoft.sqlserver.jdbc.SQLServerException.makeFromDriverError(SQLServerException.java:171)
        at com.microsoft.sqlserver.jdbc.SQLServerResultSet.verifyValidColumnIndex(SQLServerResultSet.java:504)
        at com.microsoft.sqlserver.jdbc.SQLServerResultSet.getterGetColumn(SQLServerResultSet.java:1948)
        at com.microsoft.sqlserver.jdbc.SQLServerResultSet.getValue(SQLServerResultSet.java:1981)
        at com.microsoft.sqlserver.jdbc.SQLServerResultSet.getValue(SQLServerResultSet.java:1966)
        at com.microsoft.sqlserver.jdbc.SQLServerResultSet.getInt(SQLServerResultSet.java:2209)
        at HelloWorld.doGet(HelloWorld.java:36)
...[생략]...
        at java.lang.Thread.run(Thread.java:619)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705정성태7/2/201435068VC++: 78. 보이어-무어(Boyer-Moore) 알고리즘이 정말 빠를까? [6]파일 다운로드1
1704정성태7/2/201421664.NET Framework: 447. w3wp.exe AppPool 재생(recycle)하는 방법 정리
1703정성태7/2/201422508.NET Framework: 446. Assembly.Load를 이용해 GAC에 등록된 어셈블리를 로드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702정성태6/23/201422287Phone: 11. Xamarin.Forms - 2. XAML을 이용한 페이지 개발파일 다운로드1
1701정성태6/23/201434454개발 환경 구성: 229. .NET Reflector + Reflexil 도구를 이용해 DLL 코드 변경 [4]
1700정성태6/23/201421301VS.NET IDE: 89. Visual Studio에서 기본 제공되는 성능 프로파일 [2]
1699정성태6/22/201424097Phone: 10. Xamarin.Forms - 1. Forms 시작하기 [2]파일 다운로드1
1698정성태6/22/201426067.NET Framework: 445. [부연 설명] 쉬운 C# 코드를 어럽게 이해하기 [2]
1697정성태6/22/201421365VS.NET IDE: 88. Visual Studio에서 직접 컴파일하는 IL 언어 확장 도구 - IL Support
1696정성태6/22/201421164.NET Framework: 444. clojure와 C#을 통해 이해하는 Sequence와 Vector 형식의 차이점 [1]
1695정성태6/21/201420194개발 환경 구성: 228. PowerShell ISE에서 (입력 기능이 있는)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방법
1694정성태6/21/201421341개발 환경 구성: 227. 닷넷 용 ClojureCLR 개발환경 설정
1693정성태6/20/201421660개발 환경 구성: 226. Clojure 언어의 윈도우 개발환경 설정
1692정성태6/19/201432248오류 유형: 231. Visual Studio 2013 한글 버전 설치 오류 - The form specified for the subject is not one supported or known by the specified trust provider
1691정성태6/18/201427461개발 환경 구성: 225. 유닉스 계열의 tail 명령어가 제공되는 PowerShell [1]
1690정성태6/18/201430253개발 환경 구성: 224. DirectShow 예제 구하는 방법 [3]
1689정성태6/18/201427098오류 유형: 230. C++ 가변 인자 사용시 va_start 파라미터 전달 방법 [2]
1688정성태6/15/201420651오류 유형: 229. 갤럭시 노트 3 환경에서 Xamarin 앱 배포 충돌
1687정성태6/15/201426655개발 환경 구성: 223. PowerShell로 Visual Studio 빌드 스크립트 작성파일 다운로드1
1686정성태6/12/201424362Windows: 96. 윈도우 8 - 그림 암호를 이용해 로그인 시 지연 현상을 해결하는 방법 [1]
1685정성태6/10/201431119.NET Framework: 443. 자바 8과 C#의 람다(Lambda) 지원에 대한 비교 [12]
1684정성태6/9/201441289.NET Framework: 442. C# - 시스템의 CPU 사용량 및 프로세스(EXE)의 CPU 사용량 알아내는 방법 [5]파일 다운로드1
1683정성태6/2/201420855오류 유형: 228. CLR4 보안 - yield 구문 내에서 SecurityCritical 메서드 사용 불가 [2]파일 다운로드1
1682정성태6/1/201426068.NET Framework: 441. .NET CLR4 보안 모델 - 3. CLR4 보안 모델에서의 APTCA 역할파일 다운로드2
1681정성태6/1/201421935.NET Framework: 440. .NET CLR4 보안 모델 - 2. 샌드박스(Sandbox)을 이용한 보안 [2]파일 다운로드1
1680정성태6/1/201421415.NET Framework: 439. .NET CLR4 보안 모델 - 1. "Security Level 2"란?파일 다운로드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