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Studio 디버깅 경고 창 - You are debugging a Release build of ...

Visual Studio로 디버깅 중 특정 DLL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경고 창이 뜹니다.

dbg_stop_continue_dlg_1.png

You are debugging a Release build of ....dll. Using Just My Code with Release builds using compiler optimizations results in a degraded debugging experience (e.g. breakpoints will not be hit).


로딩된 DLL이 정말 디버그 모드로 빌드가 안된 것인지 우선 확인이 필요한데요. 이를 위해 "Ctrl + Alt + U"를 눌러 Modules 창을 띄우면 다음과 같이 문제가 되는 DLL의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습니다.

Test.Deployment.dll C:\Users\...\AppData\Local\Temp\Temporary ASP.NET Files\root\e340c117\16ede91d\assembly\dl3\4f9f32bc\3dfbd40c_939fd201\Test.Deployment.dll

그런데... Modules 창에는 분명히 "Symbols loaded."라는 메시지와 함께 "C:\...\Test.Deployment.pdb" 파일이 선택되었다고 합니다. 즉, 디버거를 위한 PDB 파일은 정상적으로 제공된 상태입니다.

다음 단계로, 해당 DLL을 .NET Reflector로 로딩한 후 assembly 수준의 Debuggable 특성을 확인한 결과 2로 나왔습니다.

[assembly: System.Diagnostics.Debuggable(0x02)]

이 값의 의미는,

DebuggableAttribute Class
; https://docs.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diagnostics.debuggableattribute

[ComVisible(true)]
[Flags]
public enum DebuggingModes
{
    None = 0,
    Default = 1,
    IgnoreSymbolStoreSequencePoints = 2,
    EnableEditAndContinue = 4,
    DisableOptimizations = 256
}

단지 IgnoreSymbolStoreSequencePoints가 지정된 것에 불과합니다. 대개의 경우, Release 모드로 빌드하면 Debuggable(2)로 뜨고, Debug 모드로 빌드하면 다음과 같은 구성의,

0x107 = 263
        DisableOptimizations | EnableEditAndContinue | IgnoreSymbolStoreSequencePoints | Default

Debuggable(0x107)로 나오기 때문에 분명히 Release 빌드로 된 것이 맞습니다. 음... 정말 이상하군요. ^^

문제를 밝혀내기 위해 DLL을 참조하는 프로젝트의 .csproj 파일에서 참조 대상을 살펴봤습니다.

<ProjectReference Include="..\Externals\Test.Deployment\Test.Deployment.csproj">
    <Project>{ac0d50da-96df-4395-87d4-de04c2c232ae}</Project>
    <Name>Test.Deployment</Name>
</ProjectReference>

분명히 프로젝트 참조로 되어 있고, Test.Deployment.csproj의 속성 창을 띄워도 Debug 빌드로 명시가 되어 있습니다. 오호~~~ 정말 신기한 경우입니다. ^^;



그래도 우여곡절 끝에 다행히 원인이 밝혀졌습니다. ^^ 해당 프로젝트에 포함된 AssemblyInfo.cs 파일에 다음과 같이 Debuggable 특성의 값이 명시되어 있던 것이 문제였습니다.

[assembly: System.Diagnostics.Debuggable(System.Diagnostics.DebuggableAttribute.DebuggingModes.IgnoreSymbolStoreSequencePoints)]

위의 특성 값이 명시된 사연은 이러합니다. 해당 소스 코드는 .NET Reflector를 통해 DLL로부터 "Export Source Code..." 기능으로 얻은 것이었는데, 마침 그 원본 DLL의 빌드 상태가 Release 빌드였기 때문에 그 특성이 그대로 소스 코드로 출력된 것이었습니다.

정리하자면, .NET Reflector와 같은 역 어셈블 도구로 구한 소스 코드의 경우 지정된 Debuggable 특성의 값을 지워주는 것이 권장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47정성태10/28/201727916오류 유형: 424. Visual Studio - "클래스 다이어그램 보기" 시 "작업을 완료할 수 없습니다. 해당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오류 발생
11346정성태10/25/201724040오류 유형: 423. Windows Server 2003 - The client-side extension could not remove user policy settings for 'Default Domain Policy {...}' (0x8007000d)
11338정성태10/25/201720724.NET Framework: 697. windbg - SOS DumpMT의 "BaseSize", "ComponentSize" 값에 대한 의미파일 다운로드1
11337정성태10/24/201724820.NET Framework: 696. windbg - SOS DumpClass/DumpMT의 "Vtable Slots", "Total Method Slots", "Slots in VTable" 값에 대한 의미파일 다운로드1
11336정성태10/20/201725794.NET Framework: 695. windbg - .NET string의 x86/x64 메모리 할당 구조
11335정성태10/18/201724716.NET Framework: 694. 닷넷 - <Module> 클래스의 용도
11334정성태10/18/201724758디버깅 기술: 105. windbg - k 명령어와 !clrstack을 조합한 호출 스택을 얻는 방법
11333정성태10/17/201724023오류 유형: 422. 윈도우 업데이트 - Code 9C48 Windows update encountered an unknown error.
11332정성태10/17/201724550디버깅 기술: 104. .NET Profiler + 디버거 연결 + .NET Exceptions = cpu high
11331정성태10/16/201722780디버깅 기술: 103.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모든 DLL에 대한 심벌 파일을 로드하는 파이썬 스크립트
11330정성태10/16/201720861디버깅 기술: 102.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DLL의 심벌 파일 로드 방법 [1]
11329정성태10/15/201727073.NET Framework: 693. C# - 오피스 엑셀 97-2003 .xls 파일에 대해 32비트/64비트 상관없이 접근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28정성태10/15/201730291.NET Framework: 692. C# - 하나의 바이너리로 환경에 맞게 32비트/64비트 EXE를 실행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27정성태10/15/201724616.NET Framework: 691. AssemblyName을 .csproj에서 바꾼 경우 빌드 오류 발생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326정성태10/15/201722830.NET Framework: 690. coreclr 소스코드로 알아보는 .NET 4.0의 모듈 로딩 함수 [1]
11325정성태10/14/201723846.NET Framework: 689. CLR 4.0 환경에서 DLL 모듈의 로드 주소(Base address) 알아내는 방법
11324정성태10/13/201725222디버깅 기술: 101. windbg - "*** WARNING: Unable to verify checksum for" 경고 없애는 방법
11322정성태10/13/201724812디버깅 기술: 100. windbg - .NET 4.0 응용 프로그램의 Main 메서드에 Breakpoint 걸기
11321정성태10/11/201725304.NET Framework: 688. NGen 모듈과 .NET Profiler
11320정성태10/11/201727371.NET Framework: 687. COR_PRF_USE_PROFILE_IMAGES 옵션과 NGen의 "profiler-enhanced images" [1]
11319정성태10/11/201734233.NET Framework: 686. C# - string 배열을 담은 구조체를 직렬화하는 방법
11318정성태10/7/201725876VS.NET IDE: 122.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관리자 권한을 요구하는 C# 콘솔 프로그램 제작 [1]
11317정성태10/4/201731128VC++: 120. std::copy 등의 함수 사용 시 _SCL_SECURE_NO_WARNINGS 에러 발생
11316정성태9/30/201728542디버깅 기술: 99. (닷넷) 프로세스(EXE)에 디버거가 연결되어 있는지 아는 방법 [4]
11315정성태9/29/201746644기타: 68. "시작하세요! C# 6.0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구매하신 분들을 위한 C# 7.0/7.1 추가 문법 PDF [8]
11314정성태9/28/201726645디버깅 기술: 98.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닷넷 버전 확인하는 방법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