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C++: 117. Visual Studio - ATL COM 개체를 단위 테스트 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947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Studio - ATL COM 개체를 단위 테스트 하는 방법

ATL COM DLL의 경우, 직접 COM 객체를 CoCreateInstance로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소스 코드를 단위 테스트 프로젝트에 추가하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Code Coverage 수치는 안 나옵니다.)

예를 들어, "TestComObject"라는 ATL COM 개체를 만들었다면 다음과 같이 해당 Header 파일을 include하고 소스 코드를 포함시킨 다음, CComObject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include "stdafx.h"
#include "CppUnitTest.h"

#include "..\..\dllmain.h"
#include "..\..\TestComObject.h"

using namespace Microsoft::VisualStudio::CppUnitTestFramework;

namespace CppNativeTest
{
    TEST_CLASS(Test_TestComObject)
    {
    public:
        TEST_METHOD(Test_TestComObject_Initialize)
        {
            CComObject<CTestComObject> *inst;
            HRESULT hRes = CComObject<CTestComObject>::CreateInstance(&inst);
        }
    };
}

CComObject를 사용하는 이유는, ATL COM Class의 경우 추상 함수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해도 단위 테스트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Test Name:  Test_TestComObject_Initialize
Test FullName:  CppNativeTest::Test_TestComObject::Test_TestComObject_Initialize
Test Source:    d:\unittest\cppnativetest\TestComObjecttest.cpp : line 13
Test Outcome:   Failed
Test Duration:  0:00:00.1421573

Result StackTrace:  
at ATL::CComObject<CTestComObject>::CComObject<CTestComObject>() in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14.0\vc\atlmfc\include\atlcom.h:line 2908
    at ATL::CComObject<CTestComObject>::CreateInstance() in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14.0\vc\atlmfc\include\atlcom.h:line 2966
    at CppNativeTest::Test_TestComObject::Test_TestComObject_Initialize() in d:\unittest\cppnativetest\TestComObjecttest.cpp:line 17
Result Message: Exception Code: C0000005

문제가 발생한 atlcom.h의 소스 코드를 확인해 보면 _pAtlModule 포인터 값이 nullptr임을 알 수 있습니다.

// ===== atlcom.h
// ...[생략]...
template <class Base>
class CComObject : 
    public Base
{
public:
    typedef Base _BaseClass;
    CComObject(_In_opt_ void* = NULL)
    {
        _pAtlModule->Lock();
    }
    // ...[생략]...
}

// ...[생략]...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역시 ATL COM 프로젝트에 있던 Module 클래스를 맞춰주면 됩니다.

#include "..\..\TestComObject\dllmain.h"

TEST_METHOD(Test_TestComObject_Initialize)
{
    CTestComObjectModule _AtlModule;
    _pAtlModule = &_AtlModule;
    CComObject<CTestComObject> *inst;

    HRESULT hRes = CComObject<CTestComObject>::CreateInstance(&inst);
}

이렇게 바꾸고 컴파일하면 이번엔 빌드 오류가 나는데요.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LIBID_TestComObjectLib

이 값은 [...]_i.c 파일을 단위 테스트 프로젝트에 include 시켜주면 됩니다.

#include "..\..\TestComObject\TestComObject_i.c"



이외에도 단위 테스트 용도의 export 함수들을 ATL DLL에 포함시킨 다음 그것을 통해 COM 클래스를 호출하는 식으로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Code Coverage까지 모두 계산되어 좋습니다. 대신 출시 버전에 단위 테스트 함수들이 DLL에 포함되어 있는 것은 좋지 않기 때문에 Debug 빌드에만 적용하는 식이어야 할 것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5/2017]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182정성태12/4/20225397Windows: 217. Windows 환경에서의 Hello World x64 어셈블리 예제 (MASM 버전)
13181정성태12/3/20224792Linux: 54. 리눅스/WSL - hello world 어셈블리 코드 x86/x64 (nasm)
13180정성태12/2/20224993.NET Framework: 2074. C# - 스택 메모리에 대한 여유 공간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179정성태12/2/20224414Windows: 216. Windows 11 - 22H2 업데이트 이후 Terminal 대신 cmd 창이 뜨는 경우
13178정성태12/1/20224907Windows: 215. Win32 API 금지된 함수 - IsBadXxxPtr 유의 함수들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파일 다운로드1
13177정성태11/30/20225646오류 유형: 829. uwsgi 설치 시 fatal error: Python.h: No such file or directory
13176정성태11/29/20224552오류 유형: 828. gunicorn -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flask'
13175정성태11/29/20226179오류 유형: 827. Python - ImportError: cannot import name 'html5lib' from 'pip._vendor'
13174정성태11/28/20224748.NET Framework: 2073. C# - VMMap처럼 스택 메모리의 reserve/guard/commit 상태 출력파일 다운로드1
13173정성태11/27/20225465.NET Framework: 2072. 닷넷 응용 프로그램의 스레드 스택 크기 변경
13172정성태11/25/20225266.NET Framework: 2071. 닷넷에서 ESP/RSP 레지스터 값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171정성태11/25/20224870Windows: 214. 윈도우 - 스레드 스택의 "red zone"
13170정성태11/24/20225165Windows: 213. 윈도우 - 싱글 스레드는 컨텍스트 스위칭이 없을까요?
13169정성태11/23/20225727Windows: 212. 윈도우의 Protected Process (Light) 보안 [1]파일 다운로드2
13168정성태11/22/20225021제니퍼 .NET: 31.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9) - DB 서비스에 부하가 걸렸다?!
13167정성태11/21/20225063.NET Framework: 2070. .NET 7 - Console.ReadKey와 리눅스의 터미널 타입
13166정성태11/20/20224797개발 환경 구성: 651. Windows 사용자 경험으로 WSL 환경에 dotnet 런타임/SDK 설치 방법
13165정성태11/18/20224720개발 환경 구성: 650. Azure - "scm" 프로세스와 엮인 서비스 모음
13164정성태11/18/20225649개발 환경 구성: 649. Azure - 비주얼 스튜디오를 이용한 AppService 원격 디버그 방법
13163정성태11/17/20225570개발 환경 구성: 648.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안드로이드 기기 인식하는 방법
13162정성태11/15/20226616.NET Framework: 2069. .NET 7 - AOT(ahead-of-time) 컴파일
13161정성태11/14/20225836.NET Framework: 2068. C# - PublishSingleFile로 배포한 이미지의 역어셈블 가능 여부 (난독화 필요성) [4]
13160정성태11/11/20225795.NET Framework: 2067. C# - PublishSingleFile 적용 시 native/managed 모듈 통합 옵션
13159정성태11/10/20229021.NET Framework: 2066. C# - PublishSingleFile과 관련된 옵션 [3]
13158정성태11/9/20225259오류 유형: 826. Workload definition 'wasm-tools' in manifest 'microsoft.net.workload.mono.toolchain' [...] conflicts with manifest 'microsoft.net.workload.mono.toolchain.net7'
13157정성태11/8/20225910.NET Framework: 2065. C# - Mutex의 비동기 버전파일 다운로드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