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Java: 18. Java의 Memory Mapped File 자원 반환이 안 되는 문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314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Java의 Memory Mapped File 자원 반환이 안 되는 문제

Java에서는 다음의 글에 소개된 대로,

Memory Mapped File
; http://www.javacodex.com/Files/Memory-Mapped-File

이렇게 MMF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import java.io.*;
import java.nio.*;
import java.nio.channels.*;

public class MemoryMappedFi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ry {

         File file = new File("/tmp/myfile.txt");
         FileChannel fc = new RandomAccessFile(file, "rw").getChannel();
         ByteBuffer bb = fc.map(FileChannel.MapMode.READ_ONLY, 0, (int) fc.size());

         // print contents of ByteBuffer //
         while (bb.hasRemaining()) {
            System.out.print((char) bb.get());
         }

      } catch (IOException e) {
         System.out.println("Error: " + e.toString());
      }
   }
}

그런데, 사내 자바 개발자가 메모리 맵 파일이 GC가 발생하기 전까지는 어떻게 해도 해제할 수 없다는 문제를 경험했습니다. 이를, 간단하게 다음의 코드로 재현해 볼 수 있습니다.

package com.company;

import java.io.*;
import java.nio.*;
import java.nio.channels.*;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ry {
            while (true) {

                UseMemoryMap();
                if (System.in.available() != 0) {
                    break;
                }

                Thread.sleep(1000);
            }
        } catch (IOException e) {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
    }

    public static void UseMemoryMap() {
        try {
            File file = new File("c:/temp/Installer.exe"); // 1MB짜리 파일
            FileChannel fc = new RandomAccessFile(file, "rw").getChannel();
            MappedByteBuffer bb = fc.map(FileChannel.MapMode.READ_ONLY, 0, (int) fc.size());

            bb.clear();
            fc.close(); // clear / close를 해도 메모리는 지속적으로 증가!
        } catch (IOException e) {
            System.out.println("Error: " + e.toString());
        }
    }
}

위의 자바 코드는 1MB 파일에 대한 MMF 설정을 1초마다 반복하는 바람에 "Private Bytes"가 끊임없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실제로 위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Process Explorer"로 File Handle의 상황을 모니터링해 보면 다음과 같이 해제되지 않고 끊임없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java_mem_map_leak_1.png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명시적으로 System.gc()를 호출해야 하는데, 가령 다음과 같이 위의 코드를 수정해 주면,

try {
    while (true) {

        UseMemoryMap();
        if (System.in.available() != 0) {
            break;
        }

        Thread.sleep(1000);
        System.gc();
    }
} catch (IOException e) {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

메모리 증가 문제가 없어집니다.

이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은 2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합니다. 하나는, Java 측에서 MMF 자원을 명시적으로 해제하는 방법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또 하나는, Java의 GC 입장에서 GC Heap이 아닌 Native 메모리에 대한 증가는 System.gc 호출을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이로 인해, 특정 자바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MMF를 열고/닫는 작업을 하지만 딱히 GC Heap에 대한 변동이 없는 상황이라면 저런 식으로 메모리가 무한정 소비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다음은 사내 개발자가 제시한 부가적인 해결 방법입니다.

How to unmap a file from memory mapped using FileChannel in java?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2972986/how-to-unmap-a-file-from-memory-mapped-using-filechannel-in-java

덧글에 보면, SUN JDK에서의 우회 방법이 나옵니다. 또한, 주기적으로 System.gc를 하라는 것도 나오는데 이는 "-XX:+DisableExplicitGC" 옵션이 있는 경우 동작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따라서, (호스트 환경을 장담할 수 없는) 라이브러리 개발자가 써먹기에는 부담스럽습니다.




그렇다면 혹시 닷넷은 어떨까요? 다행히, 닷넷은 MemoryMappedFile.Dispose 메서드가 제공되는데 이를 호출하면 Native 리소스가 잘 해제됩니다.

아래는 참고 글입니다.

Memory-mapped File은 Private Bytes 크기에 포함될까요?
; https://www.sysnet.pe.kr/2/0/11159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8/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667정성태7/7/20246622닷넷: 2273. C# - 리눅스 환경에서의 Hyper-V Socket 연동 (AF_VSOCK)파일 다운로드1
13666정성태7/7/20247700Linux: 74. C++ - Vsock 예제 (Hyper-V Socket 연동)파일 다운로드1
13665정성태7/6/20247880Linux: 73. Linux 측의 socat을 이용한 Hyper-V 호스트와의 vsock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3663정성태7/5/20247476닷넷: 2272.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의 VMID Wildcards 유형파일 다운로드1
13662정성태7/4/20247491닷넷: 2271. C# - WSL 2 VM의 VM ID를 알아내는 방법 - Host Compute System API파일 다운로드1
13661정성태7/3/20247413Linux: 72. g++ - 다른 버전의 GLIBC로 소스코드 빌드
13660정성태7/3/20247522오류 유형: 912. Visual C++ - Linux 프로젝트 빌드 오류
13659정성태7/1/20247859개발 환경 구성: 715. Windows - WSL 2 환경의 Docker Desktop 네트워크
13658정성태6/28/20248235개발 환경 구성: 714. WSL 2 인스턴스와 호스트 측의 Hyper-V에 운영 중인 VM과 네트워크 연결을 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3657정성태6/27/20247912닷넷: 2270.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을 위한 EndPoint 사용자 정의
13656정성태6/27/20248090Windows: 264. WSL 2 VM의 swap 파일 위치
13655정성태6/24/20247850닷넷: 2269. C# - Win32 Resource 포맷 해석파일 다운로드1
13654정성태6/24/20247787오류 유형: 911. shutdown - The entered computer name is not valid or remote shutdown is not supported on the target computer.
13653정성태6/22/20247937닷넷: 2268. C# 코드에서 MAKEINTREOURCE 매크로 처리
13652정성태6/21/20249247닷넷: 2267. C# - Linux 환경에서 (Reflection 없이) DLL AssemblyFileVersion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2
13651정성태6/19/20248487닷넷: 2266. C# - (Reflection 없이) DLL AssemblyFileVersion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650정성태6/18/20248410개발 환경 구성: 713. "WSL --debug-shell"로 살펴보는 WSL 2 VM의 리눅스 환경
13649정성태6/18/20247959오류 유형: 910. windbg - !py 확장 명령어 실행 시 "failed to find python interpreter" (2)
13648정성태6/17/20248279오류 유형: 909. C# - DynamicMethod 사용 시 System.TypeAccessException
13647정성태6/16/20249344개발 환경 구성: 712. Windows - WSL 2의 네트워크 통신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같은 IP를 공유하는 WSL 2 인스턴스) [1]
13646정성태6/14/20247758오류 유형: 908. Process Explorer - "Error configuring dump resources: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13645정성태6/13/20248197개발 환경 구성: 711. Visual Studio로 개발 시 기본 등록하는 dev tag 이미지로 Docker Desktop k8s에서 실행하는 방법
13644정성태6/12/20248868닷넷: 2265. C# - System.Text.Json의 기본적인 (한글 등에서의) escape 처리 [1]
13643정성태6/12/20248320오류 유형: 907. MySqlConnector 사용 시 System.IO.FileLoadException 오류
13642정성태6/11/20248198스크립트: 65. 파이썬 - asgi 버전(2, 3)에 따라 달라지는 uvicorn 호스팅
13641정성태6/11/20248673Linux: 71. Ubuntu 20.04를 22.04로 업데이트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