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Dell Venue 8 Pro 태블릿에 USB를 이용한 윈도우 운영체제 설치 방법

다들 아시는 것처럼, "Dell Venue 8 Pro"에는 USB 단자가 없습니다. 대신 OTG 케이블을 이용해 전원 단자로 연결할 수는 있는데 이를 위해 다음의 케이블을 구매하셔야 합니다.

마이크로5핀 USB 호스트 케이블 / 델 베뉴 8 프로(Dell venue 8pro) 용/젠더/HOST/OTG케이블/OTG/프로8
; http://item2.gmarket.co.kr/Item/detailview/Item.aspx?goodscode=452557351

이제 윈도우 설치 이미지가 담긴 USB가 필요한데요. 웹 검색을 해보면 dell의 공식 홈페이지에 다음과 같은 방법이 나옵니다.

Imaging requirements and process for the Dell Venue 8 Pro 5830 Tablet
; http://www.dell.com/support/article/us/en/04/SLN289267/imaging-requirements-and-process-for-the-dell-venue-8-pro-5830-tablet?lang=EN

그런데, 저 방법으로는 설치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저 글에서도 나오지만,

Note: Until the chipset drivers are loaded, the touchscreen will not function. Until the Windows 8.1 install is complete and the chipset driver is installed, you will make all input using the attached USB mouse and keyboard.


chipset 드라이버가 올라올 때까지는 터치스크린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키보드와 마우스까지도 동작하지 않습니다. (제가 USB 허브가 없어서 테스트해보지 못했지만 일단 USB 드라이브로 부팅한 다음, USB 드라이브를 빼고 키보드(또는 마우스)를 OTG 케이블에 연결했을 때는 동작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Dell Venue 8 Pro에 윈도우를 정상적으로 설치하려면 설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단계부터 Dell Venue 8 Pro의 입력 장치들이 인식되어야만 설치 과정 중에 필요한 입력을 하면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다음의 글에 설명한 방법으로 USB 드라이브를 마련해 줘야 합니다.

Windows 운영체제의 ISO 설치 파일에 미리 Device driver를 준비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190

저 내용 중에, "Device driver" 파일들을 준비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좀 더 설명이 필요한데요. 현재, Dell 측에서 제공하는 Dell Venu 8 Pro 5830에 대한 공식 드라이버는 다음의 링크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Venue 8 Pro Win 8.1 Driver Cab
; http://www.dell.com/support/home/us/en/4/Drivers/DriversDetails?driverId=9Y5Y5

그리고 다음의 글에 따라 약간의 가공을 해줘야 합니다.

Step-by-step guide to creating a factory backup image for the Dell Venue 8 Pro
; http://forum.tabletpcreview.com/threads/step-by-step-guide-to-creating-a-factory-backup-image-for-the-dell-venue-8-pro.60222/

정리하면 대충 이렇게 됩니다.

  1. 다운로드한 CAB 파일의 압축을 "d:\temp"에 풀고,
  2. "d:\temp\5830-win8.1-A00-9Y5Y5\5830\win8.1\x86" 폴더 하위의 "chipset"과 "network" 폴더를 "D:\adk\dv8p_drivers" 폴더에 복사.
  3. D:\adk\dv8p_drivers\network\379GH_A00-00\production\Windows8.1-x86 폴더의 하위 "Bluetooth-Driver" 폴더를 삭제

이렇게 Device Driver 폴더(D:\adk\dv8p_drivers)를 마련해 준 다음, "Windows 운영체제의 ISO 설치 파일에 미리 Device driver를 준비하는 방법"에서 설명한 데로 이후 dism.exe를 이용해 boot.wim, install.wim에 넣어주면 됩니다.

참고로, 설치 이후 Dell Venue 8 Pro의 디스크 파티션은 다음과 같은 구조로 구성됩니다. (구성은 윈도우 버전마다 틀릴 수 있습니다.)

Partition 1: 300MB (Recovery)
Partition 2: 10MB (System)
Partition 3: 128MB (Reserved)
Partition 4: 57GB (Primary)
Partition 5: 450MB (Recovery)




그 외에, 저처럼 시행착오를 할 분들을 위해 한 가지 더 기록을 남기자면.

"unattended.xml"을 이용해 입력 과정 필요 없이 설치를 진행하자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을 텐데, 아쉽게도 그 방법으로는 정상적으로 venue 8 pro에 설치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설치 자체는 자동으로 지나치게 할 수 있을지 몰라도 설치 이후의 윈도우에서도 "터치 스크린"과 "키보드/마우스"가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것은 마찬가지이기 때문입니다.

"unattended.xml"에 대해서도 언급을 해야겠는데요. 개인적으로는 다음의 사이트를 이용해서 만들었습니다.

Windows 10 Answer File Generator for x86 and x64 processors
; http://windowsafg.no-ip.org/win10x86_x64.html

Windows 8.1 Answer File Generator for x86 and x64 processors
; http://windowsafg.no-ip.org/win8.1x86_x64.html

위의 사이트를 이용해 만든 XML 내용을 autounattend.xml 파일로 저장해 (윈도우 설치 이미지가 담긴) USB 드라이브의 루트 폴더에 복사해 주면 "자동 설치가 가능한 USB 드라이브"가 준비됩니다. 그런데 아쉽게도 설치 초기에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하면서 자동 설치에 실패했습니다.

Windows could not set a partition active on disk 0. The target disk, partition, or volume does not support the specified operation. The error occurred while applying the unattend answer file's <DiskConfiguration> setting. Error code: 0x80300024


이유는 알 수 없었지만... 혹시 성공하신 분들은 ^^ autounattend.xml 공유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2017]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196정성태5/4/201720658오류 유형: 384. Msvm_ImageManagementService WMI 객체를 사용할 때 오류 상황 정리 [1]
11195정성태5/3/201720954.NET Framework: 655. .NET Framework 4.7 릴리스
11194정성태5/3/201723243오류 유형: 383. net use 명령어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시 "System error 67 has occurred." 오류 발생
11193정성태5/3/201721458Windows: 141. 설치된 Windows로부터 설치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
11192정성태5/2/201721985Windows: 140. unattended.xml/autounattend.xml 파일을 마련하는 방법
11191정성태5/2/201722761Windows: 139. Dell Venue 8 Pro 태블릿에 USB를 이용한 윈도우 운영체제 설치 방법
11190정성태5/2/201728100Windows: 138. Windows 운영체제의 ISO 설치 파일에 미리 Device driver를 준비하는 방법
11189정성태5/2/201720117Windows: 137. Windows 7 USB/DVD DOWNLOAD TOOL로 98%에서 실패하는 경우
11188정성태4/27/201722646VC++: 118. Win32 HANDLE 자료형의 이모저모 [1]
11187정성태4/26/201723175개발 환경 구성: 314. C# - PowerPoint 확장 Add-in 만드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186정성태4/24/201720945VS.NET IDE: 117. Visual Studio 확장(VSIX)을 이용해 사용자 매크로를 추가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185정성태4/22/201718912VS.NET IDE: 116. Visual Studio 확장(VSIX)을 이용해 사용자 메뉴 추가하는 방법 (2) - 동적 메뉴 구성파일 다운로드1
11184정성태4/21/201720424VS.NET IDE: 115. Visual Studio 확장(VSIX)을 이용해 사용자 메뉴 추가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183정성태4/19/201719218.NET Framework: 654. UWP 앱에서 FolderPicker 사용 시 유의 사항파일 다운로드1
11182정성태4/19/201723257개발 환경 구성: 313. Nuget Facebook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ASP.NET 웹 폼과 로그인 연동하는 방법
11181정성태4/18/201720198개발 환경 구성: 312. Azure Web Role의 AppPool 실행 권한을 Local System으로 바꾸는 방법
11180정성태4/16/201723226Java: 18. Java의 Memory Mapped File 자원 반환이 안 되는 문제
11179정성태4/13/201716441기타: 64. SVG Converter 스토어 앱 개인정보 보호 정책 안내
11178정성태4/10/201718556개발 환경 구성: 311. COM+ 관리자의 DCOM 구성에 나오는 기준
11177정성태4/7/201719077.NET Framework: 653. C# 7 새로운 문법(1) - 더욱 편리해진 Out 변수 사용파일 다운로드1
11176정성태4/5/201716051VC++: 117. Visual Studio - ATL COM 개체를 단위 테스트 하는 방법
11175정성태4/5/201725767.NET Framework: 652. C# 개발자를 위한 C++ COM 객체의 기본 구현 방식 설명파일 다운로드1
11174정성태4/3/201719319VC++: 116. Visual Studio 단위 테스트 - Failed to set up the execution context to run the test
11173정성태4/3/201722939VC++: 115. Visual Studio에서 C++ DLL을 대상으로 단위 테스트할 때 비정상 종료한다면?파일 다운로드1
11172정성태4/3/201722058.NET Framework: 651. C# - 특정 EXE 프로세스를 종료시킨 EXE를 찾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171정성태3/31/201718758VS.NET IDE: 114. Visual Studio 디버깅 경고 창 - You are debugging a Release build of ...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