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140. unattended.xml/autounattend.xml 파일을 마련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486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unattended.xml/autounattend.xml 파일을 마련하는 방법

우선, 간단하게 다음의 사이트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Windows 10 Answer File Generator for x86 and x64 processors
; http://windowsafg.no-ip.org/win10x86_x64.html

Windows 8.1 Answer File Generator for x86 and x64 processors
; http://windowsafg.no-ip.org/win8.1x86_x64.html

URL에서 윈도우 버전 부분만 적절하게 바꿔주면 여러분이 원하는 윈도우 운영체제의 autounattend.xml 파일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게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




다른 방법이 또 하나 있는데요. 이것은 마이크로소프트가 제공하는 ADK 도구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ADK 도구는 윈도우 버전 별로 제공되는데, 예를 들어 "Windows 8.1 with Update" ISO 설치 파일이 있다면 다음의 ADK 도구를 다운로드해야 합니다.

Windows Assessment and Deployment Kit (Windows ADK) for Windows 8.1 Update 
; https://www.microsoft.com/en-US/download/details.aspx?id=39982

실제로 한번 해볼까요? ^^

"Unattended.xml" 응답 파일을 생성하려면, 우선 "윈도우 설치 ISO 이미지"에 포함된 install.wim 파일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iso 파일을 마운팅하고 /sources/install.wim 파일을 로컬 폴더로 복사합니다. (이 글에서는 d:\adk 폴더로 복사합니다.)

이제 ADK 도구를 설치한 경우 다음의 폴더에 위치한 "Windows System Image Manager"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시킵니다.

C:\Program Files\Windows Kits\8.1\Assessment and Deployment Kit\Deployment Tools\WSIM\imgmgr.exe

실행 후 "File" / "Select Windows Image..." 메뉴를 선택해 d:\adk\install.wim 파일을 선택합니다. 제 경우에 해당 ISO 이미지에 2개의 버전(Pro, Home)이 있어 어떤 것을 선택할지 묻는 창이 떴습니다. 저는 "Windows 8.1 Pro"를 선택했습니다. 그럼 다시 다음의 창이 뜨고,

win81_unattended_1.png

"Yes"를 선택해 주면 됩니다.

그다음, "File" / "New Answer File..."을 선택해 "unattended.xml" 파일을 하나 생성하고 세세한 설정을 하면 됩니다. 아래는 그 한 예를 보여줍니다.

// 참고: https://jacobsalmela.com/2016/03/30/how-to-image-a-computer-with-windows-10-using-dism/

- Windows 8.1 Pro / x86_Microsoft_Windows_Deployment_[...]_neutral
    - "Add Setting to Pass 4 specialize"

        * unattended / x86_Microsoft_Windows_Deployment_[...]_neutral / ExtendOSPartition
            - Settings / Extend = true

- Windows 8.1 Pro / x86_Microsoft-Windows-Shell-Setup_[...]_neutral
    - "Add Setting to Pass 4 specialize"

        * unattended / x86_Microsoft-Windows-Shell-Setup_[...]_neutral
            - Settings / "Computer Name" = %COMPUTERNAME%
            - Settings / ProductKey = ...제품 키...
            - Settings / ProductKey = Korea Standard Time

    - "Add Setting to Pass 7 oobeSystem…"

- Windows 8.1 Pro / x86_Microsoft-Windows-Shell-Setup_[...]_neutral / OOBE

    - "Add Setting to Pass 7 oobeSystem…"

        * unattended / x86_Microsoft-Windows-Shell-Setup_[...]_neutral / OOBE
            - Settings / HideEULAPage = true
            - Settings / HideLocalAccountScreen = true
            - Settings / HideOEMRegistrationScreen = true
            - Settings / HideOnlineAccountScreens = true
            - Settings / HideWirelessSetupInOOBE = true
            - Settings / NetworkLocation = Home
            - Settings / ProtectYourPC = 1
            - Settings / SkipMachineOOBE = true
            - Settings / SkipUserOOBE = true

        * unattended / x86_Microsoft-Windows-Shell-Setup_[...]_neutral / UserAccounts / LocalAccounts
            - "Insert New Local Account"

        * unattended / x86_Microsoft-Windows-Shell-Setup_[...]_neutral / UserAccounts / LocalAccounts / LocalAccount
            - Settings / Description = Local admin account
            - Settings / DisplayName = tester
            - Settings / Group = Administrators
            - Settings / Name = tester

        * unattended / x86_Microsoft-Windows-Shell-Setup_[...]_neutral / UserAccounts / LocalAccounts / LocalAccount / Password
            - Settings / Value = tester_pass

- Windows 8.1 Pro / x86_Microsoft-Windows-International-Core_[...]_neutral
    - Add Setting to Pass 7 oobeSystem…

        * unattended / x86_Microsoft-Windows-International-Core_[...]_neutral
            - Settings / "InputLocale" = en-US
            - Settings / "SystemLocale" = en-US
            - Settings / "UILanguage" = en-US
            - Settings / "UserLocale" = en-US

위의 설정으로 저장하면 대충 다음과 같은 식의 unattended.xml 파일이 구성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unattend xmlns="urn:schemas-microsoft-com:unattend">
    <settings pass="specialize">
        <component name="Microsoft-Windows-Deployment" processorArchitecture="x86" publicKeyToken="31bf3856ad364e35" language="neutral" versionScope="nonSxS" xmlns:wcm="http://schemas.microsoft.com/WMIConfig/2002/State"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ExtendOSPartition>
                <Extend>true</Extend>
            </ExtendOSPartition>
        </component>
        <component name="Microsoft-Windows-Shell-Setup" processorArchitecture="x86" publicKeyToken="31bf3856ad364e35" language="neutral" versionScope="nonSxS" xmlns:wcm="http://schemas.microsoft.com/WMIConfig/2002/State"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ComputerName>%COMPUTERNAME%</ComputerName>
            <ProductKey>...[생략]...</ProductKey>
            <TimeZone>Korea Standard Time</TimeZone>
        </component>
    </settings>
    <settings pass="oobeSystem">
        <component name="Microsoft-Windows-International-Core" processorArchitecture="x86" publicKeyToken="31bf3856ad364e35" language="neutral" versionScope="nonSxS" xmlns:wcm="http://schemas.microsoft.com/WMIConfig/2002/State"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InputLocale>en-US</InputLocale>
            <SystemLocale>en-US</SystemLocale>
            <UILanguage>en-US</UILanguage>
            <UserLocale>en-US</UserLocale>
        </component>
        <component name="Microsoft-Windows-Shell-Setup" processorArchitecture="x86" publicKeyToken="31bf3856ad364e35" language="neutral" versionScope="nonSxS" xmlns:wcm="http://schemas.microsoft.com/WMIConfig/2002/State"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OOBE>
                <HideEULAPage>true</HideEULAPage>
                <HideLocalAccountScreen>true</HideLocalAccountScreen>
                <HideOEMRegistrationScreen>true</HideOEMRegistrationScreen>
                <HideOnlineAccountScreens>true</HideOnlineAccountScreens>
                <HideWirelessSetupInOOBE>true</HideWirelessSetupInOOBE>
                <NetworkLocation>Home</NetworkLocation>
                <ProtectYourPC>1</ProtectYourPC>
                <SkipMachineOOBE>true</SkipMachineOOBE>
                <SkipUserOOBE>true</SkipUserOOBE>
            </OOBE>
            <UserAccounts>
                <LocalAccounts>
                    <LocalAccount wcm:action="add">
                        <Password>
                            <Value>dABlAHMAdABlAHIAXwBwAGEAcwBzAFAAYQBzAHMAdwBvAHIAZAA=</Value>
                            <PlainText>false</PlainText>
                        </Password>
                        <Description>Local admin account</Description>
                        <DisplayName>tester</DisplayName>
                        <Name>tester</Name>
                        <Group>Administrators</Group>
                    </LocalAccount>
                </LocalAccounts>
            </UserAccounts>
        </component>
    </settings>
    <cpi:offlineImage cpi:source="wim:d:/adk/install.wim#Windows 8.1 Pro" xmlns:cpi="urn:schemas-microsoft-com:cpi" />
</unattend>

세밀하게 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Windows Answer File Generator"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더 간편하고 쉽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2017]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8정성태12/12/201225586.NET Framework: 348. .NET x64 응용 프로그램에서 Teb 주소를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7정성태12/12/201231005VC++: 64. x64 Visual C++에서 TEB 주소 구하는 방법
1386정성태12/12/201231866디버깅 기술: 53.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네이티브 DLL을 추출하는 방법 [1]
1385정성태12/12/201227674디버깅 기술: 52. Windbg - The version of SOS does not match the version of CLR you are debugging.
1384정성태12/12/201232153개발 환경 구성: 178. System32 폴더의 64비트 DLL을 32비트 Depends.exe에서 보는 방법
1383정성태12/10/201228269개발 환경 구성: 177. 기업용 메신저를 위한 Office Communicator Server 2007 설치 [1]
1382정성태12/8/201230757개발 환경 구성: 176. WebPagetest 서버 - 설치 및 테스트
1381정성태12/5/201229646.NET Framework: 347. C# - 프로세스(EXE) 수준의 Singleton 개체 생성 [2]파일 다운로드1
1380정성태11/28/201239785.NET Framework: 346. 닷넷 개발자에게 Node.js의 의미 [17]
1379정성태11/26/201233204.NET Framework: 345. C# 부호(+, -)에 대한 비트 변환 [1]
1378정성태11/22/201234041Java: 14. 안드로이드 - Hello World 실습 [7]
1377정성태11/19/201228229.NET Framework: 344. 닷넷 프로파일러 - ICorProfilerInfo::GetILFunctionBody 함수 버그
1376정성태11/15/201232898디버깅 기술: 51.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특정 예외가 발생했을 때 풀 덤프 받는 방법 [6]
1375정성태11/15/201228543디버깅 기술: 50.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 - 두 번째 이야기
1374정성태11/13/201226363개발 환경 구성: 175. Visual Studio의 "Extension Manager"에서 설치된 구성 요소들의 제거 버튼이 비활성화되었다면!
1373정성태11/13/201226877.NET Framework: 343. VB.NET 어셈블리의 .NET Reflector 소스 코드를 분석할 때 알아두면 좋은 사항
1372정성태11/1/2012121597Windows: 67. 64비트 윈도우에서 Internet Explorer 10이 항상 64비트로만 실행된다면? [57]
1371정성태10/31/201229970.NET Framework: 342. Python의 zip과 with 문 context를 C#과 비교하면. [3]파일 다운로드1
1370정성태10/31/201224656VS.NET IDE: 75. Visual Studio - "Active Solution Platform" 변경을 툴바에서 하는 방법
1369정성태10/31/201237802개발 환경 구성: 174. 윈도우에서 Mono 개발 환경 구성 [4]
1368정성태10/31/201229644개발 환경 구성: 173. Windows Phone SDK 8.0 설치
1367정성태10/30/201237001개발 환경 구성: 172. IIS 7.5부터 지원되는 웹 사이트 자동 시작 모드 [1]
1366정성태10/24/201228609개발 환경 구성: 171. GTK+를 윈도우 환경에 수작업 설치
1365정성태10/24/201227259개발 환경 구성: 170. 우분투 데스크톱 Active Directory 가입하기 [2]
1364정성태10/19/201223936Windows: 66. Hyper-V 2012에서 별도의 네트워크 카드를 이용한 Live Migration
1363정성태10/16/201231611개발 환경 구성: 169. Objective-C의 대안 - Xamarin의 Mono를 이용한 C# iOS 개발 환경 [2]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