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388. docker - Host does not exist: "default"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878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docker - Host does not exist: "default"

docker-machine.exe를 실행할 때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C:\Windows\System32>docker-machine start default
Host does not exist: "default"

실제로 "default"라는 이름으로 등록된 가상 머신이 없습니다.

C:\Windows\System32>docker-machine ls
NAME   ACTIVE   DRIVER   STATE   URL   SWARM   DOCKER   ERRORS

따라서, 생성해줘야 하는데 이번에는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C:\Windows\System32>docker-machine create default
Creating CA: C:\Users\TestUser\.docker\machine\certs\ca.pem
Creating client certificate: C:\Users\TestUser\.docker\machine\certs\cert.pem
Running pre-create checks...
Error with pre-create check: "VBoxManage not found. Make sure VirtualBox is installed and VBoxManage is in the path"

"create"의 기본 동작이 "VirtualBox"로 되어 있기 때문인데, 명시적으로 "-driver" (또는 "-d") 옵션으로 hyperv를 지정하면 정상적으로 생성이 됩니다.

C:\Windows\System32>docker-machine create -d hyperv default
Running pre-create checks...
(default) Image cache directory does not exist, creating it at C:\Users\TestUser\.docker\machine\cache...
(default) No default Boot2Docker ISO found locally, downloading the latest release...
(default) Latest release for github.com/boot2docker/boot2docker is v17.05.0-ce
(default) Downloading C:\Users\TestUser\.docker\machine\cache\boot2docker.iso from https://github.com/boot2docker/boot2docker/releases/download/v17.05.0-ce/boot2docker.iso...
(default) 0%....10%....20%....30%....40%....50%....60%....70%....80%....90%....100%
Creating machine...
(default) Copying C:\Users\TestUser\.docker\machine\cache\boot2docker.iso to C:\Users\TestUser\.docker\machine\machines\default\boot2docker.iso...
(default) Creating SSH key...
(default) Creating VM...
(default) Using switch "vpc-switch"
(default) Creating VHD
(default) Starting VM...
(default) Waiting for host to start...
Waiting for machine to be running, this may take a few minutes...
Detecting operating system of created instance...
Waiting for SSH to be available...
Detecting the provisioner...
Provisioning with boot2docker...
Copying certs to the local machine directory...
Copying certs to the remote machine...
Setting Docker configuration on the remote daemon...
Checking connection to Docker...
Docker is up and running!
To see how to connect your Docker Client to the Docker Engine running on this virtual machine, run: docker-machine env default

이후, Hyper-V 관리 콘솔에서 "default"라는 이름의 가상 머신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19/2017]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547정성태1/31/202410787개발 환경 구성: 704. Visual Studio - .NET 8 프로젝트부터 dockerfile에 추가된 "USER app" 설정
13546정성태1/30/202410457Windows: 255. (디버거의 영향 등으로) 대상 프로세스가 멈추면 Socket KeepAlive로 연결이 끊길까요?
13545정성태1/30/202410073닷넷: 2212. ASP.NET Core - 우선순위에 따른 HTTP/HTTPS 호스트:포트 바인딩 방법
13544정성태1/30/20249683오류 유형: 894. Microsoft.Data.SqlClient -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System.Security.Permissions, ...'
13543정성태1/30/202410038Windows: 254. Windows - 기본 사용 중인 5357 포트 비활성화는 방법
13542정성태1/30/20249070오류 유형: 893. Visual Studio - Web Application을 실행하지 못하는 IISExpress - 두 번째 이야기
13541정성태1/29/20249819VS.NET IDE: 188. launchSettings.json의 useSSL 옵션
13540정성태1/29/20249710Linux: 69. 리눅스 - "Docker Desktop for Windows" Container 환경에서 IPv6 Loopback Address 바인딩 오류
13539정성태1/26/20249535개발 환경 구성: 703. Visual Studio - launchSettings.json을 이용한 HTTP/HTTPS 포트 바인딩
13538정성태1/25/202410151닷넷: 2211. C# - NonGC(FOH) 영역에 .NET 개체를 생성파일 다운로드1
13537정성태1/24/202411022닷넷: 2210. C# - Native 메모리에 .NET 개체를 생성파일 다운로드1
13536정성태1/23/202410565닷넷: 2209. .NET 8 - NonGC Heap / FOH (Frozen Object Heap) [1]
13535정성태1/22/202411056닷넷: 2208. C# - GCHandle 구조체의 메모리 분석
13534정성태1/21/202410379닷넷: 2207. C# - SQL Server DB를 bacpac으로 Export/Import파일 다운로드1
13533정성태1/18/202410334닷넷: 2206. C# - TCP KeepAlive의 서버 측 구현파일 다운로드1
13532정성태1/17/202410417닷넷: 2205. C# - SuperSimpleTcp 사용 시 주의할 점파일 다운로드1
13531정성태1/16/202410787닷넷: 2204. C# - TCP KeepAlive에 새로 추가된 Retry 옵션파일 다운로드1
13530정성태1/15/202410116닷넷: 2203. C# - Python과의 AES 암호화 연동파일 다운로드1
13529정성태1/15/202410309닷넷: 2202. C# - PublishAot의 glibc에 대한 정적 링킹하는 방법
13528정성태1/14/202410467Linux: 68. busybox 컨테이너에서 실행 가능한 C++, Go 프로그램 빌드
13527정성태1/14/202410579오류 유형: 892. Visual Studio - Failed to launch debug adapter.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available in the output window.
13526정성태1/14/202410951닷넷: 2201. C# - Facebook 연동 / 사용자 탈퇴 처리 방법
13525정성태1/13/202410027오류 유형: 891. Visual Studio - Web Application을 실행하지 못하는 IISExpress
13524정성태1/12/202410022오류 유형: 890. 한국투자증권 KIS Developers OpenAPI - GW라우팅 중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13523정성태1/12/202410033오류 유형: 889. Visual Studio - error : A project with that name is already opened in the solution.
13522정성태1/11/202410864닷넷: 2200. C# - HttpClient.PostAsJsonAsync 호출 시 "Transfer-Encoding: chunked" 대신 "Content-Length" 헤더 처리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