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Windows: 111. 복구(Recovery) 파티션 삭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2918 Windows: 142. Windows 10의 복구 콘솔로 부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07 Windows: 143. Windows 10의 Recovery 파티션을 삭제 및 새로 생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09 Windows: 147. 시스템 복구 디스크를 USB 디스크에 만드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598 Windows: 156. 가상 디스크의 용량을 복구 파티션으로 인해 늘리지 못하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1807 Windows: 263. Windows - 복구 파티션(Recovery Partition) 용량을 늘리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586 Windows 10의 복구 콘솔로 부팅하는 방법 Windows 10의 경우, 다음의 문서에 나오는 방법으로 재부팅을 하면 쉽게 복구 모드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Get to safe mode and other startup settings in Windows 10 ; https://support.microsoft.com/en-us/instantanswers/f40a95aa-1e34-4907-98ba-a308fd10a786/get-to-safe-mode-and-other-startup-settings-in-windows-10 즉, Settings에서 "Update & security" / "Recovery"의 "Advanced startup"에 있는 "Restart now" 버튼을 눌러 복구 모드로 부팅할 수 있습니다. 그럼 부팅 시에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뜨고, "Troubleshoot" 메뉴로 들어가, 다시 "Advanced options"로 진입하면 그중에 "Command Prompt"를 선택해 복구 콘솔을 띄울 수 있습니다. 빠져나오는 방법은, "exit" 명령어로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오류 유형: 390. diskpart의 set id 명령어에서 "The specified type is not in the correct format." 오류 발생[이전 글] 오류 유형: 389. DISM.exe - The specified image in the specified wim is already mounted for read/write access. [최초 등록일: 5/24/2017] [최종 수정일: 5/24/2017]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450정성태1/30/200736723VS.NET IDE: 43. .NET에서의 필수 무결성 제어 조절하는 방법 - Manifest 파일 이용2449정성태2/4/200733315Windows: 20. UAC 이모저모 [2]448정성태1/28/200729135Windows: 19. 3가지 유형의 가젯 프로그램447정성태1/27/200725899Windows: 18. 비스타 도구 - 사양 정보 및 도구(Performance Information and Tools)446정성태1/27/200734850VC++: 30. 필수 무결성 제어를 조절하는 방법(2) - 직접 코딩1445정성태2/8/200733963VC++: 29. 필수 무결성 제어를 조절하는 방법(1) - Manifest 파일 이용2444정성태1/27/200727256VC++: 28. 비스타 응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VS.NET 2005 환경 설정443정성태1/26/200725373VC++: 27. COM 개체로 인해 IE 7 비스타 버전이 종료될 때 오류 화면이 뜬다면?1442정성태1/24/200728296.NET Framework: 79. 새로운 암호화 클래스 (ECDsaCng, ECDiffieHellmanCng) 소개 [1]441정성태1/23/200733527Windows: 17. 보안 데스크톱에서 활성화되지 않은 UAC 창이 안전할까?440정성태1/24/200727435.NET Framework: 78. C# 3.0 - Anonymous types [1]439정성태1/25/200728334.NET Framework: 77. C# 3.0 - Lambda 표현식 [1]438정성태1/24/200726795.NET Framework: 76. C# 3.0 - 확장 메서드437정성태1/23/200735206Windows: 16. 개발자를 위한 UAC 환경 설정 [3]436정성태1/17/200724461VS.NET IDE: 42. Orcas 2007년 1월 CTP 버전 설치 [5]435정성태1/14/200723722기타: 17. 베타 제품과 최종 제품은 다르다 [2]434정성태2/4/200727808Windows: 15. MIC 환경 구성 - Windows XP와 유사한 보안 설정 [4]433정성태1/12/200737212Windows: 14. 보호 모드와 필수 무결성 제어(MIC: Mandatory Integrity Control) [3]1432정성태1/10/200728123Windows: 13. InitOnceExecuteOnce API 소개 [5]431정성태1/8/200725665Windows: 12. 비스타는 안전한 윈도우인가? [2]430정성태1/7/200732044웹: 6. IIS 7 마이그레이션 정리 - Sysnet427정성태12/30/200622212Team Foundation Server: 14. VS.NET IDE에 통합된 TFS Annotate [1]425정성태12/29/200626288Windows: 11. Vista IIS 7(Integrated mode)에서의 ASP.NET F5 디버깅 방법424정성태12/29/200624321기타: 16. 첫걸음 [2]426정성태12/30/200622957 기타: 16.1. 예외 발생420정성태12/27/200627692Windows: 10. Internet Explorer 7.0 호환성 백서 (Word 문서, 1.92MB) [7]1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