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Windows: 111. 복구(Recovery) 파티션 삭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2918 Windows: 142. Windows 10의 복구 콘솔로 부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07 Windows: 143. Windows 10의 Recovery 파티션을 삭제 및 새로 생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09 Windows: 147. 시스템 복구 디스크를 USB 디스크에 만드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598 Windows: 156. 가상 디스크의 용량을 복구 파티션으로 인해 늘리지 못하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1807 Windows: 263. Windows - 복구 파티션(Recovery Partition) 용량을 늘리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586 Windows 10의 복구 콘솔로 부팅하는 방법 Windows 10의 경우, 다음의 문서에 나오는 방법으로 재부팅을 하면 쉽게 복구 모드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Get to safe mode and other startup settings in Windows 10 ; https://support.microsoft.com/en-us/instantanswers/f40a95aa-1e34-4907-98ba-a308fd10a786/get-to-safe-mode-and-other-startup-settings-in-windows-10 즉, Settings에서 "Update & security" / "Recovery"의 "Advanced startup"에 있는 "Restart now" 버튼을 눌러 복구 모드로 부팅할 수 있습니다. 그럼 부팅 시에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뜨고, "Troubleshoot" 메뉴로 들어가, 다시 "Advanced options"로 진입하면 그중에 "Command Prompt"를 선택해 복구 콘솔을 띄울 수 있습니다. 빠져나오는 방법은, "exit" 명령어로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오류 유형: 390. diskpart의 set id 명령어에서 "The specified type is not in the correct format." 오류 발생[이전 글] 오류 유형: 389. DISM.exe - The specified image in the specified wim is already mounted for read/write access. [최초 등록일: 5/24/2017] [최종 수정일: 5/24/2017]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15정성태4/26/202114051오류 유형: 712. Microsoft Live 로그인 - 계정을 선택하는(Pick an account) 화면에서 진행이 안 되는 문제12614정성태4/24/202118404개발 환경 구성: 570. C# - Azure AD 인증을 지원하는 ASP.NET Core/5+ 웹 애플리케이션 예제 구성 [4]112613정성태4/23/202116733.NET Framework: 1048. C# - ETW 이벤트의 Keywords에 속한 EventId 구하는 방법 (2) 관리 코드112612정성태4/23/202116596.NET Framework: 1047. C# - ETW 이벤트의 Keywords에 속한 EventId 구하는 방법 (1) PInvoke112611정성태4/22/202115462오류 유형: 711. 닷넷 EXE 실행 오류 - Mixed mode assembly is build against version 'v2.0.50727' of the runtime12610정성태4/22/202115381.NET Framework: 1046. C# - 컴파일 시점에 참조할 수 없는 타입을 포함한 이벤트 핸들러를 Reflection을 이용해 구독하는 방법112609정성태4/22/202117899.NET Framework: 1045. C# - 런타임 시점에 이벤트 핸들러를 만들어 Reflection을 이용해 구독하는 방법112608정성태4/21/202118454.NET Framework: 1044. C# - Generic Host를 이용해 .NET 5로 리눅스 daemon 프로그램 만드는 방법 [9]112607정성태4/21/202115671.NET Framework: 1043. C# - 실행 시점에 동적으로 Delegate 타입을 만드는 방법112606정성태4/21/202121570.NET Framework: 1042. C# - enum 값을 int로 암시적(implicit) 형변환하는 방법? [2]112605정성태4/18/202116902.NET Framework: 1041. C# - AssemblyID, ModuleID를 관리 코드에서 구하는 방법112604정성태4/18/202114796VS.NET IDE: 163. 비주얼 스튜디오 속성 창의 "Build(빌드)" / "Configuration(구성)"에서의 "활성" 의미12603정성태4/16/202116464VS.NET IDE: 162. 비주얼 스튜디오 - 상속받은 컨트롤이 디자인 창에서 지원되지 않는 문제12602정성태4/16/202117523VS.NET IDE: 161. 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1]12601정성태4/15/202116554.NET Framework: 1040. C# - REST API 대신 github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통해 프로그래밍으로 접근12600정성태4/15/202116804.NET Framework: 1039. C# - Kubeconfig의 token 설정 및 인증서 구성을 자동화하는 프로그램12599정성태4/14/202117573.NET Framework: 1038. C# - 인증서 및 키 파일로부터 pfx/p12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112598정성태4/14/202118158.NET Framework: 1037. openssl의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2)112597정성태4/13/202117737개발 환경 구성: 569. csproj의 내용을 공통 설정할 수 있는 Directory.Build.targets / Directory.Build.props 파일12596정성태4/12/202117090개발 환경 구성: 568. Windows의 80 포트 점유를 해제하는 방법12595정성태4/12/202116834.NET Framework: 1036. SQL 서버 - varbinary 타입에 대한 문자열의 CAST, CONVERT 변환을 C# 코드로 구현12594정성태4/11/202116275.NET Framework: 1035. C# - kubectl 명령어 또는 REST API 대신 Kubernetes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통해 프로그래밍으로 접근 [1]112593정성태4/10/202117327개발 환경 구성: 567. Docker Desktop for Windows - kubectl proxy 없이 k8s 대시보드 접근 방법12592정성태4/10/202116824개발 환경 구성: 566. Docker Desktop for Windows - k8s dashboard의 Kubeconfig 로그인 및 Skip 방법12591정성태4/9/202120743.NET Framework: 1034. C# - byte 배열을 Hex(16진수) 문자열로 고속 변환하는 방법 [2]112590정성태4/9/202116875.NET Framework: 1033. C# - .NET 4.0 이하에서 Console.IsInputRedirected 구현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